목차 일부
목차
일러두기 = 4
길라잡이 - '가지 않은 길, 무소의 뿔처럼 혼자서 가라' = 5
1부 시작이 반이다 : 뜨거워지는 비이커 속의 개구리 = 29
1장 편안한 노후의 방해자 - 미루는 습관 그리고 무심한 소비습관
노후 준비와 빨래 = 31
먼저 출발하면 웃을 수 있다 = 33
푼돈 세는 작은 구멍을 막아라 = 35
푼돈으로 1년에 100...
목차 전체
목차
일러두기 = 4
길라잡이 - '가지 않은 길, 무소의 뿔처럼 혼자서 가라' = 5
1부 시작이 반이다 : 뜨거워지는 비이커 속의 개구리 = 29
1장 편안한 노후의 방해자 - 미루는 습관 그리고 무심한 소비습관
노후 준비와 빨래 = 31
먼저 출발하면 웃을 수 있다 = 33
푼돈 세는 작은 구멍을 막아라 = 35
푼돈으로 1년에 100만 원 모으기
소비 IQ테스트: 나는 돈을 잘 쓰고 있는 편인가?
2장 버거워지는 노후
브레이크 없는 저출산, 고령화 = 42
고령사회는 각자가 알아서 노후 준비 = 44
준비 없는 노후, 빈곤 노령층의 양산 = 47
3장 그러나 시작하면 된다
느릿느릿 걸어도 황소걸음 = 53
황소걸음처럼 꾸준하지만 갈수록 빨라지는 복리이자 = 54
발목에 매인 모래주머니, 세금과 물가 = 57
2부 노후자금 마련, '삼세번 기회'
노후자금 마련, 국가ㆍ기업ㆍ개인이 힘을 모은다 = 65
노후자금 준비, 개인 부담 커진다 = 66
우리나라도 3층 노후소득보장체계 도입 = 68
1장 국민연금, 개혁은 있어도 중단은 없다
1. 기본 구조는 세대간 제로섬 게임, 노령화가 문제 = 71
쌓아놓은 돈 158조 원, 40년 동안 연금 주면 바닥난다 = 72
국민연금 개정, 생존을 위해선 보험료 올리고 연금급여 내린다 = 74
개정 후 연금액은 퇴직 전 소득의 3분의 1 수준 = 75
2. 많은 혜택 - 아랫돌 빼서 윗돌 괸다 = 78
국민연금, 정기적금보다 수익률 높다 = 78
국민연금, 물가가 오르는 만큼 매년 연금액 많아진다 = 80
국민연금, 개인연금보다 수익률 높다 = 82
3. 노후소득 보장은 기본, 사고ㆍ사망에 대한 안전장치 더했다 = 85
노령연금, 가입기간과 연령에 따라 4가지 = 87
사회안전망 기능 - 장애연금ㆍ유족연금 = 91
2장 기업(퇴직)연금, 출발은 늦지만 속도 낸다
1. 노후자금 마련의 구원투수, 국민연금 개혁 뒷받침 = 95
국민연금 개혁, 소득대체율 30~45수준에서 25-37로 하락 = 96
퇴직ㆍ개인연금은 개점 휴업 상태 = 97
2. 퇴직금 제도 보완ㆍ장기투자 유도, 두 마리 토끼 쫓기 = 99
퇴직금 제도, 노년의 방패막 못 된다 = 99
퇴직자금과 주식시장, 서로 밀고 당긴다 = 100
3. 기존 제도에 두 가지 더하기 - 세 가지 선택방안 = 103
일시금에 연금을 추가한 '퇴직급여 제도' 로 통합 = 103
선택1. 퇴직금 제도 - 퇴직금 누진 제도가 강점 = 106
선택2. 확정급여형 - 근로자 퇴직금 확정, 회사 부담 미확정 = 107
선택3. 확정기여형 - 근로자 퇴직금 미확정, 회사 부담 확정 = 109
징검다리 - 개인퇴직연금(IRA), 55세까지 퇴직금 관리 = 113
4. 확정급여ㆍ확정기여ㆍ퇴직금 중 어떤 것이 유리할까? = 114
확정급여형, 안정된 고연령층과 중간정산 안 한 근로자 선호 = 114
임금인상률 높다면 퇴직금이 확정기여형보다 유리 = 116
5. 퇴직연금 가입, 확정기여형과 보수적 운용 선택 = 118
3장 개인연금, 있기는 하지만 역할은 못한다
1. 국민연금ㆍ퇴직연금만으로는 부족하다 = 121
개인연금도 선호도와 가입자 감소 추세 = 121
개인연금, 노후까지 유지할 수 있는 당근과 채찍 미흡 = 124
2. 2030년 이후에야 노인 10명 중 1명 수혜 = 127
연금이 아닌 저축으로 퇴직 준비, 50대 저축률 증가 = 129
노후준비금 증가, 투자 포트폴리오 변경 = 130
3부 20년 후 모습, 미국 속에서 본다 : 노후 소득의 40공적연금, 19기업연금, 25근로소득 = 136
1장 노후, 구멍 뚫린 바람들
환상 속의 노후, 자신에 찬 희망과 막연한 바람 사이 = 139
근로자 70노후 준비 중, 편안한 노후 자신 = 140
근로자 절반 - 노후자금 계산 안 하고 2만 5,000달러 미만 저축 = 141
희망과 현실의 간극, 저축으로 메워야 한다 = 143
2장 미국의 3층 노후보장 - 뿌리 깊은 나무 바람에 흔들
1. 사회보장 - 100년 만의 위기, 2041년 고갈 = 149
미국 인구 절반 사회보장세 납부, 6명 중 1명 혜택 = 149
노령연금, 늦게 받기 시작하면 연금액 늘어난다 = 151
장애 연금 수급액 월 939달러, 유족연금 967달러 = 152
사회보장 연금, 총 수입이 2만 5,000달러 넘으면 과세 = 154
노인 건강보험, 기본 보험과 추가 보험으로 이원화 = 155
2. 기업 연금 - 확정기여형 연금 제도가 대세 = 156
근로자 복지 프로그램, 1630년대 개척시대부터 시작 = 156
확정급여형ㆍ확정기여형ㆍ혼합형 등 세 종류 = 158
확정기여형 2.5조 달러, 확정급여형보다 3분의 1 이상 많다 = 163
확정급여형, 미적립금 부담으로 부실증가 추세 = 165
401(k), 기업연금 시장 패러다임 변화 주도 = 168
3. 개인퇴직연금(IRA) - 10가구 중 4가구 이상 보유 = 174
다양한 상품과 세제혜택, 총 퇴직자산의 27차지 = 174
개인퇴직연금, 기여금에 대해 과세이연 = 176
IRA 가입하고, 가입기간 길수록 저축액 많다 = 178
4부 노후자금 마련 계획 짜기
1장 출발 전 '현재 위치' 확인하고 방향 정하기
1. 누구도 실패를 계획하지 않는다, 계획을 세우는 데 실패할 뿐 = 184
2. 간단한 산수로 변명 거둬내기 = 185
3. 준비운동 - 계획을 짜기 전에 생각해볼 것들 = 186
행복한 노년은 꿈과 희망, 이를 뒷받침할 돈ㆍ건강이 필수 = 186
노후 계획, 모범정답을 찾지 말고 나만의 정답을 찾아라 = 187
부부 중 한 명 90세까지 살 확률 45, 현미경보다 망원경 필요 = 189
조기퇴직, 노후자금 증가와 노후준비금 감소의 이중고 = 191
조기퇴직 후 다시 일터로, 은퇴는 단절이 아닌 전환의 시기 = 192
4. 국민연금 신청 전에 생각해볼 몇 가지 사실 = 194
완전노령연금 나이(60세) 때 무조건 신청, 재직자연금이 유리 = 194
조기노령연금 불리, 완전노령연금 나이까지 기다리는 것이 최선 = 196
2장 노후자금 계산은 저축이 목적
1. 노후자금 대충 보기 - 퇴직 직전 연봉의 60~80곱하기 20-30년 = 202
2. 물가상승, 노후의 복병 - 가계지출액 20년 전의 7.7배. 20년 후에는? = 205
3. 노후가 눈앞에 보인다면 정확한 노후자금 계산은 필수 = 207
미래 노후자금 계산은 현재 생활자금 계산에서 시작 = 208
노후 생활에 필요한 비용 나열 후 전국 평균과 비교 = 209
세금 - 노후의 큰 부담, 주택보유세 부담 커진다 = 212
노후 생활비 소득세 고려, 분기별로 세금 낼 목돈 준비 = 215
비상자금 주머니와 노후의 보루 = 216
비용 계산 후에는 노후 소득 예상하기 = 218
3장 노후자금은 미래에 쓸 돈 - 돈과 시간의 관계
1. 시간이 돈은 아니지만, 시간은 돈 가치를 올리고 내린다 = 221
2. 시간의 마술 복리, 돈을 눈덩이처럼 부풀린다 = 223
3. 시간의 심술 물가, 돈주머니에 구멍을 뚫는다 = 225
4. 현재 돈의 미래가치, 현재 3,500원짜리 자장면=30년 후 8만 7,500원 = 227
5. 미래 돈의 현재가치, 36년 후 10억 원=현재의 2억 5,000만 원 = 230
4장 노후자금 정확히 따져보기
노후설계 3단계: 필요한 돈, 갖고 있는 돈, 모자란 돈 계산하기 = 234
1단계: 퇴직 후 필요한 자금과 수입원 확인하기 = 235
노후설계 출발 - 은퇴나이와 기대수명, 소득대체율 결정하기 = 235
국민연금 제도 개정 불가피, 현재의 80만 예상 = 237
노후자금에 물가상승 고려, 물가는 복리로 부담 = 239
2단계: 노후기간 동안 필요한 자금 규모 구하기 = 241
기업ㆍ개인연금의 물가상승 부족분 더하기 = 243
3단계: 가지고 있는 자금 확인, 추가로 필요한 돈 계산하기 = 245
전국 가구 평균, 매달 60만 원 이상 노후저축 필요 = 247
프로그램 이용해서 계산하고 비교해보기 = 248
5부 노후자금 투자를 위한 최적의 선택
1장 적을 알고 나를 알면 백전백승 - 수익과 위험 알기
1. 돈 다루기 - 대여냐 소유냐, 아니면 도박이냐 = 254
저축 - 돈 대여, 물가상승만큼의 수익률, 실질가치는 정체 = 254
투자 - 소유, 장기ㆍ분산투자로 위험 낮추고 수익 높인다 = 256
투기 - 대박 아니면 쪽박, 대박에 가려진 쪽박의 높은 확률 = 258
2. 수익과 위험은 투자의 양날, 위험 먼저 살피기 = 259
위험 - 원금과 구매력의 두 측면 = 259
물가 위험 - 구매력 파괴, 이자수익자의 천적 = 260
신용 위험 - 채권 투자 복병, 무시하면 원금까지 손해 = 262
이자율 위험 - 시장금리 변동에 따라 채권 투자에 영향 = 265
비즈니스ㆍ시장 위험 - 주식에 대한 분산ㆍ장기투자로 극복 = 267
돈 부족 위험 - 노후자금 투자의 가장 근본적 문제 = 269
3. 위험은 사라지지 않는다. 다만 모양을 바꿀 뿐이다 = 270
2장 투자수단 알기 - 비행기ㆍ기차ㆍ자동차
1. 미국 50년 통계로 본 수익률 비교 - 주식>채권>예금>물가 = 275
2. 주식 - 비바람을 참아내면 햇살이 보인다 = 276
주식의 본성은 급등락, 위험과 수익의 변동폭이 크다 = 276
주식 또는 주식형 뮤추얼 펀드, 분산ㆍ장기투자 안 하면 위험 = 279
해외주식 투자 필수, 그러나 통화ㆍ국가ㆍ유동 위험 주의 = 280
3. 채권 - 중단기 안정적 수익, 주식투자 변동성 흡수 = 284
채권, 안정적인 이자수익이 기대되는 확정이자상품 = 284
채권, 가격과 이자율(시장금리)의 반대방향으로 움직인다 = 285
채권 투자 - 세금이 관건, 실질수익률 비교 후 선택 = 287
채권 투자 - 신용ㆍ이자율ㆍ물가 위험 주의 = 288
4. 예금 또는 단기투자상품 - 유동성이 강점, 환승역으로 이용 = 290
예금ㆍ단기상품, 변동성 적고 안정적인 만큼 수익률도 낮다 = 290
MMF - 예금이 아닌 투자, 수익에 따른 위험 있다 = 292
3장 투자성향 알기 - 시간과 인내력이 최고
1. 투자기간ㆍ인출시기 확인 - 길고 멀수록 좋다 = 295
2. 위험 인내도 확인 - 1층이냐, 번지점프냐, 스카이다이빙 이냐 = 296
3. 위험은 낮추면서 수익률은 낮추지 않는 방법 - 지름길 확인 = 298
4. 내가 가진 투자기간과 위험 인내도는? = 299
설문지 : 나의 투자성향은?
5. 내 투자성향에 맞는 포트폴리오 보기 = 304
4장 뮤추얼 펀드 인기 - 노후투자의 동반자
1. 미국 퇴직금의 4분의 1, 뮤추얼 펀드에 투자 = 307
2. 뮤추얼 펀드, 전체의 38퇴직자금, 45장기투자 = 310
3. 라이프사이클 펀드, 가파른 증가세 관심 = 311
5장 뮤추얼 펀드 알기 - 건전한 투자 원칙과 실천이 중요
1. 장기투자ㆍ수익에 대한 합리적 기대ㆍ분산투자 그리고 단순함 = 313
간접투자의 기본, 돈을 모아서 투자한 후 나눠 갖는다 = 314
간접투자의 장단점, 날카로운 창과 구멍 뚫린 방패 = 315
2. 펀드 비용, 최소가 최선 = 318
판매비용 부과 방식 4가지, 투자기간에 따라 수익률에 영향 = 319
판매수수료는 낮은 게 좋다. 운용수익률과는 무관 = 320
세금, 주식형과 채권형ㆍ해외펀드가 다르다 = 321
펀드는 비과세ㆍ과세할인ㆍ세금우대ㆍ일반 펀드 순서로 가입 = 323
3. 공격이 최선의 방어냐, 방어가 최선의 공격이냐 - 액티브와 인덱스 = 325
능동적 펀드, 하향식 또는 상향식 방법으로 투자종목 선정 = 327
수동적 펀드, 복제 또는 샘플링으로 목표지수 수익률 추종 = 328
인덱스 펀드, 낮은 비용이 높은 수익률로 연결 = 329
4. 펀드 고르기 - 펀드 선택을 위한 전략 = 330
1단계: 출발점은 나 자신, 투자성향과 목표 재점검 = 332
2단계: 펀드ㆍ펀드회사와 나와의 궁합 점검 = 334
3단계: 수익률 높이는 첫 번째 작업, 숨어 있는 비용 찾기 = 336
4단계: 장기수익률, 세후수익률, 연 평균 수익률 살피기 = 337
5단계: 포트폴리오 분산으로 투자의 균형잡기 = 339
6부 관리, 노후자금 마련을 위한 나머지 절반
1. 사람이 변하고 여건도 달라지면 계획도 바뀐다 = 345
2. 정기점검 필요, 비정기점검은 더 중요 = 346
3. 정기적인 자산할당 재조정, 장기투자와 수익률 상승 비결 = 348
4. 자산할당 재조정, 사든 팔든 비용이 적은 쪽 선택 = 350
자산재조정 - 비과세 계좌냐, 비과세 수익이냐 점검 = 351
퇴직이 가까워지면 보수적 전략, 최소 주식 비중은 유지 = 353
5. 펀드 관리 - 장기투자 펀드도 팔아야 할 때가 있다 = 353
연수익률 하위 25이내로 떨어졌다면 매도 고민 = 354
투자 대상과 매니저가 바뀐다면 매도 점검 신호 = 356
7부 퇴직자금 투자의 모범답안
1장 라이프사이클 펀드
1. 바쁜 이들과 초보자를 위한 종합선물세트 = 361
2. 왜 라이프사이클 펀드인가? = 364
노후자금 마련 계획, 세우기가 힘들다 = 364
노후자금 투자, 헷갈리고 고를 게 너무 많다 = 365
라이프사이클 펀드, 한 번만 누르면 다 해결되는 원터치 = 366
라이프사이클 펀드, 미국에서 인기 상승 중 = 367
3. 라이프사이클 펀드의 두 가지 유형 - 오토냐, 매뉴얼이냐 = 369
목표만기 전략과 정적할당 전략 = 369
선택기준, 최소의 비용과 최대의 효과 = 372
라이프사이클 펀드는 하나만으로 충분, 분산의 분산은 이중비용 = 374
4. 라이프사이클 펀드 살펴보기 = 377
'따라하기' 또는 '선택하기' = 377
라이프사이클 펀드의 3인방 - 뱅가드ㆍ피델리티ㆍ티로우프라이스 = 379
2장 인생 단계별 투자 포트폴리오
연령대에 맞는 포트폴리오 변경 작업이 필요 = 383
1. 20대 - 장기투자를 위한 넉넉한 시간이 최대 강점 = 385
투자 포트폴리오 - 아주 공격적 = 385
재테크 포인트 - 저축을 시작하고 습관으로 만들기 = 387
체크리스트
2. 30대 - 아직도 늦지 않았다. 시간은 내 편 = 388
투자 포트폴리오 - 여전히 공격적 = 388
재테크 포인트 - 멈출 수 없는 저축과 투자 = 390
체크 리스트
3. 40대 - 늦기 전에 시작하라, 퇴직이 멀지 않았다 = 391
투자 포트폴리오 - 아직까지는 공격적 전략도 가능 = 392
재테크 포인트 - 투자의 반환점, 중간평가 후 전략수립 = 393
체크 리스트
4. 50대 - 서서히 착륙 준비 또는 마지막 투자 기회 = 395
투자 포트폴리오 - 중도적 전략, 주식 비중 줄이고 채권 비중 확대 = 396
재테크 포인트 - 노후자금 대차대조표 짜기 = 397
체크 리스트
5. 60대 - 인생의 변곡점, 평생 쓸 돈 모아뒀나 = 400
투자 포트폴리오 - 보수적 전략, 현금 비중 확대 = 400
재테크 포인트 - 주식 비중 낮추고 노후자금 챙기기 = 402
체크 리스트
6. 70대 - 인생을 즐겨라, 다만 노후자금 10는 손대지 마라 = 404
투자 포트폴리오 - 전원 수비, 전원 공격 또는 공수조화 = 405
재테크 포인트 - '노후의 보루'를 만들어라 = 407
체크 리스트
부록
1. 국민연금 표준소득월액표 = 413
2. 국민연금 노령연금 예상금액 월액표 = 415
3. 물가상승에 따른 돈 가치 하락 계산 = 417
4. 일시금으로 투자한 돈의 복리수익 계산 = 418
5. 적립식으로 투자한 돈의 복리수익 계산 = 419
6. 뮤추얼 펀드 투자설명서 읽기 = 421
7. 내 투자성향으로는 예상 수익률이 얼마나 될까 = 426
8. 자산할당 비중을 다르게 하면 투자위험과 장기 투자수익률은 어떻게 변하는가 = 431
9. 오늘부터 시작하지 않는다면, 내가 짊어질 부담은 얼마나 늘어나는가 = 433
주 = 437
참고문헌 = 450
서평 (0 건)
*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. 한글 기준 10자 이상 작성해 주세요.
서평추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