목차 일부
목차
머리말 = 3
제1편 세계경제의 동향과 전망
제1장 세계경제의 동향 = 17
제1절 개관 = 17
제2절 주요 국가(지역)별 동향 = 18
1. 미국 = 18
2. 유로지역 = 21
3. 일본 = 25
4. 중국 = 28
5. 아시아 = 32
6. 중남미 = 34
제3절 국제금융 및 원자재가격 동향 = 3...
목차 전체
목차
머리말 = 3
제1편 세계경제의 동향과 전망
제1장 세계경제의 동향 = 17
제1절 개관 = 17
제2절 주요 국가(지역)별 동향 = 18
1. 미국 = 18
2. 유로지역 = 21
3. 일본 = 25
4. 중국 = 28
5. 아시아 = 32
6. 중남미 = 34
제3절 국제금융 및 원자재가격 동향 = 36
1. 국제금융시장 = 36
2. 국제원자재 시장 = 38
제2장 세계경제의 전망 = 40
제1절 개관 = 40
제2절 주요 국가(지역)별 전망 = 42
1. 미국 = 42
2. 유로지역 = 43
3. 일본 = 45
4. 중국 = 47
5. 아시아 = 49
6. 중남미 = 51
제3절 세계교역, 환율 및 국제원자재 가격 전망 = 53
1. 세계교역 = 53
2. 환율 = 53
3. 유가 = 55
4. 기타 원자재가격 = 56
제2편 경제통합
제3장 경제통합의 기초 = 61
제1절 경제통합의 의의 = 61
제2절 경제통합의 추이 = 62
제3절 경제통합의 형태 = 64
1. 자유무역지역 = 65
2. 관세동맹 = 65
3. 공동시장 = 66
4. 경제동맹 = 66
5. 완전경제통합 = 67
제4절 경제통합체 현황 = 68
제5절 경제통합의 효과 = 71
1. 역내국에 대한 효과 = 71
2. 역외국에 대한 효과 = 74
3. 세계교역에 미치는 효과 = 76
제4장 경제통합의 이론 = 78
제1절 지역주의 = 78
1. 지역주의의 배경 = 78
2. 지역주의의 특징 = 79
제2절 비교지역주의 = 81
1. EU와 비교지역론 = 82
2. 지역통합의 두 가지 유형 = 85
제3절 신지역주의 = 89
1. 신지역주의의 정치경제학 = 89
2. 신지역주의와 하위국가의 부상 = 93
제3편 APEC
제5장 APEC 개관 = 99
제1절 APEC의 설립배경 = 99
제2절 APEC의 전개과정 = 100
제3절 APEC의 특징 = 105
1. ASEAN 국가들의 견해 = 105
2. 미국의 견해 = 106
제4절 주요국의 입장 = 107
1. 미국의 입장 = 107
2. 일본의 입장 = 108
3. 중국의 입장 = 109
4. ASEAN의 입장 = 109
제5절 13차 APEC의 성과 = 110
1. 주요 행사 개관 = 110
2. 경제부문 성과 = 111
제6절 APEC의 역할 및 과제 = 114
1. APEC의 역할 = 114
2. APEC의 과제 = 115
제6장 아ㆍ태경제협력 민간부문 이니셔티브 = 117
제1절 APEC 기업인자문위원회 = 118
1. ABAC의 구성과 주요 기능 = 118
2. ABAC의 최근 동향 및 문제점 = 119
3. ABAC 한국위원회 = 121
제2절 태평양경제협의회 = 122
1. PBEC의 구성과 주요 활동 = 122
2. PBEC의 위상변화와 대응과제 = 124
3. PBEC 한국위원회 = 125
제3절 태평양경제협력위원회 = 126
1. PECC의 구성과 주요 활동 = 126
2. PECC의 최근 동향과 향후 과제 = 128
3. KOPEC의 역할과 과제 = 132
제4절 시사점 = 134
제7장 APEC 주요 회원국의 경제동향과 투자환경 = 136
제1절 뉴질랜드 = 136
1. 일반개황 = 136
2. 경제동향 = 137
3. 정치ㆍ사회동향 = 140
4. 국제신인도 및 대외지급능력 = 140
5. 전망 = 141
6. 투자환경 = 141
제2절 대만 = 143
1. 일반개황 = 143
2. 경제동향 = 144
3. 정치ㆍ사회 동향 = 146
4. 국제신인도 및 대외지급능력 = 147
5. 전망 = 148
6. 투자환경 = 149
제3절 러시아 = 153
1. 일반개황 = 153
2. 경제동향 = 154
3. 정치ㆍ사회동향 = 159
4. 국제신인도 및 대외지급능력 = 161
5. 투자환경 = 162
제4절 멕시코 = 175
1. 일반개황 = 175
2. 경제동향 = 176
3. 정치ㆍ사회ㆍ외교동향 = 179
4. 국제신인도 및 대외지급능력 = 180
5. 전망 = 181
6. 투자환경 = 182
제5절 미국 = 184
1. 일반개황 = 184
2. 경제동향 = 185
3. 정치ㆍ사회동향 = 188
4. 국제신인도 및 대외지급능력 = 189
5. 전망 = 190
제6절 싱가포르 = 191
1. 일반개황 = 191
2. 경제동향 = 192
3. 정치ㆍ사회 동향 및 대외관계 = 195
4. 국제신인도 및 대외지급능력 = 196
5. 전망 = 196
6. 투자환경 = 197
제7절 일본 = 200
1. 일반개황 = 200
2. 경제동향 = 201
3. 정치ㆍ사회동향 = 204
4. 국제신인도 및 대외지급능력 = 205
5. 전망 = 206
6. 투자환경 = 206
제8절 중국 = 208
1. 일반개황 = 208
2. 경제동향 = 209
3. 정치ㆍ사회동향 및 대외관계 = 212
4. 국제신인도 및 대외지급능력 = 214
5. 전망 = 215
6. 투자환경 = 215
제9절 캐나다 = 225
1. 일반개황 = 225
2. 경제동향 = 226
3. 정치ㆍ사회 동향 및 대외관계 = 229
4. 국제신인도 및 대외지급능력 = 231
5. 전망 = 232
제10절 호주 = 233
1. 일반개황 = 233
2. 경제동향 = 234
3. 정치ㆍ사회동향 및 대외관계 = 236
4. 국제신인도 = 238
5. 전망 = 238
6. 투자환경 = 239
제11절 홍콩 = 242
1. 일반개황 = 242
2. 경제동향 = 243
3. 정치ㆍ사회 동향 = 245
4. 국제신인도 및 대외지급능력 = 246
5. 전망 = 247
6. 투자환경 = 248
제4편 ASEM
제8장 ASEM 개관 = 255
제1절 ASEM의 탄생 배경 = 255
제2절 ASEM의 의의 = 258
제3절 ASEM의 체제 = 259
제4절 ASEM의 기구운영 = 261
제5절 ASEM과 아시아-유럽관계 = 261
제9장 ASEM 주요 내용 = 264
제1절 제1차 ASEM = 264
제2절 제2차 ASEM = 265
제3절 제3차 ASEM = 265
1. 서울선언 = 266
2. 제3차 ASEM의 주요 의제 및 현안 = 268
3. 신규사업의 채택 = 271
4. AECF 2000의 채택 및 의장 성명서 = 272
5. 제3차 ASEM의 평가 = 276
제4절 제4차 ASEM = 278
1. 주요 논의사항 = 279
2. 주요 성과 및 과제 = 285
제5절 제5차 ASEM = 286
1. 경제적 중요성 = 286
2. 한국의 역할 = 288
3. 성과 = 289
4. 제5차 ASEM 정상회의의 주요 내용 = 290
5. 과제 = 292
6. 전망 = 294
제5편 ASEAN+3
제10장 ASEAN = 297
제1절 AFTA 추진현황 = 298
제2절 ASEAN 경제통합의 진로와 과제 = 301
1. 정치ㆍ안보 부문 = 303
2. 경제부문 = 303
제3절 시사점 = 305
제11장 ASEAN+3 = 307
제1절 설립과정 = 308
제2절 1~3차 정상회의 = 308
제3절 4차 정상회의 = 309
1. 동아시아 연구그룹의 설치 = 309
2. 금융위기 예방을 위한 실천 프로그램 마련 = 310
3. 정보격차 해소를 위한 동아시아 특별기금의 설치 = 311
4. 한ㆍ중ㆍ일 3국 정상회의 = 311
제4절 5차 정상회의 = 313
1. 동아시아 경제협력의 제도적 강화 = 313
2. 동아시아자유무역지대의 창설 = 314
3. ASEAN+3재무장관회의의 활성화 = 314
4. 역내 최빈개도국 지원 강화 = 316
5. 동아시아비전그룹(EAVG) 보고서 = 316
6. 한국에의 시사점 = 320
제12장 EAS = 325
제1절 EAS의 탄생배경 = 326
제2절 EAS의 추진과정 = 332
1. ASEAN = 332
2. 중국 = 333
3. 일본 = 334
제3절 EAS의 주요 성과 = 334
제4절 동아시아 지역협력의 구도변화 = 337
1. 역내 FTA 추진동향 = 337
2. 역내 경제통합의 경제적 효과 = 340
제5절 평가 = 343
제6절 전망 = 344
부록
Ⅰ. 각국 사회개발지표 = 347
Ⅱ. 국민소득 및 지역에 의한 국가분류 = 353
Ⅲ. 국민소득 및 외채규모에 의한 국가분류 = 357
Ⅳ. APEC 회원국의 인구 현황 및 전망 = 359
Ⅴ. APEC 회원국의 투명성 지수 = 360
Ⅵ. APEC 회원국의 국가신용등급 현황 = 361
Ⅶ. 약어표 = 362
Ⅷ. 용어설명 = 370
찾아보기 = 383
서평 (0 건)
*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. 한글 기준 10자 이상 작성해 주세요.
서평추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