목차 일부
목차
제1장 교육의 개념적 기초 = 13
1 교육의 어원과 비유 = 14
1) 교육의 어원 = 14
2) 교육의 비유 = 18
2 교육의 정의방식과 대표적 정의 = 21
1) 교육의 정의방식 = 23
2) 교육의 대표적 정의 = 26
3 교육의 목적과 교육학의 성격 = 37
1) 교육의 목적 = 38
2) 교육학의 학문적 성격 =...
목차 전체
목차
제1장 교육의 개념적 기초 = 13
1 교육의 어원과 비유 = 14
1) 교육의 어원 = 14
2) 교육의 비유 = 18
2 교육의 정의방식과 대표적 정의 = 21
1) 교육의 정의방식 = 23
2) 교육의 대표적 정의 = 26
3 교육의 목적과 교육학의 성격 = 37
1) 교육의 목적 = 38
2) 교육학의 학문적 성격 = 40
제2장 교육의 역사적 기초 = 47
1 교육사 학습의 필요성 = 48
1) 교육사 학습의 목적 = 48
2) 교육사 접근의 방법 = 50
2 교육의 발생과 제도적 교육의 전개 = 52
3 서양교육의 역사적 전개 = 54
1) 서양의 전통적 교육 = 54
2) 서양의 근대교육 = 63
4 한국교육의 역사적 전개 = 67
1) 한국의 전통적 교육 = 67
2) 한국의 근대교육 = 77
제3장 교육의 철학적 기초 = 89
1 교육철학의 학문적 성격 = 90
1) 교육철학의 역할과 과제 = 90
2) 교육철학의 방법 = 94
2 현대 교육철학의 사조 = 100
1) 20세기 전반의 교육철학 사조 = 101
2) 20세기 후반의 교육철학 사조 = 105
3 현대 교육철학의 탐구주제 = 111
1) 자유주의와 공동체주의 간의 논쟁 = 112
2) 도덕교육에 대한 다양한 접근들 = 113
3) 공교육의 역할과 민주사회에서의 시민교육 = 114
4) 근대성, 합법성, 교육적 실천 간의 관계 = 116
제4장 교육의 심리적 기초 = 121
1 교육심리학의 성격 = 122
2 학습자의 특성 = 122
1) 인간 발달 = 122
2) 개인차와 학습 = 129
3 학습의 원리와 이론 = 134
1) 행동주의 = 134
2) 인지주의 = 140
4 교육심리학의 기능 = 146
제5장 교육의 사회적 기초 = 153
1 교육의 사회적 기능 = 154
1) 기능주의적 관점 = 154
2) 갈등론적 관점: 불평등 재생산이론 = 158
2 교육의 기회균등과 교육평등 = 161
1) 교육평등의 원리 = 161
2) 교육평등과 교육정책 = 165
3) 한국의 교육불평등 = 167
3 사회불평등과 교육 = 170
1) 사회불평등에 대한 관점 = 170
2) 교육의 효과에 대한 기능론적 연구 = 172
3) 교육의 효과에 대한 갈등론적 연구 = 174
4 교육과정사회학 = 176
1) 교육과정사회학의 발전 = 176
2) 잠재적 교육과정의 성격 = 177
제6장 교육과정 = 189
1 교육과정에 대한 기본적 이해 = 190
1) 교육과 교육과정 = 190
2) 교육과정 결정의 세 요소 = 192
3) 교육과정의 다양한 모습 = 196
4) 교육과정의 정의 = 206
2 교육과정 발달의 역사적 이해 = 207
1) 19세기의 교육과정사 = 207
2) 20세기의 교육과정사 = 209
3 교육과정의 개발 = 214
1) 교육과정 개발과정 = 214
2) 우리나라 교육과정의 개발과정 = 216
4 교육과정의 운영과 평가 = 218
1) 교육과정의 운영 = 218
2) 교육과정의 평가 = 219
5 교육과정의 과제와 전망 = 220
1) 교육과정 공부와 직업 진로 = 220
2) 교육과정의 연구 개발 과제 = 221
제7장 교수·학습 = 227
1 교수·학습 = 228
1) 학습의 과정 및 정의 = 228
2) 교수의 정의 및 하위 영역 = 231
2 교수의 3대 변인 = 238
1) 교수의 조건변인 = 239
2) 교수의 방법변인 = 242
3) 교수의 성과변인 = 245
3 가네(Gagn<TEX>$$\acute e$$</TEX>)의 교수이론 = 247
1) 교수이론의 성격 = 247
2) 목표별 학습조건론 = 248
3) 수업사상 = 254
제8장 교육평가 = 261
1 교육평가 = 262
1) 정의 = 262
2) 목적과 기능 = 263
3) 절차 = 263
4) 검사, 측정, 총평 = 264
2 교육평가의 유형 = 266
1) 교수·학습 진행에 따른 평가 = 266
2) 참조준거에 따른 평가 = 268
3 문항제작과 검사이론 = 271
1) 문항과 검사제작 = 271
2) 검사이론 = 272
4 검사도구의 질 = 276
1) 타당도 = 276
2) 신뢰도 = 278
5 교육평가의 동향과 전망 = 280
1) 수행평가 = 280
2) 컴퓨터화 검사 = 282
3) 교육평가의 과제와 전망 = 285
제9장 교육공학 = 291
1 교육공학이란 = 292
1) 교육공학의 개념 = 292
2) 교육공학의 정의 = 293
2 교육공학의 발전 = 299
1) 교수매체의 발전과 변화 = 299
2) 교수설계의 발전과 변화 = 305
3 이론적 학문 분야로서의 교육공학 = 308
1) 교육공학의 이론적 기초 = 308
2) 교육공학의 기본 영역 = 309
4 실천적 응용 분야로서의 교육공학 = 316
1) 교수매체의 선택 및 활용 = 316
2) 교수설계 과정의 수행 = 319
5 교육공학의 미래 전망 = 320
제10장 생활지도와 상담 = 327
1 생활지도의 개념 = 328
1) 교과지도와 생활지도 = 328
2) 생활지도의 대상 = 329
3) 예방으로서의 생활지도 = 330
4) 교육으로서의 생활지도 = 331
5) 민주주의 교육철학으로서의 생활지도 = 332
2 생활지도의 영역과 기능 = 333
1) 학업문제의 조력 = 333
2) 사회성 및 성격발달의 조력 = 338
3) 진로지도 = 341
4) 학급경영(학급관리) = 345
3 상담의 이론과 방법 = 347
1) 생활지도에서 상담의 위치 = 347
2) 학교상담 교육과정의 영역과 목적 = 348
3) 전문상담의 대표적 이론 = 349
4) 개인상담의 기본 전략과 기법 = 353
5) 학교 또래상담 = 356
6) 소집단 상담 프로그램 = 356
4 학교상담의 역사와 제도 = 358
1) 학교상담의 태동과 교도주임제도 = 358
2) 전문상담교사 자격제도 = 359
3) 기타 학교상담 인력 = 361
4) 학교상담 정책 = 363
제11장 교육행정 = 367
1 교육행정의 의의와 개념 = 368
1) 교육행정 현상의 중요성과 본질 = 368
2) 교육행정의 대두 배경 = 370
3) 교육행정의 개념과 유사 개념 = 372
4) 교육행정의 성격과 원리 = 378
2 교육행정학의 성립과 이론의 발달 = 382
1) 교육행정학의 성립 = 382
2) 고전이론 = 385
3) 인간관계론 = 390
4) 행동과학론 = 391
5) 해석론과 새로운 관점들 = 393
6) 조직이론을 중심으로 본 현대 교육행정 이론 = 394
3 우리나라의 교육행정 = 398
1) 우리나라 교육행정의 과제와 동향 = 398
2) 우리나라 교육행정의 주요 관점 영역 = 401
3) 우리나라 교육행정 실제 예시: 지방교육자치제도 = 404
제12장 평생학습과 평생교육 = 411
1 평생학습의 의미 = 412
1) 지적 호흡으로서의 학습 = 412
2) 경험의 구성과정으로서의 학습 = 413
3) 평생학습과 경험의 전 생애적 변화 = 415
2 평생교육의 이해 = 416
1) 학교체제에서 평생교육 체제로의 전환 = 416
2) 교육개념의 확대: 형식, 비형식, 무형식 = 418
3) 평생교육, 평생직업능력 개발 및 인적자원 개발 = 420
3 평생학습사회: 평생교육의 사회적 배경 = 422
1) 평생학습사회의 의미와 전개 = 422
2) 평생학습사회 실현과 평생학습도시 = 424
3) 평생학습사회의 교육체제 = 425
4 이론적 접근: 평생교육론의 기원과 전개 = 427
1) 평생교육론의 사회적 배경 = 427
2) 평생교육론의 진화과정 = 428
3) 평생교육론의 학문적 성격과 과제 = 434
5 한국의 평생교육 = 438
1) 한국 평생교육의 이론적ㆍ실천적 전개과정 = 438
2) 한국형 평생교육 시스템 구축을 위한 과제 = 441
제13장 교사론 = 447
1 교직관 = 448
1) 성직관 = 448
2) 노동직관 = 449
3) 전문직관 = 449
2 교사의 직무와 자질 = 451
1) 교사의 직무 = 451
2) 교사의 자질 = 455
3 교사 발달 = 458
1) 교사 발달의 개념 = 458
2) 교사 발달의 대표적 모형 = 459
3) 교사 발달 이해의 의의 = 462
4 교사의 능력 개발 = 464
1) 현직연수 = 465
2) 장학 = 467
3) 교사의 자기개발 노력 = 473
찾아보기 = 481
서평 (0 건)
*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. 한글 기준 10자 이상 작성해 주세요.
서평추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