목차 일부
보안처분과 소급효금지원칙과의 관계 = 1
독일에서 법인의 형사책임 = 16
피해자의 승낙의 범죄체계론상의 지위 = 30
형법 제23조 자구행위규정의 성립경위 = 41
정당화와 면책의 경계와 근거 = 59
책임과 예방 = 80
책임능력의 판단에 있어서 게놈분석의 적용가능성 = 101
특별한 책임표지와 불법표지의 구별 = 117
금지착오와 회피가능성 = 132...
목차 전체
보안처분과 소급효금지원칙과의 관계 = 1
독일에서 법인의 형사책임 = 16
피해자의 승낙의 범죄체계론상의 지위 = 30
형법 제23조 자구행위규정의 성립경위 = 41
정당화와 면책의 경계와 근거 = 59
책임과 예방 = 80
책임능력의 판단에 있어서 게놈분석의 적용가능성 = 101
특별한 책임표지와 불법표지의 구별 = 117
금지착오와 회피가능성 = 132
과실범에 있어서 주의의무의 성격 = 153
과실범의 주의의무위반과 객관설 주관설의 논쟁 = 168
불능미수에서 결과발생가능성과 위험성 = 184
간접정범의 본질과 간접정범규정의 해석 = 198
간접정범의 본질론에 대한 비판적 고찰 = 235
합동범의 본질과 공동정범의 성립 여부 = 256
사형폐지론에 대한 비판적 검토 = 275
양형책임에 관한 양형이론의 형사정책적 의의 = 289
누범관련규정의 타당성검토 = 309
보호관찰제도의 발전방안 = 338
사망의 판정 = 352
낙태의 해석론과 입법론 = 364
준강도죄의 불법과 책임의 구조 = 387
경영판단행위에 대한 배임죄처벌의 가능성 = 415
심온 김일수 교수님의 문서죄해석론에 대한 고찰 = 434
공무집행방해죄에 있어 '직무집행의 적법성' 판단과 재량권 남용 = 452
자유민주주의수호를 위한 국가보안법폐지론의 창설 = 469
북한형법의 체계와 특색 = 493
정보화사회에서 형법의 임무 = 515
대화적 소송구조관의 이해 = 533
형사소송절차에서의 민사상의 화해 = 552
피의자신문에 있어서 검사의 지위와 형사소송법 제312조 제 1항 합헌결정(2003헌가7)에 관한 소고 = 566
법이념관점에서 죄형법정주의= 584
형법의 임무로서 법익보호원칙에 대한 비판적 논의 = 622
형법해석의 한계 = 639
범행발각 후의 자수 = 655
형법상 절대적 생명보호원칙 = 673
사형폐지론의 이론과 정책 = 692
사형존폐론의 '방법론적' 재검토 = 719
김일수 선생님의 "사형은 폐지되어야 한다"에 덧붙여서 = 732
도그마틱, 정책 그리고 윤리 = 750
'사랑의 법'에 나타난 '저상시내버스 도입'의 필연성 = 766
형법학원론에 대한 서평 = 780
서평 (0 건)
*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. 한글 기준 10자 이상 작성해 주세요.
서평추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