목차 일부
목차
책머리에 = 7
약어 = 16
1부 현대 노동시장의 제 문제
1장 지구화와 현대 노동시장제도
1. 현대 노동시장제도는 영미형으로 수렴하고 있는가 = 21
2. 노동시장제도의 변화 상황 = 24
3. 노동시장제도의 지속에 대한 이론적 논의 = 35
4. 맺음말 = 59
2장 노동시장제도와 실업 및 불평등
1. 현대 자본주의는 실업 ...
목차 전체
목차
책머리에 = 7
약어 = 16
1부 현대 노동시장의 제 문제
1장 지구화와 현대 노동시장제도
1. 현대 노동시장제도는 영미형으로 수렴하고 있는가 = 21
2. 노동시장제도의 변화 상황 = 24
3. 노동시장제도의 지속에 대한 이론적 논의 = 35
4. 맺음말 = 59
2장 노동시장제도와 실업 및 불평등
1. 현대 자본주의는 실업 불평등을 동시에 해결할 수 없는가 = 61
2. 노동시장 유연성론과 그 한계 = 63
3. 실업 대책으로서의 수요관리정책의 유효성 = 68
4. 코포라티즘의 성과 = 74
5. 복지국가 유형과 실업/불평둥 = 81
6. 유연안정성 = 88
7. 맺음말 = 95
3장 비정규 노동의 사회적 성격
1. 비정규 노동의 다양성 = 97
2. 임시직 노동의 규모와 성격 = 101
3. 파트타임 노동의 규모와 성격 = 119
4. 이론적, 정책적 함의 = 131
2부 각국 노동시장체제 현 상황
4장 사민주의 노동시장제도의 변화와 지속
1. 사민주의 노동시장제도는 와해되었는가 = 139
2. 사민주의 노동시장제도의 주요 측면들 = 141
3. 위기와 그 요인 = 159
4. 변화 양상 = 171
5. 차이의 요인 = 185
6. 사민주의 노동시장제도의 전망 = 192
5장 독일의 고실업과 노동시장제도
1. 독일 모델, 무엇이 문제인가 = 195
2. 독일 노동시장제도와 이에 대한 비판 = 199
3. 노동시장제도의 변화 상황 = 212
4. 평가와 전망 = 224
6장 미국 노동시장과 노동시장제도
1. 미국 노동시장을 다시 본다 = 228
2. 미국 노동시장 상황의 특징 = 229
3. 노동시장제도/정책과 변화 = 237
4. 노동시장제도 개혁 논의와 추이 = 248
5. 맺음말 = 260
7장 동아시아의 노사관계와 임금불평등
1. 경제 위기와 동아시아 노동시장 = 261
2. 노동시장제도로서의 노사관계 유형화 = 266
3. 동아시아 노사관계의 성격 = 269
4. 임금불평등 추이 = 274
5. 동아시아 노동체제의 특성과 새로운 도전 = 291
8장 동아시아의 경제 위기와 고용안정성의 변화
1. 동아시아 고용체제와 고용안정 = 297
2. 근속연수의 추이 = 299
3. 이직률 및 해고율 추이 = 312
4. 변화의 해석 = 321
3부 한국 노동시장체제의 재조명
9장 한국은 장기근속과 연공임금의 나라인가: 미국과의 비교
1. 한국 고용체제의 특징을 어떻게 볼 것인가 = 327
2. 분석 대상 자료 = 331
3. 근속연수의 비교 = 332
4. 임금연공성의 비교 = 340
5. 분석 결과의 해석 = 350
10장 분단노동시장과 연대
1. 한국 노동계급과 연대 = 354
2. 이론적 배경 및 분석 시각 = 357
3. 연대활동의 양상 = 363
4. 분석과 토론 = 376
5. 맺음말 = 385
후기 = 388
11장 결론: 한국 노동시장체제의 대안 모색 = 389
참고문헌 = 407
표ㆍ그림 목차 = 447
찾아보기 = 449
서평 (0 건)
*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. 한글 기준 10자 이상 작성해 주세요.
서평추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