목차 일부
목차
관동팔경을 찾아서(In Search of 8 Historic Sceneries in Kwandong Region) = 2
제1장 관동팔경(關東八景)의 유래(由來) = 12
제2장 관동팔경의 사료탐구(史料探究)
1. 평해 월송정(平海 越松亭) = 22
2. 울진 망양정(蔚珍 望洋亭) = 24
3. 삼척 죽서루(三陟 竹西樓) = 29
4...
목차 전체
목차
관동팔경을 찾아서(In Search of 8 Historic Sceneries in Kwandong Region) = 2
제1장 관동팔경(關東八景)의 유래(由來) = 12
제2장 관동팔경의 사료탐구(史料探究)
1. 평해 월송정(平海 越松亭) = 22
2. 울진 망양정(蔚珍 望洋亭) = 24
3. 삼척 죽서루(三陟 竹西樓) = 29
4. 강릉 경포대(江陵 鏡浦臺) = 33
5. 양양 낙산사ㆍ의상대(襄陽 洛山寺ㆍ義湘臺) = 40
양양 하조대(襄陽 河趙臺) = 45
6. 간성 청간정(杆城 淸澗亭) = 47
7. 고성 삼일포(高城 三日浦) = 51
고성 해금강(高城 海金剛) = 56
8. 통천 총석정(通川 叢石亭) = 59
제3장 회화사(繪畵史)로 본 관동팔경
1. 고려시대 = 64
2. 근세조선 시대 = 66
제4장 진경시대(眞景時代)의 기행사경(紀行寫景)
1. 산수(山水)의 세계 = 76
2. 진경산수(眞景山水, 寫景山水, 實景山水) = 80
3. 기행사경(紀行寫景) = 84
제5장 관동팔경을 그린 18C-19C(眞景時代) 화가들
1. 겸재(謙齋) 정선(鄭敾 1676-1759) = 88
2. 단원(壇園) 김홍도(金弘道 1745-1806?) = 111
3. 기타 화가들(연대순)
① 현재(玄齋) 심사정(沈師正 1707-1769) = 123
② 연객(烟客) 허필(許필 1709-1768) = 127
③ 표암(豹庵) 강세황(姜世晃 1713-1791) = 129
④ 복헌(復軒) 김응환(金應煥 1742-1789) = 132
⑤ 고송유수관도인(古松流水館道人) 이인문(李寅文 1745-1821) = 134
⑥ 심재(心齋) 이방운(李昉運 1761-1815이후) = 137
⑦ 임전(琳田) 조정규(趙廷奎 1791-1860이후) = 139
⑧ 이당(怡堂) 김하종(金夏鍾 1793-1875이후) = 142
⑨ 관호(觀湖) 엄치욱(嚴致郁 18세기말-19세기) = 146
⑩ 해강(海岡) 김규진(金圭鎭 1868-1933) = 147
제6장 20C 관동팔경의 회화적 실체(繪畵的 實體) = 152
제7장 관동팔경 답사여행길
1차 답사여행(2000년 5월 20일-21일) = 158
서울(20일)→강릉 오죽헌→선교장→경포대→경포호→초당 난설헌 허씨 생가→경포(1박)→서울(21일 도착)
2차 답사기행(2000년 12월 30일-2001년 1월 1일) = 159
서울→영주 소수서원, 부석사→울진(12월 30일, 1박)→평해 월송정→울진 망양정→성류굴→삼척 전 공양왕릉→죽서루→강릉(12월31일, 2박)→강릉 경포대→양양 하조대→의상대→간성 청간정→진부령→서울(1월1일 도착)
3차 답사기행(2004년 7월 31일-8월 3일) = 160
서울(31일)→거진→휴전선(D.M.Z) 통과→금강산 온정리→구룡폭포 코스→고성 삼일포→고성항(8월1일 1박)→고성 삼일포→해금강→금강산 온정리→휴전선(D.M.Z) 통과→거진(8월2일)→진부령→서울(3일 도착)
4차 답사기행(2004년 11월 6일-7일) = 161
서울(6일)→소금강→양양 하조대→강릉 경포대→삼척 죽서루→서울(7일 도착)
5차 답사기행(2005년 11월 5일-6일) = 162
서울(5일)→불영계곡→울진 망양정→해안도로→평해황씨 시조 제단원→월송정→서울(6일 도착)
도판목록 설명 = 164
인명 찾아보기 = 167
참고문헌 = 171
서평 (0 건)
*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. 한글 기준 10자 이상 작성해 주세요.
서평추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