목차 일부
목차
제Ⅰ부 에너지원으로서의 영양소
제1장 탄수화물의 구조 및 특성 = 25
1. 탄수화물의 분류 및 구조 = 25
가. 단당류(Monosaccharides) = 26
나. 과당류(Oligosaccharides) = 29
다. 다당류(Polysaccharides) = 30
2. 인체에서 탄수화물의 섭취 및 소화 = 32
가. ...
목차 전체
목차
제Ⅰ부 에너지원으로서의 영양소
제1장 탄수화물의 구조 및 특성 = 25
1. 탄수화물의 분류 및 구조 = 25
가. 단당류(Monosaccharides) = 26
나. 과당류(Oligosaccharides) = 29
다. 다당류(Polysaccharides) = 30
2. 인체에서 탄수화물의 섭취 및 소화 = 32
가. 운동을 위한 탄수화물 섭취원 및 권고량 = 32
나. 탄수화물의 소화 및 흡수 = 35
다. 탄수화물의 저장 = 37
3. 인체에서 탄수화물의 역할 = 38
4. 탄수화물의 에너지원으로서의 장ㆍ단점 = 39
가. 탄수화물의 에너지원으로서의 장점 = 39
나. 탄수화물의 에너지원으로서의 단점 = 39
References = 41
제2장 지방의 구조 및 특성 = 43
1. 지방의 분류 및 구조 = 43
가. 단순지방(Simple lipids) = 45
나. 복합지방(Compound lipids) = 48
다. 파생지방(Derived lipids) = 53
2. 인체에서 지방의 섭취 및 소화 = 53
가. 운동을 위한 지방의 섭취원 및 권고량 = 53
나. 지방의 소화 및 흡수 = 54
다. 지방의 저장 = 57
3. 인체에서 지방의 역할 = 59
가. 큰 잠재적 에너지 저장 = 59
나. 주요기관의 보호 = 60
다. 열 차단에 의한 체온의 급격한 변화 방지 = 60
라. 지용성 vitamin의 전달효과 = 60
마. 인체에서 콜레스테롤(cholesterol)의 역할 = 61
4. 지방의 에너지원으로서의 장ㆍ단점 = 61
가. 지방의 에너지원으로서의 장점 = 61
나. 지방의 에너지원으로서의 단점 = 61
References = 62
제3장 단백질의 구조 및 특성 = 63
1. 단백질의 분류 및 구조 = 64
가. 필수아미노산(Essential amino acids) = 64
나. 비필수아미노산(Nonessential amino acids) = 66
다. 비필수아미노산의 합성(Synthesis of nonessential amino acids) = 66
2. 인체에서 단백질의 섭취 및 소화 = 72
가. 운동을 위한 단백질 섭취원 및 권고량 = 72
나. 단백질의 소화 및 흡수 = 74
다. 단백질의 저장 = 77
3. 인체에서 단백질의 역할 = 77
4. 단백질의 에너지원으로서의 장ㆍ단점 = 78
가. 단백질의 에너지원으로서의 장점 = 78
나. 단백질의 에너지원으로서의 단점 = 78
References = 80
제Ⅱ부 에너지원의 대사적 에너지 생성 경로
제4장 탄수화물의 대사 경로 = 83
1. 탄수화물로부터의 에너지 생성 = 85
가. 탄수화물 에너지 대사의 주요 반응 : 당원분해(Glycogenolysis), 해당작용(Glycolysis), 당신생합성(Glycogenesis), 당원합성(Gluconeogenesis) = 86
2. 무산소성 해당작용(Glycolysis)에서 젖산의 형성 = 132
가. 젖산(Lactate) 형성의 대사적 중요성 = 132
나. 반응 경로 = 135
다. Lactate dehydrogenase(LDH) = 137
라. 젖산과 수소 이온의 전달(Lactate/<TEX>$$H^+$$</TEX> transport) = 138
3. 무산소성 해당작용(Glycolysis)의 과정에서 ATP 생성 = 138
4. 유산소성 해당작용(Glycolysis)의 과정에서 생성된 pyruvate의 acetyl-CoA 전환 = 140
가. Acetyl-CoA 형성의 대사적 중요성 = 140
나. 반응 경로 = 143
다. Pyruvate dehydrogenase(PDH) = 143
라. Pyruvate dehydrogenase의 다른 자리 입체성 조절(Allosteric regulation) = 145
5. 크랩스 싸이클(Krebs cycle) = 146
가. Krebs cycle의 대사적 중요성 = 146
나. Krebs cycle의 반응 경로 = 149
다. Krebs cycle의 주요 효소 작용 = 154
라. Krebs cycle의 조절 기전 = 155
6. 전자 전달계(Electron Transport Chain) = 157
가. 전자 전달계(ETC)의 대사적 중요성 = 157
나. 전자 전달계(ETC)의 반응 경로 = 157
7. 기질 수준의 부인산화(Substrate level phosphorylation)에 의한 ATP 생성과 산화적 부인산화(Oxidative phosphorylation)에 의한 ATP 생성 = 162
가. 기질 수준의 부인산화(Substrate level phosphorylation)에 의한 ATP 생성 = 162
나. 산화적 부인산화(Oxidative phosphorylation)에 의한 ATP 생성 = 162
8. 세포질과 마이토콘드리아 사이의 NADH 치환 시스템(Glycerol phosphate and malate-aspartate shuttle systems) = 163
가. Glycerol-3-phosphate shuttle = 163
나. Malate-aspartate shuttle = 164
9. 유산소성 해당작용(Glycolysis)과 크랩스 싸이클(Krebs cycle) 과정에서 ATP 생성 = 166
References = 169
제5장 지방의 대사 경로 = 171
1. 지방세포로부터 유리지방산(FFA)의 이동 = 172
가. 지방세포에서의 지방분해작용(Lipolysis) = 172
2. 혈장에서 유리지방산 (FFA)의 운반 = 175
가. 유리지방산(FFA) 혈장 전달 능력 = 176
3. 유리지방산(FFA)의 세포 통과 = 177
가. 알부민(Albumin)으로부터 분리 = 177
나. 세포막의 통과 = 178
4. 세포질 유리지방산(FFA)의 마이토콘드리아 유입 = 179
가. 유리지방산(FFA)의 fatty acyl-CoA 전환(FFA의 활성화) = 179
5. 마이토콘드리아 β-oxidation = 181
가. β-oxidation의 대사적 중요성 = 181
나. β-oxidation의 반응경로 = 183
다. β-oxidation의 조절 기전 = 188
6. 유산소적 지방대사에서의 ATP 생성 = 189
가. β-oxidation에 의해 생성된 FADH₂와 NADH의 전자 전달계를 통한 ATP 생성 = 189
나. β-oxidation에 의해 생성된 acetyl-CoA의 Krebs cycle과 전자 전달계를 통한 ATP 생성 = 189
다. Tripalmitin(TG)으로 부터의 ATP 생성 = 190
7. 지방 합성(Lipid synthesis) = 190
가. 지방합성(Lipid synthesis)의 대사적 중요성 = 190
나. 지방산 합성(fatty acid synthesis) 경로 = 191
다. 중성지방(Triglyceride: TG) 합성 = 195
라. 지방합성(Lipid synthesis) 과정의 주요 효소 작용 = 197
마. 지방합성(Lipid synthesis) 조절 기전 = 198
8. Ketone body의 형성과 이용 = 199
가. Ketone body 형성의 대사적 중요성 = 200
나. Ketone bodies의 합성 반응경로 = 201
다. Ketone bodies의 이용 경로 = 204
라. Ketone bodies 산화에 의한 ATP 생성 = 206
References = 207
제6장 단백질의 대사적 경로 = 209
1. 아미노산 이화작용(Amino acid catabolism) = 210
가. 단백질 분해에 의한 아미노산 생성 = 210
나. 아미노산의 분해(Amino acid breakdown) = 212
다. 탄소 골격의 운명(Amino acids carbon skeletons breakdown) = 215
2. 유레아 싸이클(Urea cycle) = 218
가. Urea cycle의 대사적 중요성 = 218
나. Urea cycle의 반응단계 = 221
다. Urea cycle의 주요 효소 및 조절기전 = 224
3. 골격근의 아미노산 대사(Amino acids metabolism in skeletal muscle) = 226
가. 골격근 BCAA(Branched-chain amino acids) 산화의 대사적 의미 = 226
나. BCAA의 대사 반응 경로 = 226
다. BCAA 대사 경로의 주요 조절효소 및 조절기전 = 230
4. Purine nucleotide cycle(PNC) = 231
가. Purine nucleotide cycle의 대사적 의미 = 231
나. Purine nucleotide cycle의 대사 반응경로 = 233
다. Purine nucleotide cycle 효소들의 조절기전 = 234
5. 단백질 대사의 조절(Regulation of protein turnover) = 236
References = 238
제Ⅲ부 운동과 대사적 적응
제7장 운동과 훈련에 의한 탄수화물 대사의 변화 = 241
1. 운동시 탄수화물 대사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 = 241
가. 운동강도(Exercise intensity) = 241
나. 훈련(Training) = 243
다. 식이와 영양상태(Diet and nutritional status) = 244
라. 환경(Environment) = 244
마. 성별(Gender) = 244
바. 유전적 결함과 질병(Genetic defect and disease) = 245
2. 운동과 훈련에 의한 탄수화물 저장 및 이용의 변화 = 246
가. 운동과 훈련에 의한 탄수화물 저장의 변화 = 246
나. 운동과 훈련에 의한 탄수화물 이용의 변화 = 253
다. 운동과 훈련에 의한 근육 glucose 섭취의 변화 = 263
References = 270
제8장 운동과 훈련에 의한 지방 대사의 변화 = 281
1. 운동시 지방대사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 = 281
가. 운동강도와 지속시간(Exercise intensity and duration) = 281
나. 훈련(Training) = 285
다. 식이와 영양상태(Diet and nutritional status) = 286
라. 성별(Gender) = 287
마. 유전적 결함(Genetic defect) = 288
2. 운동과 훈련에 의한 지방 동원 및 이용 조절의 변화 = 288
가. 지방 세포에서의 변화 = 290
나. 혈중(혈장)에서의 변화 = 302
다. 골격근 세포에서의 변화 = 307
라. 마이토콘드리아(Mitochondria)에서의 변화 = 319
3. 지방 섭취가 운동 수행에 미치는 영향 = 324
가. 지방이 풍부한 식이의 적응이 지구력 운동 수행에 미치는 영향 = 324
References = 331
제9장 운동과 훈련에 의한 단백질 대사의 변화 = 349
1. 운동시 단백질 대사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 = 349
가. 운동강도와 지속시간(Exercise intensity and duration) = 349
나. 훈련(Training) = 350
다. 식이와 영양상태(Diet and nutritional status) = 351
라. 성별(Gender) = 351
마. 유전적 결함이나 질병(Genetic defect and disease) = 353
2. 운동과 훈련에 의한 단백질 합성 및 분해의 변화 = 353
가. 운동과 훈련에 의한 단백질 합성의 변화 = 354
나. 운동과 훈련에 의한 단백질 분해의 변화 = 359
다. 운동과 훈련에 의한 단백질 합성 및 분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= 362
3. 운동과 훈련에 의한 단백질 요구량의 변화 = 366
가. 단백질 요구량을 측정하는 방법 = 367
나. 지구성(endurance) 운동과 훈련에 의한 단백질 요구량의 변화 = 369
다. 저항성(resistance) 운동과 훈련에 의한 단백질 요구량의 변화 = 371
라. 운동과 훈련후 단백질 섭취 시기의 중요성 = 373
마. 운동선수들의 습관적인 단백질 섭취 = 374
4. 운동과 훈련에 의한 골격근 단백질 이용의 변화 = 375
가. 안정시 근육의 아미노산 대사 = 375
나. 운동시 Glucose-alanine cycle과 glutamine의 변화 = 381
다. 최대(maximal) 부하 운동시 근육 아미노산 대사의 변화 = 384
라. 최대하(submaximal) 부하 운동시 근육 아미노산 대사의 변화 = 386
References = 394
제Ⅳ부 운동과 호르몬
제10장 운동과 대사적 호르몬 분비의 변화 = 409
1. 호르몬의 기본적 이해 = 409
가. 호르몬의 정의 = 409
나. 호르몬의 생리적 역할 = 411
다. 호르몬의 분류 및 특성 = 412
라. 호르몬의 기본 조절 기전 = 414
2. 내분비선과 호르몬의 기능 = 422
가. 시상하부(Hypothalamus) = 422
나. 뇌하수체(Pituitary gland hypophysis) = 424
다. 갑상선(Thyroid) = 428
라. 부갑상선(Parathyroid) = 431
마. 부신(Adrenal gland) = 431
바. 췌장(Pancreas) = 438
사. 고환(Testes)과 난소(Ovaries) = 443
3. 운동에 의한 호르몬 분비의 변화 = 450
가. 운동시 시상하부 호르몬 분비의 변화 = 450
나. 운동시 뇌하수체 호르몬 분비의 변화 = 451
다. 운동시 갑상선 호르몬 분비의 변화 = 454
라. 운동시 부신 호르몬 분비의 변화 = 455
마. 운동시 췌장 호르몬 분비의 변화 = 458
바. 운동시 성호르몬 분비의 변화 = 460
References = 463
제Ⅴ부 운동과 피로
제11장 운동에 따른 대사적 피로요인의 변화 = 473
1. 피로의 개념 = 473
2. 피로 발생의 원천 = 473
가. 중추적 원인에 의한 피로 발생 = 474
나. 말초적 원인에 의한 피로 발생 = 478
3. 온도의 상승에 따른 피로 유발 = 488
References = 490
제Ⅵ부 운동과 항산화 체계
제12장 운동과 산화적 스트레스 그리고 훈련과 항산화 체계 = 495
1. 운동과 산화적 스트레스(Exercise and oxidative stress) = 495
가. 활성산소(Reactive oxygen species: ROS) 형성의 기본개념 = 495
나. 운동시 활성산소 생성과 조직 손상 = 503
2. 훈련과 항산화 체계(Training and antioxidant system) = 512
가. 항산화 방어 기전 = 512
나. 운동에 따른 항산화 방어 작용 = 516
다. 훈련에 의한 항산화 적응 = 518
References = 520
부록 운동과 에너지 대사 과정 이해를 위한 기본 개념
1. 세포의 구조 = 529
가. 세포의 구조와 대사적 특성 = 529
1) 세포막(Plasma membrane) = 529
2) 핵(Nucleus) = 529
3) 세포질(Cytoplasm) = 530
4) 리보솜(Ribosome) = 531
5) 소포체(Endoplasmic reticulum: ER) = 531
6) 근형질세망(Sarcoplasmic reticulum) = 531
7) 세포체질(Cytoskeleton) = 531
8) 리소좀(Lysosome) = 532
9) 골지체(Golgi complex) = 532
10) 중심체(Centrosome)와 중심소체(Centriole) = 532
11) 마이토콘드리아(Mitochondria) = 532
12) 퍼록시솜(Peroxisome) = 533
나. 각 조직세포 및 기관의 대사 참여 = 534
다. 생체막을 통한 용질의 전달 = 534
1) 단순확산(Simple diffusion) = 534
2) 단순촉진확산(Simple facilitated diffusion) = 535
3) 수위(1차) 능동적 전달(Primary active transport) = 535
4) 부차(2차) 능동적 전달(Secondary active transport) = 535
5) 세포내 이입(Endocytosis) = 535
2. 원자의 구조와 전자의 배치 = 536
가. 원자의 구조 = 536
나. 전자의 배치 = 537
3. 화학결합의 성격(이온결합과 공유결합) = 540
가. 이온결합(Ionic bond) = 540
나. 공유결합(Covalent bond) = 541
4. 에너지 = 542
가. 열역학 법칙(Laws of thermodynamics) = 543
나. 에너지의 형태 = 543
다. 위치에너지와 운동에너지 = 544
라. 자유에너지(Free energy) = 544
마. 인체 에너지 전환의 연계(Bioenergetics) = 549
5. 고 인산 결합 = 553
가. ATP(Adenosine triphosphate) = 553
나. CP(Creatine phosphate) = 554
6. 효소의 역할 = 556
7. 가수분해와 축합반응 : 소화와 합성을 위한 기초 = 562
가. 가수분해 반응(Hydrolysis) = 562
나. 축합반응(Condensation) = 562
8. 산화-환원 반응 = 563
References = 565
찾아보기 = 567
서평 (0 건)
*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. 한글 기준 10자 이상 작성해 주세요.
서평추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