목차 일부
목차
책을 내면서 = 5
서장 - 과제와 방법 = 23
1. 문제의 제기 = 25
2. 기존의 연구와 자료 = 31
3. 구성과 방법 = 45
제1장 해방과 인민위원회(1945 ∼ 1946) = 55
1. 인민위원회와 조선공산당북조선분국 = 57
1) 분할점령과 공산당의 남북분립 = 57
2) 인민위원회와 사회단체의 남북분립 = 77
3...
목차 전체
목차
책을 내면서 = 5
서장 - 과제와 방법 = 23
1. 문제의 제기 = 25
2. 기존의 연구와 자료 = 31
3. 구성과 방법 = 45
제1장 해방과 인민위원회(1945 ∼ 1946) = 55
1. 인민위원회와 조선공산당북조선분국 = 57
1) 분할점령과 공산당의 남북분립 = 57
2) 인민위원회와 사회단체의 남북분립 = 77
3) 분국 제3차 확대집행위원회 = 83
4) 보론 : 조선공산당북조선분국 창설에 관하여 = 93
2. 초기의 산업관리체제 = 111
1) 인민위원회와 공장위원회 = 111
2) 노동조합과 직업동맹 = 114
3. 초기의 지방인민위원회와 농민위원회 = 120
1) 인민위원회ㆍ농민조합ㆍ농민위원회 = 120
2) 전국농민조합총연맹 = 124
3) 식량 문제 = 130
4. 소결 = 134
제2장 '인민민주주의국가' 수립과 '당=국가'(1946 ∼ 1950) = 137
1. 중앙집권화와 당의 성장 = 139
1) 북조선임시인민위원회의 수립 = 139
2) 토지개혁과 당조직의 확대ㆍ정비 = 161
3) 북조선민주주의민족통일전선 결성과 북조선로동당 창립 = 169
2. 정부수립과 '당=국가' = 185
1) 북조선인민위원회와 인민회의의 수립 = 185
2) 북조선로동당 제2차대회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수립 = 193
3) '당=국가' 및 당ㆍ정관계의 특질 = 238
3. 인민군의 창설과 당ㆍ군관계 = 250
1) 조선인민군과 항일무장투쟁의 전통 = 250
2) 창군 당시 당ㆍ군관계의 특질 = 271
3) 인민위원회와 인민군 = 276
4. 당과 산업부문, 노동계급 = 280
1) 직업동맹의 성격과 위치 = 280
2) 산업부문의 당 = 286
3) 경제전문가, 기술자, 노동자 출신의 정치적 진출 = 296
5. '유일관리제'의 실시 = 302
1) 공업관리체계의 중앙집권화과정 = 302
2) 유일관리제와 당의 행정대행 = 305
3) '증산경쟁운동'과 공장관리체계 = 320
6. 토지개혁과 당ㆍ인민위원회ㆍ농민위원회 = 327
1) 토지개혁의 의사결정과정 = 327
2) 토지개혁의 실시과정 = 344
3) 북조선로동당의 창립과 농촌통치체제 = 354
4) 농업생산체제의 변화 = 363
7. 소결 = 372
제3장 6ㆍ25전쟁과 전시체제(1950 ∼ 1953) = 377
1. 6ㆍ25전쟁과 정치세력관계의 변화 = 379
1) 군사지휘체제와 선제공격에 관한 의사결정과정 문제 = 379
2) 무력통일의 실패와 전쟁의 중간총괄 = 386
3) 허가이의 실각 = 392
2. 6ㆍ25전쟁과 당ㆍ군관계 = 398
1) 당내 군사적 비중 증대와 여러 군사적 구성요소 = 398
2) 전쟁발발 전후 군내 정치조직의 변화 = 403
3) 인민군내 정치기관 및 당단체의 설치 = 410
4) 김일성의 반격과 박일우의 탈락 = 421
3. 전쟁의 정치ㆍ군사적 귀결 = 428
1. 군사이데올로기의 추이 = 428
2. 김일성의 권력기반 강화 = 433
3. 6ㆍ25전쟁의 책임문제와 박헌영 및 남로당파 숙청 = 436
4. 전시생산체제와 지방통치체제의 변화 = 448
1) 전시산업체제로의 이행과 전시노동입법 = 448
2) 전시농업생산체제 = 454
3) 농민시장과 농업집단화의 맹아 = 463
4) 체제의 동요화 지방통치체제 개편 = 466
5) 전후 사회주의 건설에의 함의 = 482
5. 소결 = 490
제4장 전후경제복구건설과 사회주의적 개조(1953 ∼ 1958) = 495
1. 전후 정치 역학관계의 변화와 소련계 비판 = 497
1) 전후초기 정치세력관계의 재편 = 497
2) 새로운 국내계 세력의 대두 = 503
3) 사회주의혁명의 선언 = 509
4) 종파문제의 내연과 민족해방운동 해석을 둘러싼 갈등 = 514
5) 「주체」의 제기와 소련계 비판 = 520
2. 개인숭배 비판과 「8월종파사건」 = 529
1) 개인숭배 비판 = 529
2) 제3차 당 대회 = 537
3) 반대파의 반격 - '8월 정원회의' = 553
4) 외부 정세 변화와 당내 숙청의 개시 = 567
3. 전후의 당ㆍ군관계 = 590
1) 정전 이후 당ㆍ군관계 및 군내 세력관계 = 590
2) 새로운 '민주기지론' = 595
3) 전후인민경제복구건설과 군 = 597
4) 전후 창군이념의 추이 = 601
4. 전후 경제건설에서 중공업중시노선의 추이와 성장속도 문제 = 603
1) 전후 복구 3개년 계획과 중공업우선 노선의 진퇴 = 603
2) 중공업중시 노선의 '반격'과 '확대균형노선'의 문제 = 610
3) 경제부문에서 소련계 비판과 반대파의 반발 = 613
4) 제1차 5개년계획 수립 지연과 생산에 대한 현지지도의 본격화 = 621
5. 전후 산업부문에서 당ㆍ직업동맹 = 627
1) 전후의 노동문제와 공장관리체제 = 627
2) 생산에 대한 당의 통제권한 부여 = 632
3) 개인상공업의 사회주의적 개조와 '반탐오ㆍ반낭비투쟁' = 637
4) 당경제부서의 변화와 당사업에서 '행정대행' 문제 = 644
5) 전후 직업동맹의 변천 = 651
6. 농업집단화의 전개와 완료 = 658
1) 농업집단화의 의사결정과정과 초기단계 = 658
2) 농업집단화의 대중적 단계로의 전개 = 668
3) 집단화에 대한 당 역량의 집중투입과 당내 대립 = 680
4) 이탈 움직임과 집단화 완성의 강행 = 700
7. 농업집단화의 중요 측면 = 720
1) 곡물생산량통계의 수수께끼 = 720
2) 농업협동조합ㆍ당ㆍ인민위원회 = 746
8. 소결 = 760
제5장 '국가사회주의'와 당의 '일원적 지도(一元的 指導)' 체제 확립(1958 ∼ 1961) = 765
1. 만주파의 권력 장악과 당의 '일원적 지도' 체제 = 767
1) 제1차 당대표자대회와 숙청의 총괄 = 767
2) 당기구 확대와 세력관계의 변화 = 782
3) 제4차 당대회 : 「승리자의 대회」 = 788
2. 만주파의 당ㆍ군 장악과 당ㆍ군 일체화 = 801
1) 군내 연안계 및 소련계 숙청 = 801
2) 당ㆍ군관계의 전환과 인민군당위원회 설치 = 806
3) 군사부문에서 민족주의의 강조 = 811
4) 만주파의 군장악과 당ㆍ군 일체화 = 820
3. 사회주의 대고조에서 「자력갱생」ㆍ「국방ㆍ경제 병진」으로 = 826
1) 제1차 5개년 계획과 사회주의 대고조 = 826
2) 계획의 조기 달성과 경제성장 속도 문제 = 833
3) 「완충기」의 설정 : 저성장과 소비재 중시 = 836
4) 7개년 계획과 고성장 노선으로의 복귀 = 840
5)「자력갱생」과 「국방ㆍ경제 병진」노선 = 842
4. 공업부문에서 직업동맹 및 당사업체계의 전환 = 846
1) 집단혁신운동에서 천리마운동으로 = 846
2) 직업동맹의 성격변화 = 854
3) 공업부문에서 당 우위 원칙 확립 = 857
4) 공장관리에서 당의 일원적 통제체제 확립 = 864
5. 농촌당제도의 전환 = 875
1) 지방 토착공산주의자의 숙청과 혁명전통 확립 = 875
2) 청산리방법 : 당의 일원적 지도체계 = 887
3) 군협동농장경영위원회와 농업지도체계 개편 = 897
6. 소결 = 913
종장 = 923
부표
1. 당ㆍ인민위원회ㆍ사회단체 간부직업 경력 = 935
2. 역대 당대회 간부직업명 = 941
3. 내각 상ㆍ부상, 기타 고위간부직업 경력 = 947
4. 역대 최고인민회의 명부 및 직업명 = 956
5. 조국통일민주주의전선 명부 = 968
참고문헌 = 969
찾아보기 = 1019
서평 (0 건)
*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. 한글 기준 10자 이상 작성해 주세요.
서평추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