목차 일부
제Ⅰ부 교과교육학
제1장 교과의 개념 = 15
1. 교과교육 연구의 필요성 = 15
2. 교과의 개념 = 18
3. 교과에 대한 관점 = 22
1) 경험의 재구성 = 22
2) 지식의 구조 = 25
3) 인지적 지식 = 29
4) 의미의 영역 = 32
5) 지식의 형식 = 36
4. 교과의 개념에 대한 논의 = 4...
목차 전체
제Ⅰ부 교과교육학
제1장 교과의 개념 = 15
1. 교과교육 연구의 필요성 = 15
2. 교과의 개념 = 18
3. 교과에 대한 관점 = 22
1) 경험의 재구성 = 22
2) 지식의 구조 = 25
3) 인지적 지식 = 29
4) 의미의 영역 = 32
5) 지식의 형식 = 36
4. 교과의 개념에 대한 논의 = 40
제2장 교과교육학의 개념 = 53
1. 교과교육의 기본 논리 = 53
2. 교과교육의 정당화 = 55
3. 교과교육학의 개념 = 58
1) 외국에서의 교과교육학 개념 = 58
2) 교과교육학의 의미 = 60
4. 교과교육학의 개념에 대한 논의 = 63
제3장 교과교육학의 학문적 성격 = 73
1. 학문으로서의 교과교육학 = 73
1) 학문의 성격 = 73
2) 교육학의 성격에 대한 논쟁 = 79
3) 교육학과 교과교육학 = 83
2. 교과교육학의 기본적 성격 = 87
3. 교과교육학의 과제 = 90
제4장 교과교육학 관련 개념에 대한 분석 = 93
1. 교과와 경험의 관계 = 93
2. 교과에 대한 객관주의와 상대주의 = 94
3. 교과의 내재적 가치와 외재적 가치 = 98
4. 분리된 교과관과 통합된 교과관 = 101
5. 교과의 수평적 구조와 수직적 구조 = 104
제5장 교과와 교육의 관계에 대한 비평적 분석 = 107
1. 기존 교과교육학 논의의 기본 가정 = 107
2. 교과와 교육에 대한 분리적 접근 = 110
3. 교과교육학에 대한 대안적 접근 = 114
제6장 교과교육학의 체계 = 123
1. 교과교육학의 체계에 대한 여러 견해 = 123
2. 교과교육 목적론 = 125
3. 교과교육 내용론 = 128
4. 교과교육 방법론 = 129
5. 교과교육과 학습자의 발달 = 129
6. 교과교육 방향론 = 130
7. 교과교육학에서 내용과 방법에 대한 논의 = 131
1) 내용과 방법의 관계 = 131
2) 가법적 관계와 승법적 관계 = 135
3) 교과교육 이론과 실제의 관계 = 138
8. 교과교육학의 체계에 대한 논의 = 140
제Ⅱ부 미술교육학
제7장 미술교육학의 개념 = 147
1. 미술에 대한 관점 = 149
2. 미술교육에 대한 관점 = 152
3. 미술교육학의 개념 = 154
제8장 미술교육 목적론 = 157
1. 미술교육학의 정당성 = 157
1) 미술교육의 정당성 = 159
2) 미술교육학의 정당성 = 162
2. 미술교육의 목적 = 164
1) 미적 안목의 육성 = 167
2) 창의성의 계발 = 172
3) 감성 능력의 함양 = 180
4) 조형 능력의 신장 = 189
제9장 미술교육 내용론 = 195
1. 현 미술과 각 영역에 대한 검토 = 196
2. 미술교육 내용에 대한 철학의 확립 = 198
3. 미술교육 내용의 영역구분에 대한 제안 = 200
제10장 미술교육 방법론 = 209
제11장 미술교육과 학습자의 발달 = 217
1. 0-2세의 미술표현 발달특성 = 217
2. 3-4세 미술표현 발달특성 = 246
3. 5세의 미술표현 발달특성 = 266
4. 6-8세의 미술 능력 발달특성 = 276
5. 8-10세의 미술 능력 발달특성 = 283
6. 10세-12세의 미술 능력 발달특성 = 287
7. 12세 이상의 미술표현 발달특성 = 291
제12장 미술교육 방향론 = 299
제13장 미술교육학의 체계와 방향에 대한 논의 = 309
제14장 한국 미술교육학의 정립 = 319
1. 논의의 요약 = 319
1) 교과의 개념 = 319
2) 교과교육학의 개념 = 320
3) 교과교육학의 체계 = 322
4) 미술교육학의 체계 = 323
2. 한국 미술교육학의 정립 = 324
참고 문헌 = 329
서평 (0 건)
*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. 한글 기준 10자 이상 작성해 주세요.
서평추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