목차 일부
목차
머리말 - 동양 사상의 현대적 이해를 위한 다양한 고민들 / 이승환 = 9
1. 책을 펴내며 = 9
2. 최근 한국의 중국 철학 연구 동향 = 11
3. 책의 체제와 내용 = 18
4. 논문 선별의 과정과 기준 = 29
제1부 생태ㆍ생명ㆍ환경 = 31
제1부 머리말 / 이동철 = 33
도가 자연관의 환경 철학적 의의 / 이권 = 37
1...
목차 전체
목차
머리말 - 동양 사상의 현대적 이해를 위한 다양한 고민들 / 이승환 = 9
1. 책을 펴내며 = 9
2. 최근 한국의 중국 철학 연구 동향 = 11
3. 책의 체제와 내용 = 18
4. 논문 선별의 과정과 기준 = 29
제1부 생태ㆍ생명ㆍ환경 = 31
제1부 머리말 / 이동철 = 33
도가 자연관의 환경 철학적 의의 / 이권 = 37
1. 환경 윤리학의 쟁점 : 인간중심주의와 생태중심주의 = 37
2. 인간과 세계의 유기체적 통일 = 41
3. 탈중심적인 무의 철학 = 48
4. 도가 자연관의 시사점 = 53
생명 공학과 인간 복제 - 유학의 응답 / 김병환 = 57
1. 들어가는 말 = 57
2. 복제의 충격 : 음양 세계관의 붕괴 = 59
3. 순음에 의한 생명의 창생 : 복제 양 돌리 = 64
4. 인간 복제를 반대하는 주장들 = 67
5. 유가 철학의 가치관으로 바라본 인간 복제 = 76
6. 인간 복제를 넘어서 호모 로보 사피엔스로 = 84
생명 공학 시대의 유교와 생명 윤리 / 김세정 = 89
1. 들어가는 말 = 89
2. 생명 공학 시대, 유교는 반생명적인가 = 91
3. 만물일체와 생명 의지 존중의 생명관 = 100
4. 인심과 만물일체의 생명 윤리 = 110
5. 나오는 말 - 생명 공학 시대, 인심의 생명 윤리 = 120
주자의 공동체적 생태 윤리 / 이승환 = 124
1. 주자학적 생태 윤리의 정당화 가능성 = 124
2. 주자의 공동체적 생태관 = 126
3. 생태계에서의 인간의 지위와 책임 = 138
4. 생태 윤리로서의 주자의 덕 윤리 = 147
5. 주자 생태 공동체주의의 현대적 의미 = 151
'자연'에 대한 왕양명의 시선 / 최재목 = 154
1. '자연의 위기' - 너무나 낡은 논의를 시작하며 = 154
2. 왕양명이 바라본 자연 = 156
3. 생태 지향적 심성 - 인간과 자연, 그 희미한 옛 '사랑'의 그림자 = 160
4. 사랑의 철학 : 천지의 마음, 양지, 인 = 163
5. 자연의 양지 - 인간과의 '교감', '공동 존재성'의 근거 = 172
6. '쪼갬과 나눔' 혹은 '양지가 죽은 인간 사회'에 대한 탄원 = 176
더 읽을 자료 = 181
제2부 여성ㆍ가족ㆍ공동체 = 187
제2부 머리말 / 이동철 = 189
중국 고대의 질서 담론 - 혈통과 젠더의 서사 / 이숙인 = 193
1. 질서와 혼란의 담론 = 193
2. 혈통의 서사 = 195
3. 젠더의 서사 = 207
4. 맺음말 = 216
《서명(西銘)》의 은유적 구조 / 이향준 = 220
1. 머리말 = 220
2. 도덕성과 은유 = 221
3. 효의 체험적 근거와 은유 = 224
4. 인간의 가정과 도덕의 보편성 = 238
5. 《서명》, 기 , 이일분수 = 241
6. 맺음말 = 244
'음(陰)'에 부과된 사적 특성에 대한 여성주의적 접근 - 주자학의 가족 윤리를 중심으로 / 김미영 = 247
1. 문제 제기 = 247
2. 음양 역할론에 의거한 가족 윤리의 확립 = 249
3. 공사론에 의거한 가족 윤리의 확대 = 255
4. '음'에 부과된 사적 특성에 대한 여성주의적 접근 = 261
하심은의 이상 사회론 - 종족 결합을 중심으로 / 한예원 = 267
1. 머리말 = 267
2. 영풍현이 놓인 상황 = 269
3. 종족 결합체인 취화당 = 273
4. 향촌 자치를 위한 종족 결합 = 279
5. 맺음말 = 284
개인과 국가, 새로운 공동체를 위한 시론 - 중국의 전통과 근대를 중심으로 / 조경란 = 286
1. 전통 해석의 양가성과 '전통적 공동체주의' = 286
2. 중국 고대 사상에서의 개체와 집단 = 290
3. 중국 근대 국민 국가론에서의 개체와 집단 = 300
4. 맺는 말 : '새로운 공동체주의'의 단서 찾기 = 308
더 읽을 자료 = 315
제3부 몸ㆍ수양ㆍ욕망 = 319
제3부 머리말 / 이동철 = 321
욕망 : 선진(先秦) 철학을 읽는 또 하나의 창 - 직하학(稷下學)을 중심으로 / 최진석 = 325
1. 들어가는 말 = 325
2. 초기의 세 철학자 : 노자, 공자 그리고 묵자(춘추 후기~전국 전기) = 328
3. 직하학(전국 중기) = 334
4. 욕망과 인성 - 욕망을 매개로 본 선진 철학의 맥락 = 340
5. 나오는 말 = 347
몸을 버린 얻음 - 장자와 불구의 성인관 / 정세근 = 352
1. 이상 인격 = 352
2. 선왕 = 354
3. 성인과 덕 = 360
4. 상식을 넘어서 = 364
순자 성악설의 의미 / 이장희 = 368
1. 들어가는 말 = 368
2. 성(性) 개념의 형성과 전개 = 370
3. 순자의 성(性)개념 = 378
4. 순자의 악(惡) 개념 = 383
5. 맺는 말 = 390
양명학에서의 몸 담론과 그것의 현대적 의미 / 김세서리아 = 395
1. 포스트모더니즘과 몸 그리고 전통 유가 철학 = 395
2. 양명학에서의 몸 담론 = 397
3. 양명학에서의 몸 담론과 그것의 현대적 의미 = 408
4. 해체적 전략으로서의 양명학적 몸 담론 = 416
더 읽을 자료 = 421
제4부 전통ㆍ근대ㆍ탈근대 = 425
제4부 머리말 / 이동철 = 427
유학과 자유주의 - 정치적 영역을 중심으로 한 비교적 고찰 / 박원재 = 431
1. 들어가는 말 = 431
2. 유학과 자유주의, 그 만남을 바라보는 시선들 = 433
3. 자유주의, 공동체주의 그리고 유학 = 441
4. 새로운 '자유'에 대한 전망 = 448
5. 열린 사고를 요청하며 = 455
도@사이버 윤리 - 사이버 윤리의 이론적 근거에 대한 도가 철학적 성찰 / 김성환 = 460
1. 도(道)의 관점에서 사이버 윤리에 발신하다 = 460
2. 새로운 윤리 이론의 필요성 = 462
3. 동서양 윤리 사상의 계보 = 467
4. 《노자》의 덕론(德論) = 472
5. 《장자》 '제물(齊物)'의 생태적 관계 윤리 = 475
6. 도가 사상과 사이버 윤리 = 480
7. 틀 밖의 놀이 = 488
노장과 해체론 비교 - 언어와 이성 개념을 중심으로 / 정재현 = 494
1. 김형효의 노장에 대한 해체론적 해석 = 494
2. 고대 중국의 언어 의미론 = 499
3. 유가와 변자들의 유비적 이성주의 = 504
4. 노장과 해체론의 차이 = 511
5. 해체론적 노장 해석 비판의 의의 = 513
더 읽을 자료 = 518
용어 해설 = 520
찾아보기 : 인명 = 544
찾아보기 : 서명ㆍ편명 외 = 546
찾아보기 : 용어 = 547
글쓴이 소개 = 553
서평 (0 건)
*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. 한글 기준 10자 이상 작성해 주세요.
서평추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