목차 일부
목차
책을 내면서 = 3
제1편 동북아 근대와 내셔널리즘
제1장 한국민족주의의 전체상: 사상사적 갈등구조를 중심으로 / 김영작 = 15
1. 머리말 = 15
2. 한말 내셔널리즘의 사상적 갈등구조- 체제관에서 '봉건 대 반봉건'과 가치관에서 '전통 대 근대'의 갈등 - = 20
3. 일제 치하의 반식민ㆍ저항민족주의(내셔널리즘)의 사상사적 갈등구...
목차 전체
목차
책을 내면서 = 3
제1편 동북아 근대와 내셔널리즘
제1장 한국민족주의의 전체상: 사상사적 갈등구조를 중심으로 / 김영작 = 15
1. 머리말 = 15
2. 한말 내셔널리즘의 사상적 갈등구조- 체제관에서 '봉건 대 반봉건'과 가치관에서 '전통 대 근대'의 갈등 - = 20
3. 일제 치하의 반식민ㆍ저항민족주의(내셔널리즘)의 사상사적 갈등구조- 독립운동의 노선 및 민족국가 건설론(체제관)에 나타난 좌ㆍ우익 간의 사상적 갈등 - = 27
4. 해방 후 내셔널리즘의 사상사적 갈등구조- 체제관의 대립 및 체제관(이데올로기) 우선이냐, 민족주의(통일) 우선이냐의 갈등과 내셔널리즘의 공동화 - = 39
5. 맺음말 = 51
제2장 중국 민족주의와 중화주의: 모순과 변용의 이중주 / 이진영 = 57
1. 서론 = 57
2. 본론 = 59
1) 국가민족주의 = 59
2) 개혁개방기 중화주의와 국가민족주의 = 67
3. 맺음말 = 75
제3장 일본의 내셔널리즘: 마루야마 마사오의 내셔널리즘론을 중심으로 / 飯田泰三 = 79
1. 머리말 = 79
2. 근대 내셔널리즘과 그 변질 형태 = 87
1) 네이션과 내셔널리즘의 정의 = 87
2) 근대 국민주의의 형성 = 88
3) 내셔널리즘의 구성요소와 원형 = 89
4) 내셔널리즘의 변용(변질) = 92
3. 유럽형 내셔널리즘과 비유럽 세계의 내셔널리즘 = 94
1) 유럽형 내셔널리즘과 아시아형 내셔널리즘 = 94
2) '제3세계'의 내셔널리즘 = 95
3) 동서 '냉전체제' 붕괴 후의 내셔널리즘 = 96
4. 일본의 내셔널리즘과 천황제 = 97
1) 해방론 및 양이론적 내셔널리즘: 전기적 내셔널리즘 = 97
2) 근대 국민주의의 고전적 형성: 후쿠자와 유키치 = 100
3) 정한론과 내셔널리즘 = 102
4) 자유민권운동과 내셔널리즘 = 103
5) 메이지 20년대의 '국민주의'와 '평민주의'의 경쟁적 공존 = 105
6) 천황제국가의 성립 및 청일ㆍ러일전쟁 후 내셔널리즘의 변질 = 106
7) 다이쇼데모크라시→쇼와파시즘: 초내셔널리즘화 = 107
8) 패전→점령[내셔널리즘 부활]→부흥ㆍ고도성장[경제 내셔널리즘] = 110
5. 맺음말 = 111
제2편 한국 내셔널리즘의 유형과 사적 전개
제1부 한말기의 내셔널리즘
제1장 개화파와 내셔널리즘 / 김현철 = 117
1. 머리말 = 117
2. 개화파의 서구 근대문명 수용과 한말 내셔널리즘의 대두 = 119
3. 개화파의 대외관과 자주독립의 모색 = 122
1) 갑신정변 주도 개화파의 대외관과 자주독립 구상 = 122
2) 갑오개혁 참여 개화파의 대외관과 자주독립 구상 = 125
3) 독립협회 참여 개화파의 대외관과 자주독립 구상 = 128
4. 개화파의 근대국가 건설구상과 국민통합의 추구 = 130
1) 갑신정변 주도 개화파의 부국강병 구상과 국민통합의 추구 = 131
2) 갑오개혁 참여 개화파의 부국강병 구상과 국민통합의 추구 = 134
3) 독립협회 참여 개화파의 부국강병 구상과 국민통합의 추구 = 136
5. 맺음말 = 137
제2장 동학의 민족주의적 성격 / 오문환 = 141
1. 민족, 국가, 민 = 141
2. 민족자주의 사상, 운동, 전쟁 = 144
1) 자주의 학: 동학 = 144
2) 민족자주의 운동: 척왜양 = 147
3) 침략주의와의 전쟁: 제2차 동학농민전쟁 = 149
3. 민의 민족주의: 민의 사상, 민의 조직, 민의 혁명 = 152
1) 민의 사상: 개벽 = 152
2) 민의 조직: 접포제 = 154
3) 민의 혁명과 자치: 제1차 동학농민혁명과 집강소 = 156
4. 한국민족주의의 한 원형 = 159
제3장 척사위정사상과 내셔널리즘 / 이재석 = 163
1. 머리말: 서양세력의 도전과 척사위정사상의 형성 = 163
2. 척사위정사상의 기본 사상체계 = 167
1) 중화ㆍ이적의 계서적 세계관 = 167
2) 내수외양책: 문명국가 보전을 위한 정책론 = 173
3. 척사위정의 실천운동 = 175
1) 척사상소 운동에서 의병운동으로의 이행 = 175
2) 해외의 항일투쟁 = 182
4. 척사위정사상의 좌절과 한계 = 183
1) 척사위정사상의 이데올로기적 힘 = 183
2) 도덕주의의 한계 = 186
3) 새로운 체제에 대한 비전 결여 = 188
제2부 국권상실기의 내셔널리즘
제1장 민족주의 진영의 독립운동 노선과 대중운동 전략 / 김용직 = 197
1. 서: 식민지시기 민족주의운동 연구 = 197
2. 1920년대 초기 우파민족주의의 민족운동: 물산장려운동 사례 = 201
1) 1920년대 초기 우파민족주의와 물산장려운동 = 201
2) 춘원의 민족개조론과 '합법적 민족운동'으로서의 문화운동론 = 203
3) 1920년대 초기 우파 민족주의자들의 독립운동 노선과 체제관 = 206
3. 1920년 중기 우파민족주의의 정치운동 노선: 자치운동론 사례 = 209
1) 1920년대 중기 민족주의 진영의 대중운동 모색 = 209
2) 타협주의와 '친일'논쟁 = 212
3) 국내운동과 해외운동의 연계 = 218
4. 1920년대 후기 좌파 민족주의자들의 민족운동: 신간회운동 사례 = 222
5. 결: 식민지 하 민족주의 대중운동: 전략과 한계 = 226
제2장 사회주의운동에 나타난 계급문제와 민족문제 인식 / 전상숙 = 235
1. 머리말 = 235
2. 저항적 민족의식과 '성공한 해방운동' 사회주의 = 238
3. 1920년대 국내 사회주의운동의 실제화와 사회주의 민족해방운동 = 246
1) 국내 사회주의운동 실제화의 의미와 민족 문제 = 246
2) '민족협동전선' 방침과 사회주의혁명의 계급 인식 심화 = 251
4. 1930년대 국내외 사회주의 민족해방운동의 민족ㆍ계급문제 인식의 편차 = 257
1) 코민테른 '12월테제'와 국내 전위당 재건운동의 계급성 강화 = 257
2) '반파시즘인민전선론'과 국내외 사회주의 민족해방운동의 민족문제 인식의 편차 = 259
5. 맺음말 = 265
제3장 동화주의의 협력운동과 국가관ㆍ민족관 / 김동명 = 271
1. 서론 = 271
2. 참정권청원운동 = 275
1) '신일본주의' 제창과 국민협회의 창립 = 275
2) 참정권청원운동의 전개 = 277
3. 내선융화운동 = 284
1) 각파유지연맹의 결성 = 284
2) 내선융화운동의 전개 = 287
4. 척식성조선제외운동 = 291
1) 일본정부의 척식성 신설 관제의 제안 = 291
2) 척식성조선제외운동의 전개 = 293
5. 결론 = 299
제3부 국가형성과 내셔널리즘
제1장 건국과 내셔널리즘: 1940~50년대 / 심지연 = 305
1. 머리말 = 305
2. 해방과 내셔널리즘의 대두 = 306
1) 해방정국과 좌ㆍ우의 분열 = 307
2) 좌ㆍ우의 대립과 내셔널리즘 = 309
3. 내셔널리즘의 분화와 분단국가 형성 = 315
1) 대내외적 환경 = 315
2) 내셔널리즘의 분화 = 317
3) 분단국가 형성 = 320
4. 내셔널리즘의 충돌과 전쟁 발발 = 321
1) 남ㆍ북 내셔널리즘의 형성 = 321
2) 내셔널리즘의 충돌과 한국전쟁 발발 = 325
5. 내셔널리즘의 공고화 = 326
1) 남한: 평화통일론 봉쇄 = 327
2) 북한: 종파주의 청산 = 329
6. 맺음말 = 331
제2장 박정희 시대와 민족주의의 네 얼굴 / 김일영 = 335
1. 국가와 민족의 시대 = 335
2. 방어적 근대화 민족주의 = 338
3. 통일지향적 민족주의 = 345
4. 민족경제지향적 민족주의 = 351
5. 반미 민족주의: 시작은 미약하나 끝은 장대하리라? = 359
6. 국가와 민족 속에서 실종된 개인을 찾아서 = 363
제3장 소련과 북한: 1945-1956 / 下斗米伸夫 = 369
1. 소련 참전에서 건국까지 = 370
2. 점령 권력과 북한 체제의 형성 = 376
3. 북한 건국 후와 소련 = 379
4. 조선전쟁의 원인과 과정 = 382
5. 한국전쟁 후의 북한정세 = 386
6. 스탈린 비판과 북한 = 390
7. 8월 종파사건 = 392
8. 이상조 대사의 김일성 체제 비판 = 395
9. 소련공산당ㆍ중국공산당의 개입 = 397
제4장 북한의 체제이데올로기와 내셔널리즘 / 김영수 = 403
1. 서론 = 403
2. 주체사상 이전의 이데올로기 = 405
1) 체제이데올로기의 보편성과 특수성 = 405
2) 주체사상 이전의 체제이데올로기 = 407
3. 체제이데올로기로서의 주체사상: 체계화 과정과 이데올로기적 특성 = 413
1) 주체사상의 체계화 과정 = 413
2) 주체사상의 이데올로기적 특성 = 415
4. 체제이데올로기와 '우리민족제일주의', '민족공조' = 419
5. 결론: 체제이데올로기의 변화 전망 = 426
제3편 내셔널리즘과 글로벌리즘
제1장 내셔널리즘의 기원과 전개 / 박동천 = 437
1. 서론 = 437
2. 민족, 국가, 그리고 내셔널리즘 = 441
3. 내셔널리즘의 기원 = 448
4. 내셔널리즘의 전개 = 456
1) 유럽의 내셔널리즘 = 456
2) 유럽 바깥의 내셔널리즘 = 459
5. 맺음말 - 한국민족주의 담론에 대한 제언 = 464
제2장 글로벌리즘과 동아시아 지역질서, 그리고 대한민국 / 정윤재 = 469
1. 머리말 = 469
2. 약화되는 내셔널리즘과 국민국가 = 471
1) '역사적 존재'로서의 국민국가: E. H. 카아 = 472
2) 존립 자체가 도전받는 '거대' 국민국가들: P. 드러커 = 474
3. '세계국가'에의 비전과 그 가능성 = 477
1) '국가의 역설'과 세계정부론: 칼 W. 도이치 = 478
2) '지구국가'의 필요성: S. 탤보트 = 481
4. 글로벌리즘과 동아시아 지역질서: 중국과 일본의 움직임 = 484
1) 과거 '제국'의 복원을 꿈꾸는 중국 = 485
2) 동아시아의 '맹주'가 되고자 하는 일본 = 488
5. 몇 가지 생각들: 대한민국의 성공적인 적응과 생존을 위하여 = 490
제3장 글로벌화에 대한 시점과 글로벌 공공 철학 / 山脇直司 = 495
1. 서론 = 495
2. 글로벌화의 여러 국면과 사상적 대립축: 경제, 정치, 문화ㆍ종교 = 497
1) 경제의 글로벌화와 사상적 대립의 축 = 497
2) 정치의 글로벌화와 사상적 대립의 축 = 501
3) 문화ㆍ종교의 글로벌화와 사상적 대립의 축 = 506
3. 글로컬 공공철학의 이론과 비전 = 509
1) 로버트슨의 글로컬라이제이션으론 = 509
2) 글로컬 공공철학의 '자기(나)-타인(남)-공공세계'론: 응답적ㆍ다차원적 네트워크를 위하여 = 510
3) 글로컬 공공철학의 학문론과 방법론: 상관사회과학적인 협동을 위하여 = 513
제4장 변화하는 세계와 한반도의 선택 / 하영선 = 517
1. 뒤늦은 역사의 선택 = 517
2. 변화하는 세계: 복합화 = 521
1) 21세기 세계정치의 주인공 = 521
2) 21세기 세계정치의 무대 = 529
3) 21세기 세계의 연기 = 539
3. 21세기 한반도의 선택: 매력국가 = 540
1) 5중 그물망국가의 건설 = 541
2) 지식기반 육각형 복합국가의 건설 = 543
3) 한국적 세계화 세대의 양성 = 545
찾아보기 = 549
서평 (0 건)
*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. 한글 기준 10자 이상 작성해 주세요.
서평추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