목차 일부
목차
歲寒不改容 : 한겨울에도 변치않는 자태 = 12
一朶抽雲根 : 한떨기 돌뿌리에 솟아나다 = 14
無風亦自香 : 바람이 없어도 저절로 향기롭다 = 16
虛心友竹 : 마음을 비워 대를 벗한다 = 18
功垂竹史 : 功이 竹史에 드리우다 = 20
가을바람 향기에 젖어본다 = 22
風淸蕙帶香 : 맑은 바람에 향기로운 혜초 = 24
暗香疎影 : 은은한 향기 성긴...
목차 전체
목차
歲寒不改容 : 한겨울에도 변치않는 자태 = 12
一朶抽雲根 : 한떨기 돌뿌리에 솟아나다 = 14
無風亦自香 : 바람이 없어도 저절로 향기롭다 = 16
虛心友竹 : 마음을 비워 대를 벗한다 = 18
功垂竹史 : 功이 竹史에 드리우다 = 20
가을바람 향기에 젖어본다 = 22
風淸蕙帶香 : 맑은 바람에 향기로운 혜초 = 24
暗香疎影 : 은은한 향기 성긴 그림자 = 26
不可一日無 : 하루도 그애 없이는 못산다 = 28
虛實同壽 : 虛實이 함께 장수를 누린다 = 30
滿園蒼翠含淸露 風打千竿碎玉聲 : 동산에 가득한 푸른 빛 맑은 이슬 머금어 바람이 대숲에 몰아쳐 옥을 부스리는 소리 = 32
惟君勝春花 : 오직 그대만이 봄꽃을 능가한다 = 33
孤芳待淵明 : 고독한 꽃이 陶淵明을 기다린다 = 34
淸風高節 : 맑은 바람 높은 절개 = 36
幽節孤芳 : 그윽한 절개 고고한 향기 = 38
雪裏春光 : 눈 속의 봄 빛 = 40
괴석은 太古의 빛이요, 竹은 高節을 뜻함이라 = 42
幷石抱幽貞 : 돌과 함께 幽貞한 절개 = 44
暗香 : 그윽한 향기 = 46
蒼蒼帶煙霞 : 창창히 안개빛 띄었다 = 48
永壽墨菊 : 빼어난 묵국 = 50
暗香 : 그윽한 향기 = 52
淸香倚石 : 맑은 향기 돌 위에 피어나다 = 54
蕭蕭風滿林 : 소슬바람 대숲에 가득하다 = 56
凌霜拂雲 : 서리를 능멸하고 구름을 떨쳐 = 58
三秋秀色 : 가을에 빼어난 빛 = 60
淸節凌霜 : 맑은 절개는 서리도 능멸한다 = 62
萬木蕭條葉落盡 一梅蒼古香猶餘 : 온갖 나무 쓸쓸히 잎 떨어져 사라졌건만 매화 한그루 蒼古히 향기 풍겨준다 = 64
一庭春意長 : 한 뜨락에 봄마음 길다 = 65
무제 = 66
渭濱待呂相 : 渭水에서 太公을 기다린다 = 68
好共梅花住一山 : 매화와 함께 산 속에 산다 = 70
凌霜獨自薰 : 서리를 능멸하고 홀로 피어나다 = 72
勁質貞心 : 굳센 체질 곧은 마음 = 74
東風獨全春 : 동풍속에 홀로 향기를 뿜는다 = 76
無君亦無畵 : 그대 없이는 그림도 없다 = 78
鐵心石腸 : 굳세고 곧은 마음 = 80
世外隱君子 : 세상밖에 은둔한 군자 = 82
經寒吐幽香 : 추위를 견디고 그윽한 향기를 토해낸다 = 84
醫俗有此君 : 속기를 없애는 이 그대가 있다 = 86
晩節翠香 : 깊은 가을 향기 = 88
四時淸陰 : 사계절 맑은 음영 = 90
凌霜傲雪歲寒操 : 서리가 능멸하고 눈에 오만이 찬 지조다 = 92
서평 (0 건)
*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. 한글 기준 10자 이상 작성해 주세요.
서평추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