목차 일부
목차
머리말 = ⅴ
Ⅰ장 의학 미생물학의 발달 = 1
Ⅱ장 세균의 특성 = 9
1. 세균의 모양 = 11
2. 세균의 증식 = 24
Ⅲ장 바이러스의 특성 = 31
1. 바이러스의 형태와 구조 = 33
2. 바이러스의 증식 = 38
Ⅳ장 감염병 진단 = 53
1. 미생물 검사의 일반적 주의사항 = 55
2. 검체 취급법 = 56
3. 병원체 진단...
목차 전체
목차
머리말 = ⅴ
Ⅰ장 의학 미생물학의 발달 = 1
Ⅱ장 세균의 특성 = 9
1. 세균의 모양 = 11
2. 세균의 증식 = 24
Ⅲ장 바이러스의 특성 = 31
1. 바이러스의 형태와 구조 = 33
2. 바이러스의 증식 = 38
Ⅳ장 감염병 진단 = 53
1. 미생물 검사의 일반적 주의사항 = 55
2. 검체 취급법 = 56
3. 병원체 진단 및 동정 = 59
Ⅴ장 감염과 면역 = 63
A. 감염 = 65
1. 감염 = 65
2. 감염의 병인기전 = 66
3. 감염원과 전파경로 = 76
B. 면역 = 88
4. 면역계의 명칭, 일반적 성질 및 구성요소 = 88
5. 선천면역 = 97
6. 항원의 포획과 제시 = 104
7. 림프구 항원수용체와 항원 인식 = 111
8. 세포매개면역 반응 = 122
9. 세포매개면역의 작동기전: 세포 내 기생 미생물의 박멸 = 134
10. 체액면역 반응: B 림프구의 활성화와 항체생산 = 141
11. 체액면역의 작동기전: 세포 외 미생물 및 독소의 제거 = 154
Ⅵ장 감염 차단 및 처치 = 165
1. 감염경로 차단 = 167
2. 멸균과 소독 = 170
3. 감염 예방 = 179
4. 감염 치료 = 183
Ⅶ장 정상균무리 = 195
1. 정상균무리의 정의 = 197
2. 정상균무리의 역할 = 197
3. 인체 부위별 정상균무리 = 198
Ⅷ장 병원감염 = 201
1. 병원 감염원 및 감염경로 = 204
2. 병원감염 관리 = 205
Ⅸ장 세균감염 = 207
A. 그람양성 알균 = 209
1. 포도알균(Stapbylococcus) = 209
2. 사슬알균(Streptococcus) = 213
B. 그람양성 막대균 = 217
3. 코리네박테리움(Corynebacterium) = 217
4. 바실루스(Bacillus) = 219
5. Listeria monocytogenes = 221
C. 그람음성 알균 = 221
6. 나이세리아(Neisseria) = 221
7. Moraxella와 Acinetobacter = 224
D. 그람음성 막대균 = 224
8. 장내세균 = 224
9. 비브리오(Vibrio), 캄필로박터(Campylobacter) 및 헬리코박터(Helicobacter) = 234
10. 헤모필루스(Haemophilus), 보르데텔라(Bordetella) 및 브루셀라(Brucella) = 238
11. 레지오넬라(Legionella), 슈도모나스(Pseudomonas) 및 기타 그람 음성 호기성 막대균 = 241
E. 무산소성 세균 = 245
12. 클로스트리디움(Clostridium) 및 기타 혐기성 세균 = 245
F. 스피로헤타 = 251
13. 트레포네마(Treponema), 보렐리아(Borrelia) 및 렙토스피라(Leptospira) = 251
G. 미코박테리아 = 256
14. 미코박테리움(Mycobacterium) = 256
H. 미코플라스마와 클라미디아 = 261
15. 미코플라스마(Mycoplasma) = 261
16. 클라미디아(Cblamydia) = 263
I. 리케차 = 266
17. 리케차(Rickettsia) = 266
Ⅹ장 바이러스 감염 = 271
A. 외피 비보유 DNA 바이러스 = 273
1. 파포바바이러스과(Papovaviridae) = 273
2. 아데노바이러스과(Adenoviridae) = 275
3. 파보바이러스과(Parvoviridae) = 277
B. 외피 보유 DNA 바이러스 = 278
4. 헤르페스바이러스과(Herpesviridae) = 278
5. 폭스바이러스과(Poxviridae) = 286
6. 헤파드나바이러스과(Hepadnaviridae) = 287
C. 외피 비보유 양극성 단일가닥 RNA 바이러스 = 290
7. 피코르나바이러스과(Picornaviridae) = 290
8. 칼리시바이러스과(Caliciviridae) = 292
D. 외피 보유 양극성 단일가닥 RNA 바이러스 = 293
9. 토가바이러스과(Togaviridae) = 293
10. 플라비바이러스과(Flaviviridae) = 295
11. 코로나바이러스과(Coronaviridae) = 297
E. 외피 보유 음극성 단일가닥 RNA 바이러스 = 297
12. 오소믹소바이러스과(Ortbomyxoviridae) = 297
13. 파라믹소바이러스과(Paramyxoviridae) = 299
14. 랍도바이러스과(Rbabdoviridae) = 304
15. 분야바이러스과(Bunyaviridae) = 305
16. 아레나바이러스과(Arenaviridae) = 306
17. 필로바이러스과(Filoviridae) = 307
F. 이중가닥 RNA 바이러스 = 307
18. 레오바이러스과(Reoviridae) = 307
G. 레트로바이러스 = 310
19. 레트로바이러스과(Retroviridae) = 310
H. 비통상적인 감염질환 = 313
20. 비통상적 슬로바이러스 = 313
XI장 진균감염 = 317
1. 진균의 일반적 특성 = 319
2. 표재성 진균증 = 324
3. 피하 진균증 = 325
4. 전신 진균증 = 326
5. 기회감염성 진균증 = 329
부록 = 333
1. 법정 전염병 = 335
2. 예방접종 = 337
3. 병원 미생물학 실습 = 339
참고문헌 = 355
찾아보기 = 357
서평 (0 건)
*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. 한글 기준 10자 이상 작성해 주세요.
서평추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