목차 일부
목차
개정판 서문 : 참회와 사랑의 고백 = 5
초판 서문 : 폐허 앞에서 = 8
추천의 글 : 가슴으로 읽는 건축 / 승효상 = 11
1 세계적 유산의 또 다른 이야기 : 불국사와 석굴암 = 16
불국사와 석굴암론의 쟁점들 = 19
최고의 하이테크 건축 = 26
국제적 염원의 성취, 석굴암 = 36
경전으로서의 건축, 불국사 = 43
다보탑이냐...
목차 전체
목차
개정판 서문 : 참회와 사랑의 고백 = 5
초판 서문 : 폐허 앞에서 = 8
추천의 글 : 가슴으로 읽는 건축 / 승효상 = 11
1 세계적 유산의 또 다른 이야기 : 불국사와 석굴암 = 16
불국사와 석굴암론의 쟁점들 = 19
최고의 하이테크 건축 = 26
국제적 염원의 성취, 석굴암 = 36
경전으로서의 건축, 불국사 = 43
다보탑이냐, 석가탑이냐? = 51
2 문화적 전환기의 건축 : 안압지와 마곡사 = 58
변화와 위기의 순간들 = 61
통일의 기념 정원 안압지 = 67
안압지, 극단적인 것들의 통합정신 = 73
원의 지배와 문화의 수입, 경천사지 10층석탑 = 84
마곡사의 탑, 이시대의 업경대 = 91
두 가람의 집합체, 마곡사 = 97
3 백제계 건축의 평지성 : 미륵사와 금산사 = 106
백제권 건축과 지형 = 109
백제권의 미륵신앙과 사찰건축 = 116
미륵신앙의 본산, 금산사 = 123
금산사의 전각들 = 131
4 침묵의 기념비 : 종묘 = 144
왕조의 정통성을 위하여 = 147
길과 선의 건축 = 155
길어지는 건물들과 척도감 = 167
종묘의 다른 건물들 = 176
세계문화유산을 살리는 길 = 181
5 장인정신과 공예적 전통 : 전북의 작은 사찰들 = 184
장인들과 공예정신 = 187
완주 화암사 = 198
부안 내소사 = 206
부안 개암사 = 214
고창 선운사 참당암 = 218
6 유희에서 실용으로 : 부용동 원림과 해남 녹우당 = 226
어부사시시와 전가서사, 관념과 사실 = 229
보길도의 놀이구조 = 232
자연 속의 극장, 세연정 = 241
중세적 장원, 녹우당 = 248
녹우당, 실용의 정신 = 258
윤씨 가의 건축들 = 263
7 합리주의와 낭만주의 : 양동마을의 관가정과 향단 = 266
양동마을 이야기 = 269
갈등구조 속의 건축 = 275
절제와 규범 속의 다앙함, 관가정 = 281
뚜렷한 개성과 의도, 향단 = 289
관가정의 합리성과 향단의 낭민성 = 297
8 조선시대의 평창동 : 양동마을 주택들 = 302
양동마을 주택들의 개별성 = 305
고전적 원형, 서백당 = 309
종가급의 주택들 = 314
중기의 주택들 = 321
정자와 서당 = 328
9 모방인가, 창조인가 : 수원화성 = 334
계몽군주의 영원한 도시 = 337
18세기 르네상스의 꽃 = 343
새로운 정신, 새로운 도시 = 350
견고하고 아름다운 성곽 = 364
또 다른 수원화성들 = 373
부록
건축 읽기에 도움이 되는 용어해설 = 380
도면 목록 = 388
찾아보기 = 390
발문 : 고전으로서의 한국건축 / 정기용 = 397
2
목차
개정판 서문 : 참회와 사랑의 고백 = 4
초판 서문 : 깨달음과 변화의 영원함 = 7
1 폐허 속의 상상력, 미륵대원 = 12
상상력의 원천, 건축적 폐허 = 15
하늘재 밑의 석굴사원 = 18
자연에 대한 순응과 인공적 변형 = 27
상상적 복원 = 32
주변의 폐허들 = 42
2 소리와 그늘과 시의 정원, 소쇄원 = 48
창평들과 별뫼의 원림들 = 53
소쇄원 경영의 뜻 = 57
3개의 레벨과 건물 = 63
구성 요소, 담장과 물길 = 70
맑고 시원함이 오는 곳 = 76
소쇄원 사람들의 보존 노력 = 83
인근의 정자들 = 86
3 은둔을 위한 미로들, 독락당과 옥산서원 = 94
회재 이언적의 사상과 건축 = 97
적극적인 은둔의 조건 = 103
은둔을 위한 미로의 구성 = 108
독락당, 홀로 즐거운 집 = 115
옥산서원의 건축사 = 123
정통주의의 재현 = 128
안강 세 골짜기의 건축 = 135
4 중층건축의 지역성, 양진당과 대산루 = 140
낙동강 서쪽의 이상한 집들 = 143
상주 양진당 = 145
양진당과 관련된 건축들 = 153
상주 대산루 = 156
우산동천의 건축들 = 169
상주의 건축이 갈망했던 것 = 174
상주의 아층집들 = 178
5 예학자의 이상향, 윤증고택 = 184
윤증과 중세의 이상 = 187
향촌에 공개된 장원 = 193
안채와 안마당 = 198
사랑채와 행랑채 = 203
절제와 여유 = 208
윤증가의 다른 건축들 = 213
6 중세적 장원의 흔적, 선교장 = 220
강릉, 변방의 중심 = 223
장원으로서의 선교장 = 239
두 집의 집합체 = 245
집합의 데이텀들 = 251
7 공동체 마을과 건축, 방촌마을 = 256
전통 마을에서 배우는것 = 259
숨겨진 광맥, 방촌마을 = 262
마을과 땅의 생김새 = 268
공동체의 장소 = 272
마을길의 구성 = 277
살림집들의 모습 = 280
개별 주택의 발견 = 288
생활 속의 디자인 능력 = 304
주변의 공동체 건물 = 309
8 설화로 이룬 천상의 세계, 광한루원 = 312
지상에서 천상으로 = 315
남원부의 센트럴 파크 = 321
누각이란 무엇인가 = 326
누대와 누원의 사상과 설화 체계 = 333
설화와 문학이 빚은 정원 누각 = 340
9 최후와 최고, 선암사 = 344
선암사가 최고인 이유 = 347
조계산의 두 사찰이야기 = 352
산속의 자족 도시 = 360
살아 있는 수도원 집단 = 371
부록
건축 읽기에 도움이 되는 용어해설 = 386
도면 목록 = 394
찾아보기 = 396
발문 : 옥시모론, 조선 집의 아름다운 비밀 / 황지우 = 403
3
목차
개정판 서문 : 참회와 사랑의 고백 = 4
초판 서문 : 역사 속 건축의 이론과 실천 = 7
1 집합이 건축이다 : 병산서원 = 12
무엇이 건축인가 = 15
집합적 건축으로서의 병산서원 = 18
병산서원 이야기 = 28
자연과 건축의 집합 = 34
영역군의 구성 = 37
건물군의 구성 = 39
건물의 구성 = 45
집합의 역사 = 52
주변의 건축, 건축적 원형 = 56
2 한국건축의 창조 과정 : 부석사 = 60
터잡기에서 디테일까지 = 63
창건과 중창에 얽힌 이야기들 = 66
체(體), 정토신앙과 의상의 건축관 = 72
용(用), 굴절된 구성 축과 지형 = 76
상(相), 연속된 흐름을 위한 변주들 = 81
무량수전 배흘림기둥에 기대어 서서 = 90
죽령 방어선의 건축들 = 97
3 성리학의 건축적 담론 : 도동서원 = 102
유교적 건축이론의 전제 = 105
사림파와 향촌, 서원건축과 도동서원 = 115
도동서원의 성리학적 건축 담론 = 125
도동서원 낙수 = 139
4 불교적 건축이론 : 통도사 = 148
이론적 건축가는 누구인가? = 151
불교적 건축관 = 154
통도사 창건과 자장의 조영관 = 162
건축 구성의 신비 = 168
건물군의 집합적 이론과 구성 = 172
통합을 위한 장치들 = 187
특징적인 건물들 = 193
5 최소의 구조, 최대의 건축 도산서당과 도산서원 = 204
건축가로서의 퇴계 이황 = 207
도산서당, 최소의 구조와 최대의 공간 = 211
원형과 증축의 질서, 도산서원 = 223
서원의 건물들 = 231
퇴계와 관련된 건축들 = 240
6 목구조 형식의 시대사 : 봉정사 = 246
동아시아 건축의 목구조 = 249
봉정사의 역사와 환경 = 255
구조 형식으로 본 건물들 = 266
또 하나의 봉정사, 영선암 = 278
주변의 건축 = 286
7 순환동선과 두 면의 유형학 : 안동의 재사들 = 290
건축의 유형과 유형학 = 293
재사건축 유형의 발생 = 298
영양 남씨들의 재실, 남흥재사 = 307
학봉 김성일을 위한 재실, 서지재사 = 314
진성 이씨의 휴양단지, 가창재사 = 319
입체적 공간을 위한 유형학적 요소 = 324
주목할 만한 재사건축들 = 330
부록
건축 읽기에 도움이 되는 용어해설 = 334
도면 목록 = 342
찾아보기 = 344
발문 : 드디어 완간되는 한국건축 연구의 집대성 / 최준식 = 353
서평 (0 건)
*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. 한글 기준 10자 이상 작성해 주세요.
서평추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