목차 일부
목차
간행사 = 5
들어가는 말 = 7
제1장 여행과 여행소설 = 15
1. '여행'이란 무엇인가 = 17
1) 여행의 의미 = 17
2) 여행의 변천 = 18
2. 여행소설의 요소 = 23
1) 장르적 특성 = 23
2) 여행소설의 명칭 = 25
3) 기존연구검토 = 26
4) 연구대상작품 = 29
5) 여행소설의 개념 = 3...
목차 전체
목차
간행사 = 5
들어가는 말 = 7
제1장 여행과 여행소설 = 15
1. '여행'이란 무엇인가 = 17
1) 여행의 의미 = 17
2) 여행의 변천 = 18
2. 여행소설의 요소 = 23
1) 장르적 특성 = 23
2) 여행소설의 명칭 = 25
3) 기존연구검토 = 26
4) 연구대상작품 = 29
5) 여행소설의 개념 = 30
6) 여행소설의 특징 = 31
3. 근대이전 문학 속의 여행 = 42
1) 신화시대의 여행 = 42
2) 봉건시대의 여행 = 44
3) 개화기의 여행 = 47
제2장 식민지 시대의 여행소설 = 51
1. 근대인 되기와 정주실패 = 53
1) (정착)-떠남-정착-떠남 구조 및 기차 공간 = 53
2) 외부에서 온 여행자의 식민지 현실인식 = 57
3) 묘지화된 조선과 타자화된 조선인 = 61
4) 집 밖(길 위)의 여성/집 안의 여성 = 63
5) 정주실패와 근대적 여행 = 68
2. 삶의 모색과 정착갈망 = 72
1) (정착)-떠남 구조 및 기억회상 = 72
2) 근대의 길목, 하얼빈 = 76
3) 카페여급/혁명가/무직업자의 자기동일화 = 82
4) 전망상실로서의 성욕과 죽음 = 84
5) 여성의 사랑/남성의 사랑 = 86
6) 방관적ㆍ유희적 노마드의 자아탐색을 위한 여행 = 87
3. 이국취향과 체제안주 = 90
1) 두 번의 떠남과 경성/기차/하얼빈 사이 = 90
2) 여행과 타자를 통한 현실읽기 = 95
3) 정착민으로의 회귀 = 98
4) 서구지향과 체제안주 = 101
4. 결론 = 104
제3장 해방 이후의 여행소설 = 111
1. 시민사회에서 서울시민 되기 = 113
1) 정착-떠남-정착 구조 및 귀향 = 113
2) 타자의 자기동일화와 과거 지우기 = 117
3) 근대인ㆍ서울시민 되기 = 119
2. 길 위의 여정과 소시민 정착 = 123
1) 길 위의 구조 및 『젊은 날의 초상』 = 123
2) 만남을 통한 각성과 성숙를 위한 통과제의 = 128
3) 자전적 요소 및 낙관적 전망 = 131
4) 60년대적 삶, 소시민으로의 정착 = 132
3. 현실도피로서의 미국여행 = 135
1) (정착)-떠남 구조와 자동차 여행 = 135
2) 가족ㆍ고국으로의 회귀 = 138
3) 70, 80년대 한국사회와 길 위의 사람들 = 141
4. 결론 = 144
제4장 1990년대 이후의 여행소설 = 149
1. 문학의 위기 및 소설의 길 찾기 = 151
1) 정착-떠남-정착 구조와 위기의 90년대 = 151
2) 환상의 귀신사, 숨은 꽃의 발견 = 154
3) 미로에서 출구 찾기 그리고 거인 그리기 = 157
2. 여성해방 지표로서의 여행 = 161
1) 정착-떠남-정착 구조와 현대여성의 위기 = 161
2) 운명의 수임과 여성의 지난한 삶 = 165
3) 자매애적 유대감과 제3의 성 = 168
3. 상처치유를 위한 환상여행 = 172
1) 정착-떠남-정착의 원점회귀ㆍ이중ㆍ역전 구조 = 172
2) 눈의 상징성과 아이 찾기 = 179
3) 구원으로서의 소설, 치유로서의 소설가 = 183
4) 피안지향성 그리고 현대성 = 185
5) 윤대녕 문학의 변모와 새로운 여행소설을 기대하며 = 187
4. 결론 = 190
제5장 맺는 말 = 195
참고문헌 = 203
찾아보기 = 211
서평 (0 건)
*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. 한글 기준 10자 이상 작성해 주세요.
서평추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