목차 일부
목차
발간사 = 3
머리말 = 6
서장 일본(인)은 우리에게 무엇인가: 과거, 현재 그리고 미래 / 김영작 = 15
1. 머리글 = 15
2. 근대 이전의 한국의 일본상과 일본의 한국상: 한국 측의 문화적 우월의식과 일본측의 군사적 우월의식 및 신국관(神國觀)의 대립 = 20
3. 근대: '변경(邊境)우월성'의 역전(逆轉)에서 오는 갈등과 '근대화의 ...
목차 전체
목차
발간사 = 3
머리말 = 6
서장 일본(인)은 우리에게 무엇인가: 과거, 현재 그리고 미래 / 김영작 = 15
1. 머리글 = 15
2. 근대 이전의 한국의 일본상과 일본의 한국상: 한국 측의 문화적 우월의식과 일본측의 군사적 우월의식 및 신국관(神國觀)의 대립 = 20
3. 근대: '변경(邊境)우월성'의 역전(逆轉)에서 오는 갈등과 '근대화의 모델'과 '외세(外勢)'로서의 일본의 갈등 = 25
4. 현대(해방 이후): '청산의 대상', '준동맹' 그리고 '경제협력국'이라는 3중구조의 역학관계 = 34
5. 금후의 과제: 동북아 공동체를 향한 '공공재(公共財)'가 될 수 있을 것인가? = 40
제1부 한일관계의 역사적 차원
제1장 한국전쟁 휴전체제하 동아시아형 냉전국가의 탄생: 한국과 일본의 경우 / 남기정 = 45
1. 서론 = 45
2. 한국전쟁 발발 직전: 한국과 일본의 위치 = 52
3. 한국전쟁과 일본 = 55
4. 한국전쟁과 한국 = 60
5. 결론 및 함의 = 68
제2장 한일 역사대화의 구도: 역사교과서와 역사인식을 중심으로 / 정재정 = 72
1. 전환기를 맞은 한일관계 = 72
2. 한일의 역사인식과 역사교과서 = 74
3. 새 역사교과서의 등장과 한일의 역사 갈등 = 87
4. 한일의 역사대화와 상호이해 = 91
5. 한일의 역사대화와 역사인식의 심화를 위해서 = 102
제3장 한국인의 독도의식 형성과정과 그 구조 / 현대송 = 108
1. 들어가며 = 108
2. 본 연구의 조사대상 및 분석방법 = 110
3. 샘플의 탐색 = 111
4. 독도인식의 형성과 그 구조 = 115
5. 한일관계와 독도문제 = 123
6. 나오며 = 135
제2부 한일관계의 안보 경제적 차원
제4장 한일 안보협력에 관하여 / 서동만 = 141
1. 문제의 제기 = 141
2. 한일 안보협력의 현황 = 146
3. 한일 안보협력의 촉진 및 제약 요인 = 154
4. 바람직한 한일 안보관계를 위한 고려 사항 = 162
5. 맺음말 = 169
제5장 탈냉전기 한일관계: 내정과 외교의 융합 / 양기웅 = 172
1. 문제제기 = 172
2. 기존 가설의 검토 = 174
3. 신한일어업협상의 사례분석 = 178
4. 새로운 가설의 제시: '외압-이슈연계' 가설, '시한(時限)' 가설 = 191
5. 결론 = 195
제6장 한일 FTA를 둘러싼 마찰과 조정의 가능성 / 김도형 = 200
1. 한일 FTA 협상 중단 = 200
2. 전략적 통상정책 확산과 한일 FTA 추진 = 202
3. 협상이슈별 한일 간 이해대립과 국내 업종 간 이해충돌 = 209
4. 신규 이해대립의 증폭 가능성 - 산업무역 조정 지원과 진입규제의 공과 = 225
5. 한일 FTA 우선타결과 그 전제조건 = 243
6. 상시적 규제철폐, 실질적 시장개방, 기업구조조정 = 248
제7장 정책이념과 발전전략에서 본 한일 경제관계의 정치경제 / 류상영 = 253
1. 문제제기: 한일 경제관계에 대한 정치경제적 접근 = 253
2. 한일 경제관계를 보는 기존 연구들 = 254
3. 한일 정책이념과 발전전략의 상호작용 = 262
4. 한일 경제관계의 구조와 변화 = 269
5. 결론 = 282
제3부 한일관계의 사회적 차원
제8장 한일 지방외교의 양상과 그 함의 / 양기호 = 289
1. 국제교류에서 지방외교로 = 289
2. 한국 지방외교의 현실과 과제 = 295
3. 한일 지방 간 외교의 지속과 갈둥 = 305
4. 다자주의의 가능성 모색 = 313
5. 맺음말 = 316
제9장 재일한인의 정체성과 '다민족국가' 일본 / 김태기 = 321
1. 서론 = 321
2. 재일한인 1세의 민족적 정체성 = 323
3. 재일한인 2세의 민족적 정체성 = 331
4. 결론: 재일한인의 공존과 '다민족국가 일본' = 343
제4부 미래지향적 한일관계를 위하여
제10장 일본의 소프트파워: 일본은 매력 있는 국가인가? / 손열 = 351
1. 서론 = 351
2. 매력국가담론 = 355
3. 매력의 콘텐츠 = 359
4. 개혁과 21세기 친일 = 370
제11장 한일관계의 역학과 전망: 냉전기의 다이너미즘과 탈냉전기에서의 구조변용 / 기미야 타다시 = 372
1. 냉전기의 한일관계: '냉전'하 '경제협력'에 의해 봉쇄된 '역사' = 372
2. 한일수교 협상의 정치과정: 청구권문제를 중심으로 = 375
3. 냉전 이후 한일관계의 변용 양상 = 382
4. 한일관계의 구조변용: 구조변용과 그 인식 틀의 변화 = 385
5. 한일관계의 구조변용의 귀결: 한류ㆍ북한ㆍ영토ㆍ역사문제를 어떻게 볼 것인가 = 391
6. 무엇이 한일협력을 방해하고 있는가? = 393
7. 한일관계의 구상: '공공재'로서의 한일관계 = 397
8. 결론 = 402
제12장 한일 과거사 갈등의 구조와 해법 모색 / 이원덕 = 404
1. 머리말 = 404
2. 한일 역사 마찰의 전후사적 배경 = 406
3. 한일 역사 마찰의 메커니즘 분석 1: 1990년대의 역사 마찰을 중심으로 = 414
4. 한일 역사 마찰의 메커니즘 분석 2: 2005년 봄의 사례를 중심으로 = 422
5. 맺음말: 역사 마찰을 넘어서 = 429
서평 (0 건)
*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. 한글 기준 10자 이상 작성해 주세요.
서평추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