닫기
검색

상세정보

북한 도시의 위기와 변화 : 1990년대 청진, 신의주, 혜산

최완규 엮음 ; 구갑우 [외]지음

상세정보
자료유형단행본
서명/저자사항북한 도시의 위기와 변화 : 1990년대 청진, 신의주, 혜산 / 최완규 엮음 ; 구갑우 [외]지음
개인저자최완규
구갑우
구수미
김갑식
김근식
양문수
오유석
이미경
이주철
장세훈
정우곤
최봉대
최완규
함택영
발행사항파주 : 한울아카데미, 2006
형태사항325 p. : 삽화 ; 24 cm
총서사항경남대 극동문제연구소 북한연구 ;23
한울아카데미 ;828
ISBN8946035013
일반주기권말에 부록 수록
각주 수록
색인 : p.[321]-325
공저자 : 구수미, 김갑식, 김근식, 양문수, 오유석, 이미경, 이주철, 장세훈, 정우곤, 최봉대, 최완규, 함택영
서지주기서지적 각주 수록
참고문헌 수록
기금정보주기이 책은 2002년도 한국학술진흥재단의 지원에 의해 연구되었음
분류기호307.7609518
언어한국어
  • 보존서고자료신청보존서고자료신청
  • 서가에없는도서 이미지서가에없는도서신청
  • 도서 PICK UP 서비스도서 PICK UP 서비스
  • 인쇄인쇄
  • SMS발송SMS발송

전체

전체 메세지가 없습니다
No. 등록번호 청구기호 소장위치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매체정보
1 887188 307.7609518 북한도 최 4층 자료실 서가번호 431 대출가능
2 887189 307.7609518 북한도 최 c2 보존서고B3 B351-6-1 대출가능

목차

목차 일부

목차
머리말 = 3
서론: 북한 도시의 재구조화 / 최완규 = 9
 1. 분석틀: '도시정치와 시장적 공간' = 9
 2. 연구 요약 = 13
 3. 종합 결론 및 전망 = 23
제1장 지방 당사업체계의 재구조화: 지속과 변화의 이중주 / 함택영 ; 최완규 ; 김근식 = 25
 1. 문제 제기: 위기와 적응 = 25
 2. 당사업체계의 핵심: 당생활 지도와...

목차 전체

목차
머리말 = 3
서론: 북한 도시의 재구조화 / 최완규 = 9
 1. 분석틀: '도시정치와 시장적 공간' = 9
 2. 연구 요약 = 13
 3. 종합 결론 및 전망 = 23
제1장 지방 당사업체계의 재구조화: 지속과 변화의 이중주 / 함택영 ; 최완규 ; 김근식 = 25
 1. 문제 제기: 위기와 적응 = 25
 2. 당사업체계의 핵심: 당생활 지도와 당적 지도 = 28
 3. 당내부사업의 재구조화: 약화와 복구 = 32
 4. 당적 지도의 재구조화: '정치의 경제화'와 정치적 지도의 지속 = 39
 5. 체제 이행에의 시사점: 중국과의 비교 = 50
 6. 소결 = 56
제2장 1990년대 경제위기와 지방경제 운영체계의 변화 / 양문수 = 66
 1. 머리말 = 66
 2. 개념적 틀: 시장화와 분권화 = 69
 3. 1990년대 이전의 지방경제 운영체계 = 71
 4. 1990년대 경제위기와 지방 주민생활의 변화 = 74
 5. 지방에서의 식량 및 소비품 공급체계의 변화 = 79
 6. 1990년대 지방경제에 대한 평가 = 93
 7. 맺음말 = 98
제3장 북한의 도시 '장마당' 활성화의 동학 / 최봉대 ; 구갑우 = 105
 1. 문제 제기 = 105
 2. 작업대상 도시 및 자료 문제 = 107
 3. 세 도시 장마당의 활성화 과정 = 109
 4. 장마당 활성화의 체제변동론적 효과 = 132
 5. 결론 = 137
제4장 북한 주민생활보장제도와 도시 계층구조 재편 / 정우곤 ; 이주철 = 142
 1. 연구목적 = 142
 2. 기존 연구 검토 및 분석틀 = 145
 3. 주민생활보장제도의 성격 및 내용 = 151
 4. 1990년대 주민생활보장제도의 붕괴와 그 실태 = 156
 5. 사회계층별 적응방식과 도시 계층구조 재편 = 172
 6. 결론 = 189
제5장 경제위기 이후 북한 도시 여성의 삶과 의식 / 이미경 ; 구수미 = 196
 1. 문제 제기 = 196
 2. 연구방법 = 199
 3. 북한 도시 여성들의 생활 = 201
 4. 북한 도시 여성들의 삶과 의식 변화 = 212
 5. 결론: 북한 도시 여성의 삶과 의식의 변화 및 함의 = 226
제6장 '고난의 행군'과 북한 사회에서 나타난 의식의 단층 / 김갑식 ; 오유석 = 231
 1. 문제 제기 = 231
 2. 정치적 의식의 단층: '복지관료적 신민형'과 '자력갱생적 준지방형' = 237
 3. 경제적 의식의 단층: '집단주의적 형식주의형'과 '개인주의적 실용주의형' = 250
 4. 사회ㆍ문화적 의식의 단층: '집단주의적 평등형'과 '개인주의적 불평등형' = 258
 5. 소결 = 265
제7장 북한 도시 주민의 사회적 관계망 변화 / 장세훈 = 270
 1. 문제 제기 = 270
 2. 이론적 자원 및 분석 시각 = 272
 3. 북한의 사회주의 건설과 공적 관계망의 구축 = 280
 4. 경제위기와 사회적 관계망의 변화 = 292
 5. 결론 = 307
부록 = 314
찾아보기 = 321


이전 다음
 

*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.  한글 기준 10자 이상 작성해 주세요.

서평추가

서평추가
별점
별0점
  • 별5점
  • 별4.5점
  • 별4점
  • 별3.5점
  • 별3점
  • 별2.5점
  • 별2점
  • 별1.5점
  • 별1점
  • 별0.5점
  • 별0점
제목입력
본문입력

글자수:0
  • Tag List

    Tag List 메세지가 없습니다

  • Tag Cloud

    Tag Cloud 메세지가 없습니다

태그추가

태그추가

태그추가
태그입력
태그보기

처음 오셨나요?