목차 일부
역자서문 = 5
저자서문 = 9
일러두기 = 16
Ⅰ. 다중인격의 역사 = 23
1. 20세기 초기까지의 다중인격 = 23
2. 다중인격 개념의 부활 = 35
3. 다중인격 진단의 급증이 갖는 의미 = 39
4, 최신 진단명은 '해리성 주체성 장애' = 48
Ⅱ. 다중인격의 메커니즘 = 57
1. 해리란 무엇인가? = 58
2. PTS...
목차 전체
역자서문 = 5
저자서문 = 9
일러두기 = 16
Ⅰ. 다중인격의 역사 = 23
1. 20세기 초기까지의 다중인격 = 23
2. 다중인격 개념의 부활 = 35
3. 다중인격 진단의 급증이 갖는 의미 = 39
4, 최신 진단명은 '해리성 주체성 장애' = 48
Ⅱ. 다중인격의 메커니즘 = 57
1. 해리란 무엇인가? = 58
2. PTSD로서의 다중인격 = 81
3. 인격장애로서 다중인격 = 89
4. 미국의 사회 병리, 가족 병리 그리고 다중인격 = 95
5. 다중인격과 최면 = 101
6. 다중인격의 생물학적 모델 = 104
7. 다중인격 형성의 메커니즘 = 109
Ⅲ. 다중인격의 사례 M = 113
1. M의 사건과 정신감정 = 114
2. M의 성장이력 = 120
3. M의 증상 = 125
4. M의 진단은 무엇인가 = 138
5. 인격장애설과 정신분열병설의 타당성 = 146
6. 다중인격의 책임능력과 범죄 = 150
Ⅳ. 다중인격에 대한 세가지 의문 = 161
1. 다중인격은 정말로 진단이 가능한가? = 162
2. 다중인격은 늘어나고 있는가? = 176
3. 다중인격은 치료가 가능한가? = 180
Ⅴ. 다중인격과 일본의 정신병리 = 195
1. 일본의 젊은이는 왜 다중인격을 쉽게 받아들이는가? = 195
2. 일본에서의 정신적 외상이란? = 205
3. 가족의 병리와 다중인격 = 209
4. 다중인격은 일본에 전파될 것인가? = 213
맺음말 = 219
용어해설 = 223
역주 = 229
참고문헌 = 243
서평 (0 건)
*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. 한글 기준 10자 이상 작성해 주세요.
서평추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