목차 일부
목차
머리말 = 3
제1부 가족의 이해
제1장 가족의 이해 및 관점 = 15
1. 가족의 이해 = 16
1) 전통적인 가족의 정의 = 17
2) 현대적인 가족의 정의 = 18
2. 가족의 관점 = 19
1) 일반적인 사회통념 = 20
2) 구조기능주의 관점 = 21
3) 성 평등적 관점 = 22
3. 가족부양기능의 변...
목차 전체
목차
머리말 = 3
제1부 가족의 이해
제1장 가족의 이해 및 관점 = 15
1. 가족의 이해 = 16
1) 전통적인 가족의 정의 = 17
2) 현대적인 가족의 정의 = 18
2. 가족의 관점 = 19
1) 일반적인 사회통념 = 20
2) 구조기능주의 관점 = 21
3) 성 평등적 관점 = 22
3. 가족부양기능의 변화 = 25
1) 여성의 경제활동과 가족부양기능의 변화 = 26
2) 노인부양의 실태와 돌봄 노동의 사회화 필요성 = 28
4. 가족에 대한 인식과 논의 = 30
1) 가족 변화에 대한 건강가정기본법의 인식과 문제 = 30
2) 가족지원기본법(안)의 가족개념 = 32
제2장 현대가족의 이해 = 34
1. 사회변화와 가족의 변화 = 34
1) 성역할변화와 가족관계의 변화 = 34
2) 가족관련 사회변화와 가족구조의 변화 = 37
3) 가족기능의 변화 = 43
4) 가족주기의 변화 = 44
2. 가족구조의 다양화에 따른 가족유형 = 46
1) 맞벌이가족 = 46
2) 한부모가족 = 48
3) 재혼가족 = 49
4) 무자녀가족 = 51
5) 동거가족 = 52
6) 독신가족 = 53
제2부 가족복지의 접근방법
제3장 가족복지의 정책적 접근 = 57
1. 가족복지정책의 개념 및 유형 = 58
1) 가족복지정책의 정의 = 58
2) 가족복지정책의 유형화 = 60
2. 가족 관련법과 가족복지정책 = 64
1) 민법 : 가족법 = 65
2) 사회보장법 = 66
3) 건강가정기본법 = 68
3. 가족복지정책의 현황 = 70
1) 가족을 일차대상으로 하는 정책 = 71
2) 가족을 '돌봄' 측면에서 보는 가족복지정책 = 72
3) 가족에게 영향을 주는 기타 사회복지정책 = 74
4. 가족복지정책의 과제 및 발전방향 = 75
제4장 가족복지의 실천적 접근 = 77
1. 사정과 계획 = 78
1) 가족에 초점두기 = 79
2) 관계형성 = 80
3) 가족 사정 = 81
2. 개입 = 92
1) 가족 구성원과 세대간 관계에 대한 개입 = 92
2) 외부환경에 대한 개입 = 102
3. 평가와 종결 = 105
1) 종결의 유형 = 105
2) 종결의 과제 = 107
제3부 가족생활주기와 가족복지
제5장 독립 및 결혼기 가족 = 115
1. 일반적 이해 = 115
1) 정의 = 115
2) 현황 = 116
2. 가족발달과업 = 119
1) 독립기 = 119
2) 결혼기 가족 = 120
3. 독립 및 결혼기 가족을 위한 실천적 개입 = 124
1) 가족상담 = 124
2) 교육프로그램 = 126
3) 독립 및 결혼기 가족을 위한 프로그램의 현황 및 과제 = 127
제6장 자녀양육기 가족 = 129
1. 일반적 이해 = 129
1) 정의 = 129
2) 현황 = 130
2. 가족발달과업 = 133
1) 학령전 자녀 가족 = 133
2) 학령기 자녀 가족 = 137
3) 청소년기 자녀 가족 = 139
3. 자녀양육기 가족을 위한 실천적 접근 = 143
1) 가족상담 = 143
2) 부모교육 프로그램 = 145
제7장 중년기 가족 = 151
1. 중년기 가족의 일반적 이해 = 151
1) 중년기의 정의 = 151
2) 중년기의 특성 = 153
2. 중년기 가족의 발달과업 = 157
1) 주요 발달과업 = 158
2) 중년기의 위기 및 욕구 = 164
3. 중년기 가족을 위한 실천적 접근 = 171
1) 가족관계 훈련 = 171
2) 정신보건 서비스 = 173
3) 조기 은퇴자 재취업훈련 = 174
제8장 노년기 가족 = 176
1. 노년기 가족의 이해 = 176
1) 노년기 가족의 정의 = 176
2) 노년기 가족의 현황 = 178
2. 노년기 가족의 발달과업 = 181
1) 노년기의 역할전환과 가족관계 = 182
2) 노년기 가족의 부양 = 186
3) 죽음에 대한 적응 = 187
3. 노년기 가족을 위한 서비스 = 189
1) 노년기 부부집단 프로그램의 실제 = 190
2) 노인질환자 가족의 부양부담 완화를 위한 가족지원서비스 = 192
제4부 가족문제와 가족복지
제9장 빈곤 가족의 가족복지 = 197
1. 빈곤 가족의 이해 = 197
1) 빈곤 가족의 개념정의 = 197
2) 빈곤 가족의 발생원인과 현황 = 199
2. 빈곤 가족의 특성 = 203
1) 경제적 결핍 = 203
2) 만성적 건강문제 = 204
3) 심리사회적 위축과 소외 = 205
4) 가족갈등 및 가족해체 = 206
5) 자녀의 발달부진 및 부적응 = 206
3. 빈곤 가족에 대한 사회복지정책 및 서비스 현황 = 207
1) 기초보장에 대한 가족지원 = 207
2) 빈곤아동 양육지원 = 211
3) 소년소녀가정세대에 대한 지원 = 213
4) 경로연금에 대한 노인가족 지원 = 214
5) 장애수당 및 장애아동부양수당을 통한 장애인 가족지원 = 215
6) 모부자복지법에 의한 모ㆍ부자가족 지원 = 216
4. 빈곤 가족 예방 및 대책 = 216
1) 빈곤 가족 발생 예방대책 방향 = 216
2) 빈곤 가족에 대한 지원대책 방향 = 218
제10장 한부모 가족의 가족복지 = 221
1. 한부모 가족의 이해 = 221
1) 한부모 가족의 개념정의 = 221
2) 한부모 가족의 발생원인과 현황 = 224
2. 한부모 가족의 심리사회적 경험과 문제점 = 227
1) 사회적 편견과 차별 = 227
2) 경제적 문제 = 228
3) 이혼부모의 심리사회적 변화 = 230
4) 자녀양육문제 = 231
3. 한부모 가족에 대한 사회복지정책 및 서비스 현황 및 문제점 = 235
1) 사회보험 및 공공부조 = 235
2) 모부자복지법에 근거한 지원 내용 = 236
3) 모ㆍ부자 복지시설 = 237
4) 자녀지원 = 238
4. 한부모 가족 예방 및 대책 = 241
1) 한부모 가족 발생 예방 대책 방향 = 241
2) 한부모 가족에 대한 지원 대책 방향 = 242
제11장 아내학대 가족의 가족복지 = 246
1. 아내학대의 이해 = 246
1) 아내학대 개념의 정의 = 246
2) 아내학대의 발생현황 = 248
2. 아내학대에 대한 이론적 접근과 영향 = 251
1) 아내학대에 대한 이론적 접근 = 251
2) 아내학대 피해자의 문제 = 256
3) 아내학대 가족내 아동의 문제 = 258
3. 아내학대 가족을 위한 서비스 현황과 문제점 = 259
1) 학대받는 아내 보호 관련 법 현황 = 259
2) 학대받는 아내를 위한 서비스 현황 = 262
3) 현행 서비스 체계의 문제점 = 265
4. 아내학대 예방 및 대책 = 267
1) 아내학대 예방적 차원의 대책방향 = 268
2) 아내학대 가족에 대한 대책방향 = 269
제12장 아동학대 가족의 가족복지 = 273
1. 아동학대의 이해 = 273
1) 아동학대의 개념정의 = 274
2) 아동학대 현황 = 275
2. 아동학대에 대한 이론적 접근과 아동학대의 영향 = 277
1) 아동학대 원인에 대한 이론적 접근 = 277
2) 학대피해아동의 문제 = 282
3. 아동학대 가족을 위한 서비스 현황과 문제점 = 284
1) 아동학대 관련 법 현황 = 284
2) 학대피해아동을 위한 서비스 현황 = 285
3) 현행 서비스 체계의 문제점 = 290
4. 아동학대 예방 및 대책 = 292
1) 아동학대 예방적 차원의 대책방향 = 292
2) 아동학대 가족을 위한 대책방향 = 294
제13장 장애인 가족과 가족복지 = 298
1. 장애인 가족의 이해 = 298
1) 장애인 가족의 개념정의 = 298
2) 장애인 가족의 현황 = 300
2. 장애가 가족에게 미치는 영향 = 302
1) 장애에 대한 가족의 반응 = 302
2) 장애가 가족관계와 적응에 미치는 영향 = 304
3. 장애인 가족을 위한 서비스 현황 = 306
1) 장애 영유아 프로그램 = 307
2) 부모교육 = 307
3) 가족사정과 가족상담 = 308
4) 가족관계 강화 = 308
4. 장애인 가족을 위한 서비스 대책 = 310
1) 가족생활주기에 따른 생애지속적 서비스 체계 = 310
2) 가족 참여의 확대 = 312
3) 가족의 역량강화 = 313
4) 가족-전문가의 동등한 협력관계 강화 = 314
제14장 다문화 가족과 가족복지 = 316
1. 한국 사회의 문화적 다양화 = 316
2. 다문화 가족의 현황과 문제 = 318
1) 외국인 노동자의 유입과 코시안(Kosian) = 318
2) 국제결혼의 증가 = 322
3) 북한이탈주민 가정의 증가 = 325
3. 다문화 가족의 문제에 대한 대책 = 330
1) 다문화 가족을 위한 서비스 = 330
2) 사회복지정책적 대책 = 333
제5부 가족복지의 과제와 전망
제15장 가족복지의 과제와 전망 = 337
1. 가족복지의 현황과 문제점 = 338
1) 가족복지에 대한 정의와 실천에 관련된 부분 = 338
2) 한국 가족복지정책의 문제 = 339
3) 가족복지서비스에 대한 고민과 한계점에 대한 비판 = 341
4) 전달체계에 대한 문제점 = 342
2. 가족복지의 과제와 전망 = 343
1) 가족복지의 방향 = 343
2) 가족복지의 실천적 과제 = 346
참고문헌 = 353
찾아보기 = 369
서평 (0 건)
*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. 한글 기준 10자 이상 작성해 주세요.
서평추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