닫기
검색

상세정보

우리 시대의 여행소설 = Novel of travel, reiserroman

이미림 , 안지나, 최배은 [공]지음

상세정보
자료유형단행본
서명/저자사항우리 시대의 여행소설 = Novel of travel, reiserroman / 이미림 , 안지나, 최배은 [공]지음
개인저자이미림
안지나
최배은
발행사항파주 : 태학사, 2006
형태사항214 p. : 삽화 ; 23 cm
총서사항한국어문화연구소 총서 ;1
ISBN8959661201
일반주기색인 : p. [211]-214
집필참여: 안지나, 최배은
서지주기참고문헌: p. [203]-210
서지적 각주 수록
분류기호811.309
언어한국어
  • 보존서고자료신청보존서고자료신청
  • 서가에없는도서 이미지서가에없는도서신청
  • 도서 PICK UP 서비스도서 PICK UP 서비스
  • 인쇄인쇄
  • SMS발송SMS발송

전체

전체 메세지가 없습니다
No. 등록번호 청구기호 소장위치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매체정보
1 958772 W 811.309 이미림 우 c3 보존서고B3 B349-7-3 대출가능
2 985084 811.309 이미림 우 c5 세계여성문학관 서가번호 114 대출가능
3 925877 W 811.309 이미림 우 c2 세계여성문학관 서가번호 114 대출가능
4 985083 W 811.309 이미림 우 c4 세계여성문학관 서가번호 114 대출가능

목차

목차 일부

목차
간행사 = 5
들어가는 말 = 7
제1장 여행과 여행소설 = 15
 1. '여행'이란 무엇인가 = 17
  1) 여행의 의미 = 17
  2) 여행의 변천 = 18
 2. 여행소설의 요소 = 23
  1) 장르적 특성 = 23
  2) 여행소설의 명칭 = 25
  3) 기존연구검토 = 26
  4) 연구대상작품 = 29
  5) 여행소설의 개념 = 3...

목차 전체

목차
간행사 = 5
들어가는 말 = 7
제1장 여행과 여행소설 = 15
 1. '여행'이란 무엇인가 = 17
  1) 여행의 의미 = 17
  2) 여행의 변천 = 18
 2. 여행소설의 요소 = 23
  1) 장르적 특성 = 23
  2) 여행소설의 명칭 = 25
  3) 기존연구검토 = 26
  4) 연구대상작품 = 29
  5) 여행소설의 개념 = 30
  6) 여행소설의 특징 = 31
 3. 근대이전 문학 속의 여행 = 42
  1) 신화시대의 여행 = 42
  2) 봉건시대의 여행 = 44
  3) 개화기의 여행 = 47
제2장 식민지 시대의 여행소설 = 51
 1. 근대인 되기와 정주실패 = 53
  1) (정착)-떠남-정착-떠남 구조 및 기차 공간 = 53
  2) 외부에서 온 여행자의 식민지 현실인식 = 57
  3) 묘지화된 조선과 타자화된 조선인 = 61
  4) 집 밖(길 위)의 여성/집 안의 여성 = 63
  5) 정주실패와 근대적 여행 = 68
 2. 삶의 모색과 정착갈망 = 72
  1) (정착)-떠남 구조 및 기억회상 = 72
  2) 근대의 길목, 하얼빈 = 76
  3) 카페여급/혁명가/무직업자의 자기동일화 = 82
  4) 전망상실로서의 성욕과 죽음 = 84
  5) 여성의 사랑/남성의 사랑 = 86
  6) 방관적ㆍ유희적 노마드의 자아탐색을 위한 여행 = 87
 3. 이국취향과 체제안주 = 90
  1) 두 번의 떠남과 경성/기차/하얼빈 사이 = 90
  2) 여행과 타자를 통한 현실읽기 = 95
  3) 정착민으로의 회귀 = 98
  4) 서구지향과 체제안주 = 101
 4. 결론 = 104
제3장 해방 이후의 여행소설 = 111
 1. 시민사회에서 서울시민 되기 = 113
  1) 정착-떠남-정착 구조 및 귀향 = 113
  2) 타자의 자기동일화와 과거 지우기 = 117
  3) 근대인ㆍ서울시민 되기 = 119
 2. 길 위의 여정과 소시민 정착 = 123
  1) 길 위의 구조 및 『젊은 날의 초상』 = 123
  2) 만남을 통한 각성과 성숙를 위한 통과제의 = 128
  3) 자전적 요소 및 낙관적 전망 = 131
  4) 60년대적 삶, 소시민으로의 정착 = 132
 3. 현실도피로서의 미국여행 = 135
  1) (정착)-떠남 구조와 자동차 여행 = 135
  2) 가족ㆍ고국으로의 회귀 = 138
  3) 70, 80년대 한국사회와 길 위의 사람들 = 141
 4. 결론 = 144
제4장 1990년대 이후의 여행소설 = 149
 1. 문학의 위기 및 소설의 길 찾기 = 151
  1) 정착-떠남-정착 구조와 위기의 90년대 = 151
  2) 환상의 귀신사, 숨은 꽃의 발견 = 154
  3) 미로에서 출구 찾기 그리고 거인 그리기 = 157
 2. 여성해방 지표로서의 여행 = 161
  1) 정착-떠남-정착 구조와 현대여성의 위기 = 161
  2) 운명의 수임과 여성의 지난한 삶 = 165
  3) 자매애적 유대감과 제3의 성 = 168
 3. 상처치유를 위한 환상여행 = 172
  1) 정착-떠남-정착의 원점회귀ㆍ이중ㆍ역전 구조 = 172
  2) 눈의 상징성과 아이 찾기 = 179
  3) 구원으로서의 소설, 치유로서의 소설가 = 183
  4) 피안지향성 그리고 현대성 = 185
  5) 윤대녕 문학의 변모와 새로운 여행소설을 기대하며 = 187
 4. 결론 = 190
제5장 맺는 말 = 195
참고문헌 = 203
찾아보기 = 211



이전 다음
 

*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.  한글 기준 10자 이상 작성해 주세요.

서평추가

서평추가
별점
별0점
  • 별5점
  • 별4.5점
  • 별4점
  • 별3.5점
  • 별3점
  • 별2.5점
  • 별2점
  • 별1.5점
  • 별1점
  • 별0.5점
  • 별0점
제목입력
본문입력

글자수:0
  • Tag List

    Tag List 메세지가 없습니다

  • Tag Cloud

    Tag Cloud 메세지가 없습니다

태그추가

태그추가

태그추가
태그입력
태그보기

처음 오셨나요?