목차 일부
서문 = 4
1. 책과 교양 = 11
교양이란 무엇인가 = 13
어떤 책을 읽을 것인가 = 18
진정한 교양을 위해 해야 할 일 = 21
『신곡』을 읽는 방법 = 24
2. 역사 = 33
역사책들에 대하여 = 35
역사철학의 주제들 = 37
역사서술의 객관성과 당파성 = 39
역사를 보는 두 관점 = 44
우파 역사가의 ...
목차 전체
서문 = 4
1. 책과 교양 = 11
교양이란 무엇인가 = 13
어떤 책을 읽을 것인가 = 18
진정한 교양을 위해 해야 할 일 = 21
『신곡』을 읽는 방법 = 24
2. 역사 = 33
역사책들에 대하여 = 35
역사철학의 주제들 = 37
역사서술의 객관성과 당파성 = 39
역사를 보는 두 관점 = 44
우파 역사가의 거대서사 = 53
역사와 당대의 현실 = 57
3. 근대 = 61
개인주의 = 63
아동의 탄생 = 69
근대사의 주제들 = 73
자연과학이란 무엇인가 = 78
칼 마르크스 = 83
정념과 오성 : 마르크스의 경우 = 102
자본가 계급과 지식인 : 공병호의 경우 = 105
안토니오 그람시 = 109
벤야민과 파사젠베르크 = 116
도시와 근대성 = 122
자본주의 시대의 사랑과 상품 = 126
칸트와 마르크스의 '윤리적 개입' = 130
4. 파시즘 = 137
파시즘의 정의 = 139
파시즘의 근본원리 = 145
파시즘에 있어서 '대중의 국민화' = 149
스타일과 파시즘 = 157
상징의 정치화, 정치의 심미화 = 163
계몽주의와 '민족정신' = 173
나치 시대의 지식인 = 180
현대의 인종주의 = 190
시민공동체와 파시스트적 잔재의 청산 = 194
공화주의에 대하여 = 201
5. 전쟁 = 209
전쟁, "잔인한 교사" = 211
총력전의 뒤끝 = 221
전선기자에 대하여 = 229
6. 한국과 동아시아 = 233
조선 유학의 한계 = 235
조선 사회의 유교적 변환 = 238
주희의 커리큘럼과 조선의 관학 = 245
『논어』를 둘러싼 계면쩍은 장면 = 252
매천 황현이 파악한 구한말 = 261
구한말 유자가 파악한 세계 = 264
식민지 조선과 세계 = 269
한국 현대사의 공포 = 272
해방공간의 시대정신 = 276
서평 (0 건)
*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. 한글 기준 10자 이상 작성해 주세요.
서평추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