목차 일부
목차
서문 = 10
제1장 20세기 음악의 연구와 새로운 시각 = 13
1. 20세기 음악사의 시간적 범위와 구분 = 14
2. 20세기 음악을 대변하는 총체적 개념: 모더니즘-신음악-아방가르드-포스트모더니즘 = 15
2.1. 모더니즘-신음악 = 16
2.2. 모더니즘-아방가르드-포스트모더니즘 = 17
제2장 예술사조, 작곡기법을 통...
목차 전체
목차
서문 = 10
제1장 20세기 음악의 연구와 새로운 시각 = 13
1. 20세기 음악사의 시간적 범위와 구분 = 14
2. 20세기 음악을 대변하는 총체적 개념: 모더니즘-신음악-아방가르드-포스트모더니즘 = 15
2.1. 모더니즘-신음악 = 16
2.2. 모더니즘-아방가르드-포스트모더니즘 = 17
제2장 예술사조, 작곡기법을 통해보는 1945년 이전 음악의 전반적 흐름 = 19
1. 후기낭만 = 19
2. 인상주의 = 20
3. 표현주의 = 22
4. 미래주의 = 24
5. 다다이즘 = 26
6. 신고전주의 = 28
7. 신즉물주의 = 29
8. 민속주의/이국주의 = 30
9. 무조성 = 32
10. 12음기법 = 33
제3장 작곡가와 장르를 중심으로 보는 1945년 이전 음악의 흐름 = 35
1. 20세기로의 전환기 = 35
1.1. 성악음악의 전반적 흐름 = 35
1.1.1. 오페라와 음악극: 바그너 후계자와 그로부터의 해방 = 35
1.1.2. 합창음악: 실용음악에 대한 요구와 모더니즘 = 41
1.1.3. 세속적 성악음악: 예술가곡과 관현악 노래 = 47
1.2. 기악음악의 전반적 흐름 = 50
1.2.1. 1900년대 모더니즘의 관현악과 실내악 = 50
1.2.2. 협주곡: 19세기 솔로협주곡의 장르미학적 지속 = 62
1.2.3. 피아노 음악의 전망 = 66
1.2.3.1. 무조로의 걸음-쇤베르크 = 66
1.2.3.2. 드뷔시와 라벨 = 66
1.2.3.3. 스크리야빈의 신비화음과 조성의 위기 = 70
2. 표현주의와 민족주의 = 71
2.1. 성악음악의 전반적 흐름 = 71
2.1.1. 제2빈악파와 바르톡의 오페라와 음악극 = 71
2.1.2. 세속적 합창음악 = 74
2.1.3. 20세기 초반의 가곡의 다양성 = 75
2.2. 기악음악의 전반적 흐름 = 79
2.2.1. 무조음악에 의한 관현악과 실내악 장르사의 무너짐 = 79
2.2.2. 독일을 제외한 국가들 그리고 독일 속에서의 낭만주의적 관현악과 실내악의 지속 = 81
2.2.3. 협주곡: 19세기 솔로협주곡의 장르미학적인 지속 = 87
2.2.4. 피아노 음악의 전망 = 90
2.2.4.1. 제2 빈악파와 무조성의 피아노 음악 = 90
2.2.4.2. 실험적 음향 생성-미국: 아이브스와 카웰 = 91
2.2.4.3. 리듬의 해방 = 94
3. 12음기법과 신고전주의 = 98
3.1. 성악음악의 전반적 흐름 = 98
3.1.1. 오페라에서 보여주는 새로움과 다양함 = 98
3.1.2. 세속적 그리고 종교적 합창음악 = 104
3.1.3. 표현주의 미학을 벗어난 예술가곡 = 110
3.2. 기악음악의 전반적 흐름 = 112
3.2.1. 12음기법에 의한 관현악과 실내악의 새로운 흐름 = 112
3.2.2. 신고전주의 관현악과 실내악의 흐름 = 120
3.2.3. 신고전주의와 모더니즘 안에서의 협주곡의 새로운 시작 = 129
3.2.4. 12음기법과 신고전주의적 사고 속에서의 피아노 음악 = 140
4. 정치적인 격동기의 음악(1932-1945) = 147
4.1. 성악음악의 전반적인 흐름 = 147
4.1.1. 파시즘과 오페라 = 147
4.1.2. 12음기법에 의한 합창음악 = 150
4.1.3. 정치적 선동노래와 가곡 = 152
4.2. 기악음악의 전반적 흐름 = 153
4.2.1. 정치적 격동 속에서의 관현악과 실내악 = 153
4.2.2. 망명 작곡가들의 협주곡 = 156
4.2.3. 미국의 협주곡 = 158
4.2.4. 작곡적 면에서 전조(前兆)를 보인 피아노 음악 = 160
제4장 예술사조, 작곡기법을 통해보는 1945년 이후 음악의 전반적 흐름 = 162
1. 총렬주의 = 165
2. 우연성음악 = 166
3. 실험음악 = 168
4. 구체음악 = 170
5. 전자음악 = 172
6. 음색작곡 = 176
7. 미니멀음악 = 178
8. 참여음악 = 181
9. 포스트모더니즘 = 182
제5장 작곡가와 장르를 중심으로 보는 1945년 이후 음악의 흐름 = 186
1. 1970년대 이전 = 187
1.1. 성악음악의 전반적 흐름 = 187
1.1.1. 무대작품에서의 다양한 양상 = 187
1.1.1.1. 절충주의적 음악극 = 187
1.1.1.2. 실험적 음악극 = 189
1.1 1.3. 정치적 음악극 = 196
1.1.2. 합창음악 = 197
1.1.2.1. 종교적 합창음악 = 198
1.1.2.2. 새로운 음악언어로의 성악음악 = 204
1.1.2.3. 총렬적 사고를 벗어난 성악음악 작곡의 실험성 = 208
1.2. 기악음악의 전반적 흐름 = 215
1.2.1. 총렬주의 작곡가들의 관현악과 실내악 = 216
1.2.2. 관현악과 실내악에서의 우연성 = 223
1.2.3. 총렬주의에 대한 또 다른 방향을 제시한 관현악과 실내악 = 227
1.2.3.1. 음색작곡 = 227
1.2.3.2. 모더니즘의 변화된 연속을 보이는 관현악곡 = 232
1.2.4. 지속되는 협주곡에 대한 관심 = 234
1.2.4.1. 구세대에 의한 낭만적 협주곡 유형의 지속 = 235
1.2.4.2. 제2 빈악파의 협주곡 유형의 지속 = 235
1.2.4.3. 신고전주의적 협주곡 유형의 지속 = 236
1.2.4.4. 장르 전통에 대한 비판과 새로운 성향 = 237
1.2.5. 피아노 음악 = 242
1.2.5.1. 1945년 이후의 리듬과 음색에 대한 새로운 가치부여 = 243
1.2.5.2. 총렬주의를 형성한 피아노 음악 = 246
1.2.5.3. 우연성음악 = 254
2. 70년대 이후 = 258
2.1. 성악음악의 전반적 흐름 = 258
2.1.1. 반(反)-오페라 = 258
2.1.1.1. 실험적인 새로운 음악극 = 259
2.1.1.2. 반-반-오페라 = 264
2.1.1.3. 신표현주의 오페라 = 267
2.1.1.4. 교육적 음악극 = 268
2.1.1.5. 미니멀리즘 음악극 = 270
2.1.1.6. 여성 작곡가와 퍼포먼스 = 271
2.1.2. 합창음악 = 273
2.1.3. 세속적 성악음악 = 276
2.2. 기악음악의 전반적 흐름 = 278
2.2.1. 포스트모더니즘-관현악과 실내악 = 278
2.2.1.1. 계속되는 실험정신과 함께 하는 전자음악 = 278
2.2.1.2. 관현악과 실내악을 위한 미니멀음악 = 280
2.2.1.3. 찜머만과 베리오의 인용기법-음악적 포스트모더니즘 = 286
2.2.1.4. 70년대 80년대 음악에 대한 새로운 개념화의 시도를 담은 관현악과 실내악 = 289
2.2.2. 협주곡 = 294
2.2.2.1. 인용기법에 의한 협주곡 = 294
2.2.2.2. 신낭만주의 협주곡 = 295
2.2.2.3. 이국적 영감에 의한 협주곡 = 296
2.2.3. 70년대 이후 피아노 음악 = 296
2.2.3.1. 1970년 이후의 리듬에 대한 새로운 가치부여 = 296
2.2.3.2. 작곡사적 전통의 재수용 = 299
참고문헌 = 300
색인 = 310
서평 (0 건)
*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. 한글 기준 10자 이상 작성해 주세요.
서평추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