목차 일부
목차
제1편 공기업의 기본개념
제1장 서론 = 17
제2장 시장과 공기업 = 23
제1절 시장 = 24
1. 시장의 운영 = 25
2. 시장의 효율적 조건 = 29
3. 시장의 기능 = 34
4. 시장의 유형 및 효율성 = 36
제2절 공기업 = 45
1. 자원의 효율적 배분 = 46
2. 소득의 재분배 = 47
...
목차 전체
목차
제1편 공기업의 기본개념
제1장 서론 = 17
제2장 시장과 공기업 = 23
제1절 시장 = 24
1. 시장의 운영 = 25
2. 시장의 효율적 조건 = 29
3. 시장의 기능 = 34
4. 시장의 유형 및 효율성 = 36
제2절 공기업 = 45
1. 자원의 효율적 배분 = 46
2. 소득의 재분배 = 47
3. 경제의 안정화 = 48
제3장 공기업의 재화와 서비스 = 50
제1절 재화와 서비스의 분류기준 = 51
1. 배제성 = 52
2. 경합성 = 52
제2절 재화와 서비스의 분류 = 53
1. 민간재 = 55
2. 요금재 = 56
3. 공유재 = 57
4. 공공재 = 57
제3절 공기업 재화와 서비스의 특성 = 58
제4장 공기업의 특질 및 정의 = 62
제1절 공기업의 특질 = 62
1. 공공성의 특질 = 63
2. 기업성의 특질 = 68
3. 법적 특질 = 72
제2절 공기업의 정의 = 75
1. 개념적 정의 = 76
2. 조작적 정의 = 77
3. 기타 정의 = 78
4. 정의의 비교 = 80
제5장 공기업의 위치 및 고유성 = 82
제1절 공기업과 민간기업 = 83
제2절 공기업과 공공기관 = 85
제3절 공기업의 고유성 = 86
1. 공공성과 기업성의 조화 = 87
2. 공기업 조직형태와 공공성ㆍ기업성 = 89
제4절 공기업의 장ㆍ단점 = 90
1. 공기업의 장점 = 91
2. 공기업의 단점 = 93
제5절 공기업의 유사개념 = 95
1. 공익사업 = 95
2. 정부투자기관 = 96
3. 정부기업 = 97
4. 국유화기업 = 97
5. 사회화기업 = 98
제2편 공기업의 설립 및 기능
제6장 공기업의 설립 및 분류 = 101
제1절 공기업의 설립 = 101
1. 설립방법 = 102
2. 조직형태 = 104
3. 조직구조 = 111
4. 설립분야 = 114
5. 총괄조직 = 120
6. 설립 시 고려사항 = 120
제7절 공기업의 분류 = 122
1. 사업종류별 분류 = 122
2. 투자방식별 분류 = 125
3. 출자자별 분류 = 126
제3절 한국 공기업의 분류 = 128
1. 정부기업 = 128
2. 정부투자기관 = 131
3. 정부출자기관 = 133
4. 간접출자회사 = 134
5. 공동출자회사 = 137
제7장 공기업의 목적 = 138
제1절 공기업 목적의 결정 = 139
1. 목적결정의 참여기관 = 139
2. 목적결정 방법 = 140
3. 재정적 목적의 정의 = 141
제2절 공기업의 목적에 관한 이론 = 142
1. 공기업의 목적설 = 142
2. 공기업 설립목적 = 145
제3절 공기업 목적의 차원적 구분 = 148
1. 이상적 차원의 목적 = 149
2. 규범적 차원의 목적 = 151
3. 실제적 차원의 목적 = 154
4. 목적의 성질별 구분 = 156
제8장 공기업의 기능과 그 결정요인 = 160
제1절 공기업의 기능 = 161
1. 규제적 기능 = 161
2. 육성적 기능 = 164
3. 개척적 기능 = 165
4. 사회하부구조 기능 = 166
5. 공공서비스제공 기능 = 166
6. 영업적ㆍ재정적 기능 = 167
제2절 공기업 기능의 결정요인 = 168
1. 기업의 성격 = 168
2. 시장의 위치 = 170
3. 구매자의 위치 = 173
4. 생산물의 성격 = 174
5. 생산물의 사회적 가치성 = 175
6. 수요와 공급의 균형상태 = 176
7. 국내 및 해외시장 = 177
8. 생산방법 = 177
9. 오염 여부 = 178
제3절 공기업의 기능 및 조직형태 = 180
제3편 공기업의 자율성과 감독기관
제9장 공기업의 통제와 자율성 = 185
제1절 통제와 자율성의 의의 = 185
1. 통제 = 186
2. 자율성 = 190
3. 통제와 자율성의 관계 및 조화 = 193
제2절 통제와 자율성의 유형 및 방법 = 195
1. 자율성의 유형 및 방법 = 195
2. 통제의 유형 및 방법 = 199
제10장 공기업의 관리ㆍ감독기관 = 218
제1절 주인 - 대리인 이론과 공기업의 관리ㆍ감독 = 218
1. 공기업의 주인 - 대리인 개념 = 219
2. 대리인 이론의 본질 = 220
3. 공기업에 있어서의 대리인 문제 = 221
제2절 공기업의 감독기관 = 226
1. 감독기관의 개념적 틀 = 227
2. 감독구조 = 231
제3절 개발공사 = 233
제11장 공기업의 경영조직 = 237
제1절 최고경영관리기관의 역할 = 237
제2절 공기업의 경영조직형태 = 239
1. 단독제와 합의제 = 239
2. 단일기관제와 이중기관제 = 242
3. 기능형과 정책형 = 244
4. 임명제와 직능대표제 = 246
5. 집권제와 분권제 = 247
6. 직능부제와 통합사업부제 = 248
7. 기타 = 250
제3절 소비자보호구조 = 250
1. 소비자보호의 필요성 = 251
2. 소비자보호기구의 형태 = 251
3. 소비자보호기구의 과제 = 253
제4절 공기업의 이사회 = 254
제4편 공기업의 경영관리
제12장 공기업의 인력관리 = 259
제1절 임원의 관리 = 259
1. 임원의 선임과 임용 = 260
2. 임원의 임기 및 동기부여 = 267
제2절 직원의 관리 = 271
1. 인사규칙 = 271
2. 신분과 보수 = 272
제3절 공기업의 노사관계 = 273
1. 의의 = 274
2. 우리나라에서의 노사관계 = 275
제4절 근로자의 경영참여 = 277
1. 근로자 경영참여의 필요성 = 277
2. 근로자의 경영참여유형 = 279
제13장 공기업의 가격결정 = 284
제1절 공기업의 가격관리 = 285
1. 가격관리의 필요성 = 285
2. 가격 관리기관 = 287
3. 관리방식 = 289
제2절 공기업의 비용 = 290
1. 비용개념 = 290
2. 비용곡선 = 292
제3절 이윤극대화 가격결정 = 295
1. 경쟁기업 = 295
2. 독점기업 = 297
3. 과점기업 = 300
4. 독점적 경쟁기업 = 302
제4절 비이윤극대화 가격결정 = 304
1. 공익기업의 특수성 = 305
2. 서비스의 특질과 요금결정 = 305
제5절 기업성격별 가격결정 = 315
1. 개발형 = 316
2. 사양형 = 316
제6절 공기업의 가격구조 = 317
1. 단일가격제 = 317
2. 복수가격제 = 318
3. 가격차별제 = 319
4. 수입가격제 = 319
5. 이전가격제 = 320
6. 비용 + 적정 판매수익 가격제 = 320
7. 영탄력성 가격제 = 321
제14장 공기업의 투자 및 자금조달 = 322
제1절 공기업의 투자 = 323
1. 투자의 특질 = 323
2. 투자결정 및 집행 = 324
3. 투자결정 및 집행과정 = 330
제2절 공기업의 자금조달 = 333
1. 자금조달과 정부역할 = 334
2. 자금조달방법 = 335
제15장 공기업 예산회계 = 341
제1절 공기업 회계예산의 의의 = 342
제2절 독립적 회계예산단위 = 343
1. 기금의 성질 및 종류 = 343
2. 독립채산제의 의의 = 345
3. 독립채산제의 목표 = 346
4. 독립채산제의 원칙 = 347
5. 독립채산제의 취약성 = 349
제3절 공기업예산 = 350
1. 공기업과 일반정부의 성격 = 350
2. 공기업예산과 일반정부예산의 관계 = 351
3. 공기업예산과 기타 예산 = 353
4. 공기업예산의 유형 = 355
5. 정부기업의 예산 = 356
6. 정부투자기관의 예산 = 359
제4절 공기업회계 = 363
1. 공기업회계의 기본원리 = 364
2. 공기업회계의 특성 = 365
3. 발생주의 회계와 복식부기 = 367
4. 계정과목 = 369
제5편 공기업의 경영평가 및 민영화
제16장 공기업의 경영성과관리 = 375
제1절 재정적 수익성과 사회적 편익성 = 376
1. 이윤의 정의 및 측정 = 377
2. 이윤과 수익성 = 378
3. 재정적 수익성과 사회적 편익성 = 379
제2절 손익의 요인으로서 경영효율성 = 381
1. 생산가동률 = 382
2. 생산성 = 382
3. 원자재관리 = 383
4. 효율적 재무관리 = 383
5. 교육훈련 = 383
6. 리더십 = 384
7. 정보관리체제의 구축 = 384
제3절 공기업 성격별 경영성과관리 = 385
1. 투자정책과 실제적 영향 = 385
2. 부실기업의 인수 = 389
3. 사회하부구조와 회임기간 = 390
4. 사회경제적 목적의 영향 = 392
5. 공동소비재의 제공 = 396
제4절 경영성과관리 선택대안 = 397
1. 효율성의 제고 = 398
2. 가격정책의 검토 = 398
3. 가격차별과 교차보조 = 398
4. 비용부담 완화 및 보상과 보조 = 399
5. 복구자금의 차입 = 399
6. 다각 경영 = 400
7. 자본 구조조정 = 400
8. 조직 구조조정 = 400
9. 투자회수 = 401
10. 청산ㆍ파산 = 401
제5절 공기업 경영성과 관리대책 = 402
제17장 공기업 경영평가 = 404
제1절 경영실적평가의 의의 = 404
1. 경영실적평가의 개념 = 405
2. 경영평가의 필요성 = 407
제2절 경영실적평가의 기본원칙 = 410
1. 기업 자체와 경영진의 구분평가 = 410
2. 장ㆍ단기 경영평가의 병행 = 411
3. 경영외적 요소의 조정평가 = 411
4. 기업성과 공공성의 구분 = 412
제3절 경영실적평가 관련 정부기관 = 412
1. 기획예산처 = 413
2. 정부투자기관운영위원회 = 414
3. 정부투자기관경영평가단 = 414
제4절 경영평가방법 및 평가절차 = 416
1. 경영실적 평가방법 = 417
2. 경영평가 단계별 세부절차 = 417
제5절 경영실적평가의 유형 = 420
1. 강제적 평가와 자발적 평가 = 421
2. 정기평가와 수시평가 = 421
3. 단기평가와 장기평가 = 421
4. 전문가 평가ㆍ경영진 평가ㆍ고객평가 = 422
제6절 경영실적평가지표 = 423
1. 경영평가지표의 의의 = 423
2. 경영평가지표의 종류 = 424
제7절 경영인센티브제도 = 427
1. 인사 및 보수의 제약 = 427
2. 차등상여금의 지급 = 427
제18장 공기업부문의 조직화 및 민영화 = 429
제1절 공기업부문의 조직화 = 430
1. 규모 = 430
2.활동 = 434
3. 역할 = 435
제2절 공기업의 민영화 = 438
1. 민영화의 개념 = 439
2. 민영화의 필요성 = 440
3. 민영화의 유형 = 443
4. 민영화 방법 = 446
5. 민영화 공기업의 인수자 국적 = 451
6. 민영화의 절차 = 453
7. 민영화 효과 = 457
8. 민영화의 과제 = 462
9. 결론 = 467
참고문헌 = 469
찾아보기 = 475
서평 (0 건)
*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. 한글 기준 10자 이상 작성해 주세요.
서평추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