목차 일부
목차
제1부 개관
제1장 분석대상: 설명할 사실들 = 3
1.1 국가간 소득수준의 차이 = 7
총GDP 대 1인당 GDP = 8
1.2 국가간 소득증가율의 차이 = 10
성장이 소득수준에 미치는 영향 = 10
증가율 계산연습 = 12
경제성장 대 경기순환 = 15
지난 40년간의 성장 = 16
1820년 이후의 성장...
목차 전체
목차
제1부 개관
제1장 분석대상: 설명할 사실들 = 3
1.1 국가간 소득수준의 차이 = 7
총GDP 대 1인당 GDP = 8
1.2 국가간 소득증가율의 차이 = 10
성장이 소득수준에 미치는 영향 = 10
증가율 계산연습 = 12
경제성장 대 경기순환 = 15
지난 40년간의 성장 = 16
1820년 이후의 성장 = 17
1820년 이전의 성장 = 19
국가간 및 국가내 소득불평등 = 20
1.3 결론 = 22
부록 : 구매력평가환율(PPP)을 사용한 GDP의 측정과 비교 = 26
제2장 분석을 위한 틀 = 31
2.1 실바니아와 프리도니아의 경제학: 비유 = 32
2.2 비유에서 현실로 = 36
생산함수 = 37
소득수준에서 성장률로 = 39
2.3 우리는 데이터에서 무엇을 배울 수 있는가 = 41
산포도와 상관관계 = 42
2.4 결론 = 45
역사적 데이터로부터 배우기 = 46
제2부 요소축적
제3장 물적자본 = 53
3.1 자본의 특성 = 55
3.2 생산에서 자본의 역할 = 57
자본의 역할을 분석하기 위해 생산함수 사용하기 = 57
자본소득분배율 = 60
요소 지급과 요소분배율 = 60
3.3 솔로우 모형 = 62
근로자 1인당 자본의 결정 = 62
자본의 부침(浮沈) = 63
시간 흐름에 따른 변화의 측정 = 64
정상상태
정상상태-칼로리와 몸무게의 예 = 68
소득격차이론으로서의 솔로우 모형 = 69
상대적 성장률에 관한 이론으로서의 솔로우 모형 = 72
3.4 투자와 저축 간의 관계 = 75
저축률에 대한 설명: 외생적 요인인가 아니면 내생적 요인인가 = 77
정부정책과 저축률 = 78
소득이 저축에 미치는 영향 = 79
자본의 부침(浮沈)에 대한 재론 = 82
3.5 결론 = 83
부록 : 콥-더글라스 생산함수와 솔로우 모형의 수렴속도에 관한 설명 = 87
제4장 인구와 경제성장 = 91
4.1 인구와 산출의 장기적 추이 = 93
인구의 장기적 추이 = 93
맬서스 모형 = 94
인구의 힘 = 95
맬서스 모형의 붕괴 = 100
4.2 솔로우 모형의 인구증가 = 102
인구증가와 자본희석 = 103
정량적 분석 = 105
4.3 인구증가에 관한 설명 = 107
사망률의 변천 = 108
출산율 변천 = 111
출산율과 사망률의 상호작용 = 112
4.4 출산율 변천에 관한 설명 = 115
출산율의 감소: 수단 = 116
가족계획 프로그램과 효과 = 118
출산율의 감소: 동기 = 120
4.5 결론 = 124
부록 : 합계출산율, 기대수명과 순재생산율에 대한 보다 엄밀한 설명 = 128
제5장 미래의 인구추세 = 133
5.1 인구전망 = 134
사망률 전망 = 137
출산율 전망 = 137
아프리카의 에이즈(AIDS) = 138
템포 효과 = 141
인구학적 관성 = 144
최장기에 걸친 인구전망 = 145
5.2 인구학적 변화의 경제적 효과 = 147
인구증가의 둔화 = 147
지구는 몇 명의 사람들을 수용할 수 있을까? = 148
인구의 고령화 = 150
세계지도 다시 그리기 = 155
5.3 결론 = 159
금메달 획득을 위하여 = 158
제6장 인적자본 = 163
6.1 건강이라는 형태의 인적자본 = 164
건강상태의 차이가 소득수준에 미치는 영향 = 165
건강과 소득 간의 상호작용에 대한 모형 = 168
건강과 1인당 소득: 두 가지 견해 = 170
6.2 교육이라는 형태의 인적자본 = 172
교육수준의 변화 = 172
교육과 임금 = 174
인적자본의 임금 몫 = 175
미국의 대졸자 프리미엄 = 178
6.3 국가간 소득격차의 얼마만큼이 교육으로 설명되는가 = 182
국가간 학력의 차이가 갖는 효과에 대한 정량적 분석 = 182
6.4 결론 = 189
완전해질 수 있는 인간과 성장의 둔화 = 190
제3부 생산성
제7장 생산성의 측정 = 195
7.1 생산함수에서의 생산성 = 197
7.2 국가간 생산성 수준의 차이 = 199
국가간 생산성 차이의 측정 = 199
자본의 측정의 문제와 그에 따른 생산성 측정과 관련한 함의 = 204
생산성에 따른 국가간 소득격차 = 205
7.3 생산성 증가율의 국가간 차이 = 208
수학보충: 생산성과 요소축적량의 상대적 중요성 = 209
생산성 증가의 측정 = 210
생산성과 국가간 성장률의 차이 = 212
7.4 결론 = 214
두 도시 이야기 = 215
제8장 경제성장에서 기술의 역할 = 219
8.1 기술진보의 성격 = 220
기술창조 = 221
특허, 영업비밀, 종결유전자 = 222
기술 이전 = 224
연구개발비 지출의 결정요인 = 225
8.2 기술창조와 경제성장 간 관계의 모형화 = 227
1국모형 = 227
국제간 기술이전 = 232
2국모형 = 232
8.3 국가간 기술이전의 장벽 = 240
적정기술 = 241
암묵적 지식 = 244
8.4 결론 = 245
체화된 기술진보와 기술적 도약 = 246
수학 부록 : 솔로우 모형에 기술진보를 도입하기 = 251
제9장 기술의 최첨단 = 257
9.1 기술진보의 속도 = 258
18세기 이전의 기술진보 = 259
기술진보의 몇 가지 이정표 = 260
산업혁명 = 262
산업혁명 이후의 기술진보 = 265
9.2 기술생산함수 = 267
범용기술(general-purpose technology) = 269
기술수준과 기술진보율 간의 관계 = 270
과학과 기술 = 271
기술생산에서의 규모에 대한 수확체감 = 272
기술진보의 미래에 대한 시사점 = 273
기술의 최첨단은 어디에 있는가? = 274
9.3 불균등 기술진보 = 276
불균등 기술진보: 두 가지의 이론적인 예 = 277
기술진보의 예측 = 278
현실 세계에서의 기술진보: 재화와 서비스 = 281
현실 세계에서의 기술진보: 정보기술 = 282
9.4 결론 = 283
수학 부록 : 기술생산함수의 개선된 형태 = 287
제10장 효율성 = 289
10.1 기술과 효율성으로의 생산성 분해 = 290
국가간 횡단면 자료의 분석 = 291
10.2 효율성의 차이: 사례연구 = 294
소련의 계획경제 = 295
1910년의 섬유산업 = 296
산업별 국가간 생산성의 차이 = 298
미국의 지하 석탄채굴, 1949~1994년 = 300
10.3 비효율의 유형 = 301
비생산적 활동 = 302
유휴자원 = 303
생산요소의 부문 간 배분착오 = 305
생산요소의 기업 간 배분착오 = 310
기술차단 = 311
10.4 결론 = 314
수학 부록 : 부문 간 재배분과 총생산성 증가율 = 318
제11장 개방경제의 경제성장 = 321
11.1 자급자족과 개방 = 322
개방경제의 산출량 측정 = 323
세계화: 사실들 = 324
세계화: 원인들 = 326
관세, 수입 쿼터, 기타 무역제한조치 = 328
11.2 개방이 경제성장에 미치는 효과 = 330
개방적인 국가와 폐쇄적인 국가의 성장률 비교 = 331
개방정도의 변화가 성장에 미치는 영향 = 333
지리적 장벽이 무역에 미치는 영항 = 334
11.3 개방과 요소축적 = 335
성장과 자본이동성 = 336
자유로운 자본이동 모형의 평가 = 338
11.4 개방과 생산성 = 341
기술의 한 형태로서의 교역 = 341
콘솔리데이티드 앨크미 회사의 흥망성쇠 = 342
개방과 기술진보 = 344
개방과 효율성 = 345
11.5 개방에 대한 반대 = 347
반세계화 = 349
11.6 결론 = 352
제4부 경제의 기본요인
제12장 정부 = 357
12.1 경제에 대한 정부의 적절한 역할의 정의 = 361
경제에 대한 정부개입이 정당한 경우 = 361
경제에 대한 정부개입이 부당한 경우 = 363
대변혁 = 364
12.2 정부는 어떻게 경제성장에 영향을 주나 = 365
법치 = 365
과세, 효율성 및 정부의 규모 = 368
계획과 여타 산업정책 = 371
다른 길 = 372
경제계획이 언제나 실패하는 것은 아니다 = 373
12.3 왜 정부는 성장을 저해하는 행동을 할까 = 374
정부정책의 다른 목적들 = 375
부패와 도둑정치 = 375
자기보호본능 = 377
정부규제: 도움의 손일까? 아니면 착취의 손일까? = 378
12.4 왜 가난한 국가들에는 나쁜 정부가 있을까 = 380
소득이 정부의 질에 미치는 영향 = 381
정부의 질이 소득에 미치는 영향 = 383
민주주의와 경제성장 = 384
12.5 결론 = 386
제13장 소득불평등도 = 391
13.1 소득불평등도: 개요 = 392
소득불평등도의 측정을 위한 지니 계수의 활용 = 394
쿠즈네츠 가설 = 397
경제성장은 가난한 사람들에게 이로운가? = 400
13.2 소득불평등도의 원인들 = 402
최근의 소득불평등도 상승에 대한 해석 = 408
13.3 소득불평등도가 경제성장에 미치는 영향 = 410
물적자본의 축적에 미치는 영향 = 410
인적자본의 축적에 미치는 영향 = 411
소득불평등도, 소득재분배 및 효율성 = 414
소득불평등도로 인해 발생하는 정치사회적 불안 = 419
실증 증거 = 420
13.4 소득분포를 넘어서: 경제적 이동성 = 424
13.5 결론 = 427
제14장 문화 = 431
14.1 문화가 경제성장에 미치는 효과 = 432
새로운 아이디어에 대한 수용도 = 433
근면 = 435
장래를 위한 저축 = 437
신뢰 = 438
문화를 통해 경제성장을 설명하려는 시도가 가지는 맹점 = 440
사회적 자본 = 441
사회적 역량 = 444
마을단위에서의 사회적 자본의 중요성 = 444
적절한 문화적 속성 개념의 변화 = 447
14.2 문화를 결정짓는 요인 = 449
기후와 천연자원 = 449
문화적 동질성과 사회적 자본 = 450
인구밀도와 사회적 역량 = 453
14.3 문화의 변화 = 455
실험적 접근방법을 통해 펴본 협동의 결정요인들 = 456
경제성장과 문화의 변화 = 457
정부정책과 문화의 변화 = 458
14.4 결론 = 460
제15장 지리적 특성, 기후 및 천연자원 = 465
15.1 지리적 특성 = 467
위치, 국제무역 및 성장 = 467
지리적 집중도와 파급효과 = 469
총, 병균 및 지리적 요인들 = 470
지리적 요인이 정부에 미치는 영향 = 472
15.2 기후 = 476
기후와 농업 생산성 = 478
기후와 질병 = 480
기후와 사람의 활동성 = 483
15.3 천연자원 = 485
천연자원과 성장 간의 상관관계 = 485
자원의 저주에 대한 설명들 = 488
15.4 결론 = 493
자원과 초기 산업화: 석탄 사례를 중심으로 = 494
제16장 전지구적 수준에서의 천연자원과 환경 = 499
16.1 천연자원의 개념 = 500
재생불능자원 = 501
재생가능자원 = 503
천연자원에 대한 재산권 = 506
천연자원과 생산 = 508
16.2 천연자원을 포함한 경제성장에 대한 분석 = 510
국민계정에 대한 재검토 = 511
자원의 재앙 = 512
자원의 가격 = 516
한정된 천연자원이 왜 경제성장을 막지 못할까 = 519
내기(The Bet) = 520
자원절약형 기술 = 524
16.3 경제성장과 환경 = 526
환경 쿠즈네츠 곡선 = 527
지구온난화 = 529
런던의 환경 쿠즈네츠 곡선 = 530
16.4 결론 = 535
수학 부록 : 기술발전과 자원 고갈 = 539
제5부 결론
제17장 우리가 배운 것과 앞으로 남은 과제 = 545
17.1 우리가 배운 것 = 545
요소축적 = 546
생산성 = 546
기본 요인들 = 548
17.2 미래에는 무엇이 담겨 있을까 = 550
세계 소득분포는 어떻게 변할 것인가 = 550
기술진보의 빠른 속도는 유지될 것인가 = 551
성장은 우리를 행복하게 해주는가? = 552
세계인구의 미래는 무엇인가 = 554
전 지구적 경제통합은 계속될 것인가 = 555
천연자원의 부족이 경제성장을 제약할 것인가 = 556
17.3 최후의 단상(斷想) = 556
참고문헌 = 557
용어해설 = 571
찾아보기 = 579
서평 (0 건)
*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. 한글 기준 10자 이상 작성해 주세요.
서평추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