목차 일부
목차
책을 쓰게 된 동기 = 7
들어가는 말 = 11
제1장 매체와 철학이 만나다 = 17
1. 매체란 무엇인가 = 19
2. 매체 그리고 철학 = 20
3. 매체를 바라보는 철학의 세 가지 관점 = 23
(1) 회의주의적 매체철학과 이론주의적 매체철학 = 23
ㄱ. 회의주의적 매체철학 = 26
ㄴ. 이론주의적 매체철학 = 28
(2...
목차 전체
목차
책을 쓰게 된 동기 = 7
들어가는 말 = 11
제1장 매체와 철학이 만나다 = 17
1. 매체란 무엇인가 = 19
2. 매체 그리고 철학 = 20
3. 매체를 바라보는 철학의 세 가지 관점 = 23
(1) 회의주의적 매체철학과 이론주의적 매체철학 = 23
ㄱ. 회의주의적 매체철학 = 26
ㄴ. 이론주의적 매체철학 = 28
(2) 실용주의적 매체철학 = 31
제2장 매체철학을 구성하는 담론들 = 35
1. 언어철학 = 37
2. 문화철학 = 43
3. 기술철학 = 47
4. 매체 이론과 기술결정론 = 50
(1) 기술결정론의 두 얼굴 = 50
(2) 기술 매체 - 사회와 문화의 산물 = 52
제3장 축음기에서 전화기까지 = 59
1. 20세기 장치 정신 - 담론 네트워크 1900 = 61
2. 축음기, 영화, 타자기 = 67
(1) 축음기 = 68
(2) 초기 영화 = 71
(3) 타자기 = 74
3. 전화 = 81
제4장 뉴미디어, 휴대전화에 대하여 = 87
1. 뉴미디어란 무엇인가 = 90
(1) 수적 재현 = 91
(2) 모듈성 = 93
(3) 자동화 = 94
(4) 가변성 = 94
(5) 부호 변환 = 96
2. 워크맨과 텔레비전, 휴대전화 속으로 들어가다 = 101
제5장 미디어와 공간 = 107
1. 공간의 매체적 성격 = 109
2. 상징적 공간 - 공간 지도 = 112
(1) 신화적 공간 지각 - 차이와 경계 짓기/몸의 공간화 = 112
(2) 구텐베르크적 공간 지도 - 시각화된 공간 = 114
(3) 20세기 공간 지도 - 공간의 축소 = 115
3. 뉴미디어의 공간 = 117
(1) 가상공간의 유토피아? = 117
(2) 국지 지구적 공간 지각 = 119
(3) 흐름의 공간 = 121
제6장 미디어와 시간 = 127
1. 시간의 매체적 성격 = 129
2. 기술적 시간과 내면적 시간 = 132
3. 시간을 넘어선 시간 = 140
(1) 시간과 매체성 = 140
(2) 시간과 매체 사용 = 143
제7장 휴대전화로 의사소통하기 = 147
1. 소통과 미디어 = 149
(1) 소통과 정보 = 149
(2) 담론적 소통 매체와 대화적 소통 매체 = 151
(3) 휴대전화로 통화하기 = 158
2. 문자 메시지는 문자 문화로의 회귀인가 = 161
3. 그림의 매체적 특성 = 166
제8장 뉴미디어 시대의 비판적 서술 = 173
맺는말 = 184
주 = 190
더 읽어야 할 자료들 = 221
서평 (0 건)
*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. 한글 기준 10자 이상 작성해 주세요.
서평추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