목차 일부
차 례
지은이의 말 =7
I. 표상, 그는 어떤 음악가로 기억되고 있는가?
1. 애국가의 작곡가 =23
2. 첼리스트에서 오케스트라 지휘자로 =26
3. <코리아 판타지>의 작곡가 =32
II. 발견, 1941~44년 어떤 일들이 있었는가?
1. 1941년 베를린에서의 안익태=41
2. 안익태의 귀국계획 =44
3. 에키타이 안의 음악적 캐리어-1942년...
목차 전체
차 례
지은이의 말 =7
I. 표상, 그는 어떤 음악가로 기억되고 있는가?
1. 애국가의 작곡가 =23
2. 첼리스트에서 오케스트라 지휘자로 =26
3. <코리아 판타지>의 작곡가 =32
II. 발견, 1941~44년 어떤 일들이 있었는가?
1. 1941년 베를린에서의 안익태=41
2. 안익태의 귀국계획 =44
3. 에키타이 안의 음악적 캐리어-1942년 =48
4. 지휘자 안익태의 전성기- 1943년 =56
5. 베를린-파리-바르셀로나 : 스페인으로의 피신 =65
6. 일본 음악가 에키타이 안 =68
III. 탐색, 음악과 삶, 그리고 일독회
1. 1940년대 일독회의 프로파간다 역할 =75
2. 일독회의 지휘자 에키타이 안 =84
3. 일본 음악가로서 안익태의 문화-정치적 역할 =101
IV. 환상, 심포니적 판타지 <코리아 판타지>의 수수께끼
1. 1940년 안익태 연주회 피평문의 진실 =117
2. 보이지 않는 <코리아 판타지>의 존재 =127
3. 독일에서의 대표작은 <에텐라쿠> =133
4. <에텐라쿠>가 <강천성악>? =144
5. 고노에 히데마로와 안익태의 관계 : 채타에서 경쟁자로 =151
V . 신화, 리하르트 슈트라우스
1. 두 일황의 문제점 =169
2. 언제슈트라우스의 제자가 되었나? =172
3. 1942년 슈트라우스의 인정을 받는 안익태 =189
4. 안익태와 에하라 고이치의 친분 =194
5. 슈트라우스, 에하라, 안익태 그리고 <만주국 축전곡> =196
6. 안익태 홍보용 팸플릿(1942/43년)의 정보 =211
7. 다섯 가지 가설 =214
VI. 잃어버린 시간, 독일에서의 안익태
1. 야심이 강한 음악가의 정치적 이용 가치 =211
2. '일본의 토스카니니' 안익태 =226
3. 식민지 음악엘리트의 모순 : 긍정적 일본 경험과 애국 사이에서 =232
끝맺으며 =238
미주 =244
참고문헌 =256
안익태 연보 =264
서평 (0 건)
*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. 한글 기준 10자 이상 작성해 주세요.
서평추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