목차 일부
목차
책머리에
존재를 흔드는 만남 = 5
제1부 유르스나르의 생애와 작품세계
제1장 고독한 유년시절(1903년∼1918년)
1. 축복받지 못한 출생 = 21
2. 기다림을 배우다 = 23
3. 쟌느 드 비에텡고프 = 26
4. 자연을 벗 삼아 = 28
5. 방랑자 아버지를 따라 = 30
제2장 작가의 꿈은 시작되다(1919년∼1929년...
목차 전체
목차
책머리에
존재를 흔드는 만남 = 5
제1부 유르스나르의 생애와 작품세계
제1장 고독한 유년시절(1903년∼1918년)
1. 축복받지 못한 출생 = 21
2. 기다림을 배우다 = 23
3. 쟌느 드 비에텡고프 = 26
4. 자연을 벗 삼아 = 28
5. 방랑자 아버지를 따라 = 30
제2장 작가의 꿈은 시작되다(1919년∼1929년)
1. 습작 시절 = 35
2. 『소용돌이』와 빌라 아드리아나 = 37
3. 문학적 실험기 = 38
제3장 완벽한 자유의 시기(1929년∼1939년)
1. 여행가방 하나 달랑 들고 = 43
2. 동성애 테마와 『알렉시 혹은 헛된 전투의 조약』(1929) = 45
3. 운명적인 사랑과 『새로운 에우리디케』(1931) = 48
4. 현대 이탈리아의 발견, 『꿈의 은화』(1934) = 51
5. 불가능한 사랑의 『불』(1936) = 52
6. 그리스인 애인과 『동양 이야기들』(1938) = 59
7. 밤의 자서전, 『꿈과 운명』(1938) = 62
8. 신의 은총 그레이스 프릭과 『최후의 일격』(1939) = 63
제4장 평범한 삶으로의 은둔(1939년∼1950년)
1. 대서양을 건너다 = 69
2. 몽-데제르 섬과 쁘띠뜨 쁠레장스 = 72
3. 글을 쓰지 못하는 영혼의 밤 = 77
4. 여행 가방이 실어다 준 황제에 대한 꿈 = 79
제5장 위대한 작가의 탄생(1951년∼1970년)
1. 공감의 마술과 『하드리아누스의 회상록』(1951) = 83
2. 남성적 글쓰기 = 88
3. 목소리의 초상 = 91
4. 창작과 여행, 균형을 찾다 = 94
5. 글쓰기의 완성, 『흑의 단계』(1968) = 100
6. 평정된 세상에서 어둠의 세계로 = 103
7. 자기를 찾아 떠나는 여행 = 107
제6장 어둠을 밝히는 불꽃이 되어(1971년∼1987년)
1. 동양철학의 발견 = 113
2. 잃어버린 유년의 땅을 찾아 = 116
3. 어머니라는 트라우마, 『경건한 추억들』(1974) = 118
4. 아버지 전상서 ,『북쪽 지방의 고문서』(1977) = 121
5. 삶의 마지막 동반자, 제리 윌슨 = 123
6. 아카데미의 영광과 사랑의 고통 사이 = 125
7. 거울에 비친 자아, 『뭐? 영원이라고』(1988) = 129
제2부 유르스나르의 소설 및 자서전 연구
제7장 1930년대 소설들과 유고작의 비교 연구
1. 『뭐? 영원이라고』에 비추어본 초기 소설들 = 137
2. 『알렉시』 혹은 모니끄의 답장 = 138
3. 『새로운 에우리디케』 혹은 삼각관계의 재구성 = 144
4. 『최후의 일격』 혹은 사실적 환상 = 148
5. 유르스나르 글쓰기의 전형적 특징 = 151
제8장 르네상스 플랑드르 미술로 다시 읽는 『흑의 단계』
1. 문학과 미술의 교차 = 157
2. 르네상스의 지식인 제농과 알브레히트 뒤러 = 160
3. 관능적 쾌락과 히에로니무스 보슈 = 171
4. 뮌스터 대학살과 피테르 브뢰겔 = 177
5. 시대의 어둠을 넘어 = 183
제9장 유르스나르와 자서전의 공간
1. 자서전과 소설 사이, 자서전의 공간 = 187
2. 가족 소설에서 자서전으로 = 191
3. 소설 속의 자서전 = 193
4. 새로운 자서전인가 불가능한 자서전인가? = 199
5. 고유명사의 유희 = 204
6. 실제 사실의 허구로의 변형 = 208
7. 문학적 총체로서의 『세상의 미로』 = 213
제10장 자서전과 유년시절
1. 전통적인 유년기 이야기에 대한 도전 = 217
2. 출생 이야기의 연출 = 219
3. 유년기 추억들의 배치 = 223
4. 부정의 글쓰기 = 227
5. 유년시절과 정체성 = 230
제11장 유르스나르와 여성의 정체성
1. 여성 문학과 유르스나르 = 241
2. 1인칭과 3인칭 서술 소설에서 여성 = 245
3. 여성의 언어, 침묵 = 249
4. 여성 혐오와 이상화 사이 = 251
5. 여성의 육체, 혹은 정체성의 위기 = 255
6. 존재의 변증법 = 258
〈부록〉
마르그리뜨 유르스나르 연보 = 263
마르그리뜨 유르스나르의 작품 = 271
마르그리뜨 유르스나르 관련 연구 = 274
서평 (0 건)
*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. 한글 기준 10자 이상 작성해 주세요.
서평추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