목차 일부
목차
서문 = 3
제1장 음악 심리치료 개관 = 17
심리치료와 음악 = 17
방법 = 20
정신역동적 동향 = 28
참고문헌 = 30
제2장 전이의 특질 = 31
정의 = 32
과거와 현재 = 33
적절성과 부적절성 = 34
개인적 그리고 상호적 = 35
무의식과 의식 = 37
전 오이디푸스 콤플렉스와 오이디푸스 콤플렉스 = 37
근원...
목차 전체
목차
서문 = 3
제1장 음악 심리치료 개관 = 17
심리치료와 음악 = 17
방법 = 20
정신역동적 동향 = 28
참고문헌 = 30
제2장 전이의 특질 = 31
정의 = 32
과거와 현재 = 33
적절성과 부적절성 = 34
개인적 그리고 상호적 = 35
무의식과 의식 = 37
전 오이디푸스 콤플렉스와 오이디푸스 콤플렉스 = 37
근원 = 39
대상 = 40
단수와 다수 = 40
긍정과 부정 = 41
구체화와 일반화 = 41
개입과 부재 = 42
언어적 그리고 비언어적 = 43
결론 = 43
참고문헌 = 44
제3장 전이의 역동성 = 47
관련된 메커니즘 = 47
임상적 목표 = 54
결론 = 58
참고문헌 = 59
제4장 역전이의 이해 = 61
정의의 역사적 변천 = 61
근원 = 63
활성제 = 64
동일시 = 67
대상 = 70
결과 = 71
결론 = 76
참고문헌 = 77
제5장 역전이의 징후 = 79
개인주관적 역전이의 징후 = 80
상호 주관적 역전이의 징후 = 87
결론 = 97
참고문헌 = 97
제6장 역전이의 노출과 처리 기술 = 99
세션적 기법 = 100
경험적 자기 탐구 = 107
반영적 자기 탐구 = 115
슈퍼비전 = 119
음악 심리치료의 자기경험 = 120
음악적 자기의 자양분 공급 = 121
결론 = 122
참고문헌 = 124
제7장 개별 음악치료에서 저항 = 125
저항의 정의 = 126
음악치료 문헌 = 127
음악에 대한 저항 = 128
결론 = 137
참고문헌 = 138
제8장 역전이에서 심미의 역할 - 적극적ㆍ수용적 음악치료 간의 비교 = 141
고전적 역전이의 심미적 요소 = 142
일치적 동일시 = 150
적극적ㆍ수용적 음악치료에서 보완적 동일시 = 154
적극적ㆍ수용적 접근 = 156
음악치료에서 미학 - 승화, 방어, 왜곡, 그리고 즐거움 = 158
참고문헌 = 160
제9장 Nordoff-Robbins 음악치료에서 전이와 역전이 = 163
일차적인 임상적 매개체와 변화의 동인으로서 음악 = 169
임상적인 의도를 가진 음악적 요소와 구조 사용하기 = 170
미학적 형식의 임상적 가치 = 181
창조적 과정 = 188
세션 기록의 리뷰 = 190
치료팀 = 192
사례 연구 = 194
결론 = 210
참고문헌 = 211
제10장 분석적 음악치료에서 음악적 역전이 = 215
음악적 역전이의 중요성 = 215
분석적 음악치료의 정의 = 216
음악적 역전이의 유형 = 218
역전이의 징후 = 241
결론 = 245
참고문헌 = 246
추천도서 = 246
제11장 두 가지 즉흥연주 유형에서 전이 경험 = 249
데이터 수집 = 250
데이터 분석 = 251
절차 = 251
추론 = 272
결론 = 274
참고문헌 = 275
추천도서 = 275
제12장 그룹 음악치료에서 전이와 역전이 = 277
그룹치료에서 음악 = 279
다른 환경에서 전이 문제 = 280
그룹 음악치료에서 역전이 = 286
참고문헌 = 287
추천도서 = 288
제13장 외상 환자의 정신분석적 음악치료에서 관계적 이슈 = 289
나의 치료적 태도 = 291
노래 = 291
즉흥연주 = 292
해리 = 294
분리 = 296
재현: 사례 연구 = 298
결론 = 302
참고문헌 = 302
제14장 내면의 노래 - 성인 성악 즉흥연주에서 전이와 역전이 = 305
발성 지지 기법 = 306
자유 연상적 노래 = 309
사례 연구 = 311
결론 = 321
참고문헌 = 323
제15장 무의식적으로 유도된 노래 회상 - 역사적 관점 = 325
SIGMUND FREUD: 의도하지 않은 노래의 허밍 = 327
THEODORE REIK: 잊혀지지 않는 선율 = 334
JEAN B. ROSENBAUM: 전이의 노래 = 336
FRANCES HANNETT: 잊혀지지 않는 가사 = 339
LAWRENCE H. ROCKLAND: 대중가요 = 341
CASSANDRA M. KLYMAN: 오페라의 환기 = 342
DANIELS JAFFE: 역전이적 오페라 = 344
결론 = 346
참고문헌 = 347
제16장 의식적으로 유도된 노래 회상 - 전이ㆍ역전이 함축 = 353
유도된 노래 회상 = 354
유도된 영화음악 = 364
결론 = 368
참고문헌 = 368
제17장 임상적 노래 만들기에서 역전이 = 373
역동적 과정을 위한 용기로서 음악 = 374
역전이의 객관화 = 377
노래 만들기에서 객관화 = 383
결론 = 389
참고문헌 = 390
추천도서 = 391
제18장 유도된 심상과 음악에서 전이의 징후 = 393
전이의 대상 = 394
결합과 근원 = 396
주제 이슈 = 400
활성화 조건 = 407
징후 = 10
역전이 = 414
결론 = 416
제19장 유도된 심상과 음악에서 순수 음악 전이 = 417
대상관계이론에서 전이의 정의 = 419
GIM에서 전이의 정의 = 419
순수 음악 전이에 관한 개인적 기원 = 423
GIM에서 순수 음악 전이 확립의 이점 = 424
클라이언트-치료사 관계 = 426
치료사-음악 관계 = 427
GIM에서 심상의 기능 = 427
순수 음악 전이에 관한 임상 사례 = 428
결론: 전이의 최종적 해결 = 440
참고문헌 = 441
제20장 유도된 심상과 음악에서 전이 구조 = 445
협동 치료사로서 음악 = 450
치료사의 연장으로서 음악 = 452
치료사의 선물로서 음악 = 453
세 가지 견해의 요약 = 454
GIM 세션의 구조적인 견해 = 455
참고문헌 = 458
제21장 유도된 심상과 음악치료에서 전이 자기 분석 = 461
세션 = 462
심상 = 463
분석 = 463
해석 = 466
결론 = 468
참고문헌 = 469
제22장 유도된 심상과 음악에서 의식의 양식 - 치료사의 가이딩 과정 경험 = 471
'그곳에 있는 것' = 471
의식의 개념 = 473
GIM = 473
이 장의 목적 = 474
이론 = 475
세션: 부분 1 = 478
이론 = 484
세션 2: 부분 2 = 491
이론 = 496
결론 = 500
참고문헌 = 504
제23장 클라이언트의 심상을 재상상하는 것 - 유도된 심상과 음악에서 전이와 역전이 탐구 기법 = 505
배경 = 505
재상상 기법의 개발 = 507
심상 = 510
역전이 분석 = 513
전이 분석 = 522
치료 기법 = 524
결론 = 525
제24장 클라이언트의 심상을 재상상하는 것 - 투사적 동일시를 밝혀 내는 기법 = 527
재상상 기법 = 527
사례 연구 = 528
분석 방법 = 532
결론 = 538
찾아보기 = 539
서평 (0 건)
*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. 한글 기준 10자 이상 작성해 주세요.
서평추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