목차 일부
목차
머리말 = 3
제1편 행정의 세계
제1장 행정이란 무엇인가? = 19
제1절 행정 현상 = 19
제2절 행정의 개념 = 21
1. 관리적 측면 = 21
2. 정치적 측면 = 23
3. 법적 측면 = 24
제3절 시장과 정부 = 25
제4절 행정과 '거버넌스' = 27
제5절 요약 = 33
제2장 행정과 사회 변화...
목차 전체
목차
머리말 = 3
제1편 행정의 세계
제1장 행정이란 무엇인가? = 19
제1절 행정 현상 = 19
제2절 행정의 개념 = 21
1. 관리적 측면 = 21
2. 정치적 측면 = 23
3. 법적 측면 = 24
제3절 시장과 정부 = 25
제4절 행정과 '거버넌스' = 27
제5절 요약 = 33
제2장 행정과 사회 변화 : 행정환경론 = 37
제1절 사회 체제와 행정의 관계 = 37
1. 행정의 사회의존성 = 38
2. 사회에 대한 행정의 영향력 = 39
제2절 정치환경과 행정 = 40
1. 정치 체제와 행정 = 41
2. 정치지도자 = 42
3. 정치문화 = 43
4. 국제정치 = 44
제3절 경제환경과 행정 = 45
1. 산업구조 = 45
2. 기술력 = 46
3. 재정구조 = 47
4. 경제환경의 정치·사회환경에의 영향 = 48
제4절 사회환경과 행정 = 48
1. 사회구조 및 동태성 = 49
2. 인간 요인 = 50
3. 인간다운 삶 = 51
제5절 문화환경과 행정 = 52
1. 한국의 전통적 행정문화 = 52
2. 새로운 시대적 요청과 행정문화의 전개 방향 = 53
제6절 요약 = 55
제3장 행정가치와 이념 = 59
제1절 행정가치와 행정 이념의 성격 = 59
1. 행정학의 가치 중립성과 신행정학의 탄생 = 59
2. 행정가치와 행정 이념의 성격 = 63
제2절 행정가치 : 본질적 가치 = 64
1. 자유와 평등 = 64
2. 정의 = 69
3. 공익 = 73
4. 사회적 형평 = 78
제3절 행정 이념 : 행정의 수단적 가치 = 83
1. 행정 이념의 구성 요소 = 83
2. 능률과 효과성 = 83
3. 민주성 = 86
4. 합리성 = 87
5. 합법성 = 88
제4절 행정가치의 갈등과 행정 이념의 우선순위 = 90
1. 행정가치 간의 갈등 = 90
2. 행정가치 갈등의 극복 방안 = 91
3. 한국 행정에서 행정 이념의 우선순위 = 93
제5절 요약 = 94
제2편 행정학 연구
제4장 행정학의 학문적 성격과 접근법 = 103
제1절 서론 = 103
제2절 행정학의 학문적 성격 = 104
1. 행정학은 사회과학의 한 분과 영역이다 = 104
2. 행정학은 실천적이고 도구적 성격이 강한 응용 학문이다 = 105
3. 행정학은 과학과 기술의 영역을 공유한다 = 105
4. 행정학은 공익을 추구하는 학문이다 = 106
5. 행정학은 정치학, 경영학, 법학 등 여러 사회과학과 연결된 종합과학이다 = 107
제3절 행정학의 접근법 = 108
1. 행정학 접근법에 대한 논의 = 108
2. 연구 대상에 의한 분류 = 110
3. 과학적 인식방법론에 의한 분류 = 113
제4절 요약 = 117
제5장 행정학의 발달 = 121
제1절 행정학 연구의 태동 = 121
제2절 독일 행정학의 발달 = 123
제3절 영국 행정학의 발달 = 124
제4절 프랑스 행정학의 발달 = 128
1. 중앙집권화된 행정 = 128
2. 엘리트화된 행정 = 129
3. 지방분권화 = 130
제5절 미국 행정학의 발달 = 131
1. 행정학의 태동 = 132
2. 초기 행정학의 발전 = 134
3. 행정학의 성숙기 = 135
4. 현대 행정학의 흐름 = 136
제6절 한국 행정학의 발달 = 138
1. 한국 행정학의 시기별 구분에 대한 논의 = 138
2. 한국 행정학의 발달 과정 = 139
3. 한국 행정학 발전 과정의 평가 = 141
제3편 행정 과정과 관리
제6장 정책과 정책 과정 = 151
제1절 정책 연구의 의의 = 151
1. 정책학의 발달과 학문적 특성 = 152
2. 정책의 개념과 유형 = 157
제2절 정책형성 = 163
1. 정책형성의 의의 : 과정과 참여자 = 163
2. 정책의제 설정 = 165
3. 정책문제의 정의 = 171
4. 정책목표의 설정 = 175
5. 정책대안의 탐색과 개발 = 177
6. 정책분석과 정책의 채택 = 180
제3절 정책집행 = 186
1. 정책집행의 개념 = 186
2. 정책집행 연구의 의의 = 188
3. 정책집행 효율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= 190
4. 정책집행 연구를 위한 접근법들 = 194
제4절 정책평가 = 199
1. 정책평가의 발전 = 199
2. 정책평가의 개념 = 202
3. 정책평가의 유형 = 205
4. 정책평가의 목적 = 209
5. 정책평가의 기준 = 211
6. 정책평가모형 = 213
제7장 조직화와 조직관리 = 229
제1절 조직화와 조직 과정 = 229
1. 조직이란? = 230
2. 왜 조직하는가? = 233
제2절 조직구조와 설계 = 235
1. 조직구조 = 235
2. 조직구조의 구성 요소 = 236
3. 조직설계 유형 = 239
4. 효과적 조직설계 = 242
제3절 조직에서의 개인 = 244
1. 조직관리자 중심의 인간관의 변천 = 246
2. 조직구성원으로서의 개인 = 249
3. 정부조직에서의 공무원 = 254
제4절 요약 = 256
제8장 인력관리와 인사행정 = 260
제1절 인사행정이란? = 260
1. 인사행정과 인적 자원의 관리 = 260
2. 인력계획의 필요 = 263
3. 인사행정의 기본 원리 = 266
제2절 공직구조 = 269
1. 공무원의 직무 특성과 인사행정상의 취급에 따른 분류 = 270
2. 공직 분류의 기준 대상에 따른 분류 : 계급제와 직위분류제 = 272
3. 우리 나라 공무원의 공직 구조 = 274
제3절 공무원의 능력 발전 = 277
1. 능력 발전의 의의 = 277
2. 능력 발전의 방법 = 278
3. 우리 나라 공무원의 교육훈련 = 280
제4절 공무원의 행동규범 = 284
1. 직무 수행상의 의무 = 284
2. 참정권의 제한과 신분 보장 = 286
3. 근로기본권의 제한 = 287
제5절 요약 = 290
제9장 재정관리와 예산 과정 = 295
제1절 재원의 동원과 배분 = 295
1. 재정의 의의 = 295
2. 재원의 동원과 배분 = 296
제2절 재정의 구조 : 세입과 세출 = 298
1. 재정의 규모 = 298
2. 재정의 구조 = 301
제3절 예산 과정 = 306
1. 예산 과정의 의의 : 정치적 의미와 행정 관리적 의미 = 306
2. 예산의 편성 = 307
3. 예산의 심의·의결 = 310
4. 예산의 집행 = 311
5. 결산 및 회계검사 = 315
제4절 예산결정 이론 = 316
1. 예산결정 이론의 의의 = 316
2. 합리주의(총체주의, 포괄주의) = 318
3. 점증주의 = 319
4. 모형에 대한 논의 = 321
제4편 사회 변화와 행정의 대응
제10장 정보화와 정보관리행정 = 327
제1절 정보화와 정보사회 = 327
1. 정보사회의 출현 = 327
2. 정보의 개념 = 330
3. 정보의 속성과 가치 = 332
제2절 정보화 시대의 행정환경 변화 = 335
1. 정보통신 기술의 도입 = 335
2. 자동화와 조직관리상의 문제 = 336
3. 시민과의 네트워크 확산 = 337
제3절 행정정보 체계의 구축과 관리 = 338
1. 정보 체계의 개념 = 338
2. 행정정보 체계의 이해 = 341
3. 행정정보 체계 관리상의 쟁점 = 344
제4절 정보관리 행정의 발전 방안 = 347
1. 정보통신 기술의 실질적 활용 = 347
2. 고객 지향 마인드 = 348
3. 정보 공유의 개방적 태도 = 349
4. 정보 격차 해소를 위한 신념 = 349
5. 자기 혁신적 태도 = 350
제5절 요약 = 350
제11장 지방화와 지방자치행정 = 358
제1절 지방화와 지방자치 = 358
1. 지방자치의 의미 = 358
2. 지방자치행정의 의미 = 359
3. 지방자치행정의 필요성 = 360
제2절 지방자치의 본질과 구성 요소 = 361
1. 공간적 구성 요소 : 구역 = 361
2. 인적 구성 요소 : 주민 = 361
3. 법적 구성 요소 : 자치권 = 363
제3절 지방의회와 지방자치단체장 = 367
1. 기관대립형과 기관통합형 = 367
2. 지방의회와 지방자치단체의 장 = 367
3. 강(强)시장형적 관계 = 369
제4절 지방자치행정의 주요 과제 = 372
1. 종합행정의 과제 = 372
2. 광역행정의 과제 = 373
3. 민주행정의 과제 = 376
4. 경영행정의 과제 = 377
제5절 요약 = 379
제12장 도시화와 도시행정 = 386
제1절 도시화, 교외화, 탈도시화 = 386
1. 도시의 본질과 개념 = 386
2. 도시화의 개념과 진행 단계 = 388
3. 한국의 도시화 = 390
제2절 도시문제와 도시 행정수요 = 392
1. 도시문제의 본질 = 392
2. 도시문제의 유형 = 393
3. 도시행정의 개념과 행정수요 = 395
제3절 도시 공공서비스의 공급 유형과 혁신 = 397
1. 도시 공공서비스의 기본 특성 = 397
2. 도시 공공서비스의 공급 유형 = 398
3. 도시 공공서비스 공급의 민간화 = 400
제4절 도시개발과 관리 = 401
1. 도시개발 = 401
2. 도시관리 = 404
3. 도시 개발과 관리의 방향 = 406
제5절 요약 = 407
제13장 세계화와 국제행정 = 411
제1절 세계화의 의의와 양상 = 411
제2절 세계화의 영향과 행정의 대응 = 412
1. 세계화의 영향 = 412
2. 행정의 대응 = 415
제3절 국제기구 행정 = 417
1. 국제행정의 개념과 국제기구의 분류 = 417
2. 국제행정의 발전 = 420
3. 국제기구의 행정 능력 = 422
제4절 행정의 세계화 = 423
제5편 21세기의 행정
제14장 정부 혁신 = 429
제1절 21세기 사회와 행정환경의 변화 = 429
1. 세계화 = 430
2. 정보화 = 433
3. 지방화/분권화 = 434
제2절 주요국의 정부혁신 특성 = 435
1. 영국의 정부혁신 = 435
2. 뉴질랜드의 정부혁신 = 441
3. 미국의 정부혁신 = 448
4. 프랑스의 정부혁신 = 455
5. 독일의 정부혁신 = 457
6. 일본의 정부혁신 = 460
제3절 한국의 정부혁신 = 465
1. 정부혁신 추진 계획 = 465
2. 정부혁신의 문제점 = 465
제4절 정부혁신의 방향 = 469
1. 개혁의 우선순위 재설정 = 469
2. 하드웨어보다는 소프트웨어 중심의 개혁 = 470
3. 정보화를 통한 서비스 개혁 =470
참고 문헌 = 474
찾아보기 = 499
서평 (0 건)
*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. 한글 기준 10자 이상 작성해 주세요.
서평추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