목차 일부
목차
서문 = 5
제1장 경제학의 번성 = 17
제2장 경제ㆍ사회발전 원리에 대한 이해
1. 인류의 진화로 본 경제ㆍ사회발전 = 35
2. 세계관과 경제ㆍ사회발전의 관계 = 42
3. 경제ㆍ사회발전의 원리 = 58
4. 무엇이 새로운 발견인가? = 78
제3장 경제ㆍ사회발전에서 시장과 정부의 역할
1. 시장과 정부의 역할에 대한 몇가지 의문 = 9...
목차 전체
목차
서문 = 5
제1장 경제학의 번성 = 17
제2장 경제ㆍ사회발전 원리에 대한 이해
1. 인류의 진화로 본 경제ㆍ사회발전 = 35
2. 세계관과 경제ㆍ사회발전의 관계 = 42
3. 경제ㆍ사회발전의 원리 = 58
4. 무엇이 새로운 발견인가? = 78
제3장 경제ㆍ사회발전에서 시장과 정부의 역할
1. 시장과 정부의 역할에 대한 몇가지 의문 = 91
2. 시장이 하는 일 = 95
3. 정부가 해야 할 일 = 103
4. 사회실패 극복과정으로서의 발전과 정부의 역할 = 123
제4장 경제ㆍ사회발전에서 기업의 역할
1. 기업의 성장은 경제의 발전파정 = 131
2. 기업은 시장의 이단아인가 = 137
3. 기업은 왜 발전에 도움이 되는가?: 기업이론의 재정립 = 143
4. 기업의 성장과 경제력집중 = 148
제5장 이념과 경제ㆍ사회발전
1. 왜 이념이 중요한가 = 155
2. 이념이란 무엇인가? = 157
3. 이념은 경제제도와 거래비용의 결정요인 = 173
4. 자유와 평등의 이념과 경제성과 = 176
5. 발전친화적 이념의 기준 = 180
제6장 경제ㆍ사회발전과 불평등, 분배, 복지 문제
1. 발전은 문제의 시작인가 = 185
2. 사회정의로서의 차별화원리 = 187
3. 경제ㆍ사회발전과 분배의 관계 = 196
4. 지속가능한 복지제도를 찾아서 = 204
제7장 정치와 경제ㆍ사회발전
1. 민주주의와 경제ㆍ사회발전 = 211
2. 평등민주주의에 따른 장기 경제침체 = 219
3. 중진국 함정의 원인과 대책 = 226
제8장 경제ㆍ사회발전에서 리더십의 역할
1. 경제ㆍ사회발전과 리더십 = 235
2. 궁극적 외생변수로서의 리더십 = 239
3. 조직과 리더십의 본질 = 244
4. 발전친화적 리더십의 조건 = 247
제9장 새로 읽는 한국경제: 차별화 발전원리의 응용
1. 한국경제, 제대로 이해하고 있나 = 253
2. 한국경제의 현 좌표: 경제성장의 장기정체 = 256
3. 개발연대 한국경제의 성공요인: 관치차별화 = 265
4. 한국경제 성장의 장기정체 원인: 관치평등화 = 283
5. 한국경제의 발전전략: 시장과 정부에 의한 차별화전략 = 306
6. 평등주의 함정, 벗어날 수 있을까 = 312
제10장 연구를 마치며
1. 새로운 발견 = 317
2. 발전경제학 접근방법상의 공헌 = 324
3. 이론의 설명력과 적용가능성 = 327
4. 인센티브의 안경을 써야 세상이 보인다 = 331
참고문헌 = 337
찾아보기 = 344
서평 (0 건)
*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. 한글 기준 10자 이상 작성해 주세요.
서평추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