목차 일부
목차
책머리에 = 9
서론 : 예술의 역사적 차원과 미적 차원 = 13
1부 이미지 미학적 오브제의 토대
1장. 사진과 이미지 = 20
1 사진의 현상학 : 롤랑 바르트 = 22
1) 푼크툼과 주관성의 과학 = 22
2) 형상의 의미와 무의미 = 34
2 이미지의 현상학 : 장-폴 사르트르 = 42
1) 이미지ㆍ사진ㆍ그림 = 42
...
목차 전체
목차
책머리에 = 9
서론 : 예술의 역사적 차원과 미적 차원 = 13
1부 이미지 미학적 오브제의 토대
1장. 사진과 이미지 = 20
1 사진의 현상학 : 롤랑 바르트 = 22
1) 푼크툼과 주관성의 과학 = 22
2) 형상의 의미와 무의미 = 34
2 이미지의 현상학 : 장-폴 사르트르 = 42
1) 이미지ㆍ사진ㆍ그림 = 42
2) 기호와 이미지 = 46
3) 지각과 상상 = 52
2장. 이미지의 투명성과 불투명성 = 60
1) 증명사진의 역설 = 62
2) 두 가지 동일성 = 65
3) 지향과 감각 = 71
4) 시각의 이중성 : 믿음과 동어반복 = 77
5) 미니멀리즘과 형상의 한계 = 80
3장. 세계와 이미지 = 90
1 이미지 세계와 비현실성의 현상학적 의미 : 오이겐 핑크 = 92
1) 이미지의 구조 = 92
2) 이미지 세계의 지각 방식 = 98
2 이미지의 (비)현실성 : 엠마누엘 레비나스 = 102
1) 존재자 없는 존재로서의 이미지 = 105
2) 감각의 지향성 = 110
3) 이미지와 존재의 이원성 = 117
4) 이미지의 시간성 = 121
5) 이미지와 말소된 현실 = 125
2부 기호 역사적 오브제와 의미의 생성
4장. 기호와 예술작품 = 132
1 기호의 역사성 = 134
1) 기호와 도큐먼트 = 134
2) 기호의 의미에 접근하는 세 가지 관점: 동일성ㆍ차이ㆍ유사 = 136
2 예술작품의 역사성 = 140
1) 역사의식의 한계 = 140
2) 미의식 비판 = 145
3) 예술작품의 존재론 = 148
5장. 기호의 역사 = 164
1 기호이론의 전개 = 166
1) 기호 개념의 기원 = 166
2) 자연기호와 개념기호 = 170
3) 기호의 지향성 = 174
4) 기호의 궁극적 의미로서의 단일자 = 178
2 기호 개념의 해체 = 189
1) 지시기호와 표현기호 = 189
2) 표현기호의 한계 = 192
3) 독백의 구조 = 196
4) 기호의 지각과 시간 의식 = 204
5) 현존의 형이상학과 그 한계 = 211
3부 흔적 기호에서 이미지로
6장. 존재론을 넘어서: 엠마누엘 레비나스 = 220
1) 동일자의 철학과 지향성 비판 = 222
2) 절대타자로서의 타인의 얼굴 = 229
3) 흔적의 속성 = 232
4) 언어의 한계 = 237
5) '말하기'와 '말' = 240
7장. 흔적과 현존의 질서: 자크 데리다 = 248
1 언어의 초윤리적 폭력 = 250
1) 타자의 비규정성 = 250
2) 침묵에 맞선 전쟁으로서의 언어 = 255
3) 타자와 초월자 = 259
4) 초월적 폭력 = 262
5) 존재론적 폭력 = 270
2 차이와 흔적 = 278
1) 언어학적 차이와 흔적 = 278
2) 존재론적 차이와 흔적 = 280
8장. 미적 체험과 흔적 = 286
1) 파레르곤과 미의 경계 = 288
2) 미의 기원으로서의 흔적 = 293
3) 부정표상과 무한표상 = 299
4) 숭고와 존재의 은닉성 = 304
맺음말 = 311
인명색인 = 317
서평 (0 건)
*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. 한글 기준 10자 이상 작성해 주세요.
서평추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