목차 일부
목차
서문 = 9
1장 마을혁신체계 구축의 배경
1. 문화적 변화 = 13
2. 경제적 변화 = 19
3. 사회적 변화 = 21
4. 정보사회의 도래 = 24
5. 정치적 변화 = 27
(1) 풀뿌리 민주주의의 확립 = 27
(2) 자립적 발전을 위한 정책도입 = 28
2장 마을혁신의 개념, 요소, 방향
1. 마을혁신(Village Inn...
목차 전체
목차
서문 = 9
1장 마을혁신체계 구축의 배경
1. 문화적 변화 = 13
2. 경제적 변화 = 19
3. 사회적 변화 = 21
4. 정보사회의 도래 = 24
5. 정치적 변화 = 27
(1) 풀뿌리 민주주의의 확립 = 27
(2) 자립적 발전을 위한 정책도입 = 28
2장 마을혁신의 개념, 요소, 방향
1. 마을혁신(Village Innovation)의 개념 = 33
2. 비전(Vision) = 35
3. 주체(Actor) = 38
4. 네트워크(Network) = 41
5. 프로젝트(Project) = 44
6. 마을혁신체계(VIS) = 47
7. 성공의 길: 지속성, 창조성, 자립성 = 57
3장 일본의 마을혁신체계와 사례
1. 마을 만들기 = 59
(1) 마을 만들기의 정의 = 59
(2) 마을 만들기의 목적 = 60
(3) 마을 만들기의 요소 = 63
2. 고향 창생 운동 = 64
3. 1촌 1품 운동 = 65
(1) 1촌 1품 운동의 주창자: 히라마쓰 오이타 현 전 지사 = 65
(2) 1촌 1품 운동의 3원칙 = 65
4. 마을혁신체계 사례 = 70
5. 마을혁신체계에서 주체(Actor)의 역할 = 71
(1) 리더의 역할 = 71
(2) 주민의 역할 = 73
(3) 전문가의 역할 = 74
(4) 행정의 역할 = 75
6. 마을혁신체계 구축의 발달단계 = 77
7. 유후인 마을(湯布院町) = 79
(1) 개요 = 79
(2) 비전(Vision) = 85
(3) 주체(Actor) = 86
(4) 네트워크(Network) = 87
(5) 프로젝트(Project) = 88
(6) 유후인이 안고 있는 과제 = 89
8. 쇼와 마을(昭和町) = 90
9. 기타지역 = 91
(1) 아야 마을(綾町) = 91
(2) 시라카와 마을(白川町) = 93
(3) 마시코 마을(益子町) = 93
(4) 가타시나 마을(片品町) = 94
4장 중국의 마을혁신체계와 사례
1. 중국의 농촌 마을 = 95
2. 저우장(周莊) 마을 = 99
(1) 물의 고대 도시 = 100
(2) 저우장 마을의 특징 = 109
3. 기타지역 사례 = 112
(1) 손교(孫橋) 현대 농업 개발구 = 112
(2) 소주(蘇州) 실크 공장 및 판매점 = 114
(3) 미래 농업관 = 114
(4) 용정차 농원 = 115
5장 한국의 마을혁신체계와 사례
1. 인제군 용대리 - 용대황태영농법인조합(Actor)으로 성공한 부자 마을 = 117
(1) 처음 접하는 황태덕장 = 118
(2) 용대리의 일반 현황 및 자원 = 121
(3) 북설악영농법인조합의 실패 = 124
(4) 용대황태영농법인조합과 용대리의 성공 = 126
(5) 황태 축제 = 131
(6) 용대리 황태 산업의 어려움 = 133
2. 화천군 토고미 마을 - 리더와 비전이 있는 토고미 마을 = 136
(1) 다시 가는 토고미 마을 = 136
(2) 토고미 마을의 현황 = 148
(3) 마을 리더가 일궈 낸 토고미 마을 = 149
3. 홍성군 문당리 - 환경농업의 메카 = 158
(1) 문당리의 마을 현황 = 159
(2) 환경농업교육관과 문당리 발전 백년 계획 = 160
(3) 혁신적 마을 리더의 역할 = 173
(4) 문당리의 현재와 미래 = 186
참고문헌 = 197
저자 약력 = 198
서평 (0 건)
*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. 한글 기준 10자 이상 작성해 주세요.
서평추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