목차 일부
머리말 - 현실과 논리, 그리고 문학을 공부한다는 것 = 5
제1부 소설의 현실과 비평의 논리 = 11
『탁류』의 개작과 『무정』패러디 = 13
친일 논리에 되비춰 본 채만식 문학의 문제성 = 35
1930년대 후반 임화 문학론 비판 - 이식문학론 극복을 위하여 = 53
전후 북한의 아동문학론 = 81
'새마을소설'에 나타난 근대화 담론의 자기...
목차 전체
머리말 - 현실과 논리, 그리고 문학을 공부한다는 것 = 5
제1부 소설의 현실과 비평의 논리 = 11
『탁류』의 개작과 『무정』패러디 = 13
친일 논리에 되비춰 본 채만식 문학의 문제성 = 35
1930년대 후반 임화 문학론 비판 - 이식문학론 극복을 위하여 = 53
전후 북한의 아동문학론 = 81
'새마을소설'에 나타난 근대화 담론의 자기모순성 = 103
학살의 기억과 진정한 평화의 염원 : 제주 4 · 3문학 = 127
이야기로 풀어낸 역사와 신화화된 이야기 - 황석영의 『손님』과 이청준의 『신화를 삼킨 섬』 = 149
진보주의의 뿌리 찾기와 그 현재화의 지난함 - 방현석과 이대환 = 169
닫혀 있는 소우주, 그 환각 체험의 의미 - 윤대녕의 작품들에 관하여 = 191
제2부 한국 근현대소설의 흐름 = 215
한국 근대소설 약사 = 217
한국 현대소설 약사 = 227
채만식, 풍자문학의 진수 = 239
이태준, 단편소설의 깊은 서정성 =. 251
김유정, 그 해학의 원천과 힘 = 261
김동리, 신비로운 토속성 = 271
안수길, 북간도에서 전후까지 = 283
오영수, 밑바닥 사람들에 대한 따뜻한 시선 = 289
하근찬, 제3세계적 감수성의 기원 = 295
김주영, '이야기꾼'의 전범 = 305
조정래, 분단문학의 새로운 지평 = 313
현기영, 보편적 평화 지향으로서의 제주 4 · 3문학 = 319
방현석, 본격적 노동소설 = 329
김소진, 민중에 대한 새로운 이해 = 337
이데올로기와 근대화의 그림자 - 천승세, 남정현, 박용숙, 전병순, 이정호, 방영웅의 소설들.
사람과 사람사이가 그리울수록, 더 보고픈 그와 그의 글 - 이문구의 산문 = 355
서평 (0 건)
*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. 한글 기준 10자 이상 작성해 주세요.
서평추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