목차 일부
목차
머리말 = 3
서론: 북한 도시의 재구조화 / 최완규 = 9
1. 분석틀: '도시정치와 시장적 공간' = 9
2. 연구 요약 = 13
3. 종합 결론 및 전망 = 23
제1장 지방 당사업체계의 재구조화: 지속과 변화의 이중주 / 함택영 ; 최완규 ; 김근식 = 25
1. 문제 제기: 위기와 적응 = 25
2. 당사업체계의 핵심: 당생활 지도와...
목차 전체
목차
머리말 = 3
서론: 북한 도시의 재구조화 / 최완규 = 9
1. 분석틀: '도시정치와 시장적 공간' = 9
2. 연구 요약 = 13
3. 종합 결론 및 전망 = 23
제1장 지방 당사업체계의 재구조화: 지속과 변화의 이중주 / 함택영 ; 최완규 ; 김근식 = 25
1. 문제 제기: 위기와 적응 = 25
2. 당사업체계의 핵심: 당생활 지도와 당적 지도 = 28
3. 당내부사업의 재구조화: 약화와 복구 = 32
4. 당적 지도의 재구조화: '정치의 경제화'와 정치적 지도의 지속 = 39
5. 체제 이행에의 시사점: 중국과의 비교 = 50
6. 소결 = 56
제2장 1990년대 경제위기와 지방경제 운영체계의 변화 / 양문수 = 66
1. 머리말 = 66
2. 개념적 틀: 시장화와 분권화 = 69
3. 1990년대 이전의 지방경제 운영체계 = 71
4. 1990년대 경제위기와 지방 주민생활의 변화 = 74
5. 지방에서의 식량 및 소비품 공급체계의 변화 = 79
6. 1990년대 지방경제에 대한 평가 = 93
7. 맺음말 = 98
제3장 북한의 도시 '장마당' 활성화의 동학 / 최봉대 ; 구갑우 = 105
1. 문제 제기 = 105
2. 작업대상 도시 및 자료 문제 = 107
3. 세 도시 장마당의 활성화 과정 = 109
4. 장마당 활성화의 체제변동론적 효과 = 132
5. 결론 = 137
제4장 북한 주민생활보장제도와 도시 계층구조 재편 / 정우곤 ; 이주철 = 142
1. 연구목적 = 142
2. 기존 연구 검토 및 분석틀 = 145
3. 주민생활보장제도의 성격 및 내용 = 151
4. 1990년대 주민생활보장제도의 붕괴와 그 실태 = 156
5. 사회계층별 적응방식과 도시 계층구조 재편 = 172
6. 결론 = 189
제5장 경제위기 이후 북한 도시 여성의 삶과 의식 / 이미경 ; 구수미 = 196
1. 문제 제기 = 196
2. 연구방법 = 199
3. 북한 도시 여성들의 생활 = 201
4. 북한 도시 여성들의 삶과 의식 변화 = 212
5. 결론: 북한 도시 여성의 삶과 의식의 변화 및 함의 = 226
제6장 '고난의 행군'과 북한 사회에서 나타난 의식의 단층 / 김갑식 ; 오유석 = 231
1. 문제 제기 = 231
2. 정치적 의식의 단층: '복지관료적 신민형'과 '자력갱생적 준지방형' = 237
3. 경제적 의식의 단층: '집단주의적 형식주의형'과 '개인주의적 실용주의형' = 250
4. 사회ㆍ문화적 의식의 단층: '집단주의적 평등형'과 '개인주의적 불평등형' = 258
5. 소결 = 265
제7장 북한 도시 주민의 사회적 관계망 변화 / 장세훈 = 270
1. 문제 제기 = 270
2. 이론적 자원 및 분석 시각 = 272
3. 북한의 사회주의 건설과 공적 관계망의 구축 = 280
4. 경제위기와 사회적 관계망의 변화 = 292
5. 결론 = 307
부록 = 314
찾아보기 = 321
서평 (0 건)
*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. 한글 기준 10자 이상 작성해 주세요.
서평추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