목차 일부
목차
서문 = 3
제1장 노동자 계급의 생활문화와 정치의식 = 23
1. 들어가는 말 = 23
2. 생활세계와 의식 = 25
3. 노동자 의식: 분절과 접합 = 34
4. 맺음말 = 39
제2장 1960-70년대 노동자계급의 문화와 일상생활 = 43
1. 문제제기 = 43
2. 연구방법 = 45
1) 구술사 = 45
2) 노동자 수기 분석...
목차 전체
목차
서문 = 3
제1장 노동자 계급의 생활문화와 정치의식 = 23
1. 들어가는 말 = 23
2. 생활세계와 의식 = 25
3. 노동자 의식: 분절과 접합 = 34
4. 맺음말 = 39
제2장 1960-70년대 노동자계급의 문화와 일상생활 = 43
1. 문제제기 = 43
2. 연구방법 = 45
1) 구술사 = 45
2) 노동자 수기 분석 = 46
3. 여가, 대중오락과 노동자문화 = 46
1) 여가의 확립과 소외된 여가 = 46
2) 일상과 대중오락: 대중매체를 중심으로 = 51
4. 산업선교회와 노동자계급의 '공동체적' 문화 = 66
5. 결론 = 71
제3장 집단적 배움의 과정으로서의 사회운동 : 1970년대 산업선교를 중심으로 = 75
1. 문제제기 = 75
2. 산업선교운동의 전개과정 = 77
3. 배움의 과정으로서의 산업선교 = 81
1) 의사소통적 행동과 전략적 행동 = 82
2) 산업선교 노동자들의 의식의 변화: 배움의 과정 = 87
3) 민중의 교육의 장(場)인 산업선교 = 89
4) 노동자들의 새로운 자기 정체성의 형성 = 91
4. 결론: 사회운동으로서의 산업선교 = 98
제4장 이주노동자의 생애체험과 사회운동 : 독일로 간 한국인 1세대의 구술생애사를 중심으로 = 103
1. 들어가는 말 = 103
2. 기존 연구의 검토와 생애사 재구성 방법론 = 105
3. 한국인 노동자의 독일 이주현황 = 107
4. 연구과정과 사례 재구성 = 109
1) 연구과정 = 109
2) 사례 재구성 = 112
3) 사례의 비교와 유형적 특성 = 132
5. 마무리 = 135
제5장 1960-70년대 의류제조업 여성노동자들의 문화건설과 문화의 성격과 한계 = 141
1. 머리말 = 141
2. 반도상사 부평공장 여성노동자 연구배경 = 143
3. 노동조합이 만들어지기 전의 문화 = 146
4. 노동조합이 만들어진 후 새롭게 건설되는 노동자문화 = 155
1) 페다고지 교육의 실천장 = 156
2) 의사소통 영역의 체계화 = 159
3) 적극적, 주체적 문화의 형성 = 163
5. 반도문화의 특성과 한계 = 171
6. 맺음말: 우리는 살아 있다 = 173
제6장 산업화기 한국사회 빈곤계층의 모성실천 : 딸들의 구술을 중심으로 = 179
1. 들어가며 = 179
2. 선행연구 = 181
3. 연구방법과 구술자 소개 = 186
1) 연구방법과 구술자 소개 = 186
2) 주요 구술자의 간이 생애사 = 187
4. 딸들의 구술에 나타난 어머니의 모습 = 193
1) 생계 노동자: 죽도록 일하는 어머니, 화난 어머니 = 193
2) 아동노동 감독관 = 197
3) 세리: 딸들의 임금 징수자 = 199
4) 딸과의 양육노동 분담 = 203
5) 아들의 어머니 = 206
5. 정리와 토론 = 209
제7장 1970년대 여성노동자의 섹슈얼리티와 계급정치 = 219
1. 서론 = 219
2. 이론적 배경과 연구방법 = 221
1) 이론적 배경: 섹슈얼리티와 계급정치 = 221
2) 연구방법 = 224
3. 아름다움, 외모와 계급정치 = 226
1) '남자 같은 여자', '못생긴 여자'로 등급화 = 226
2) 교양 없는 천한 여공 = 228
3) 외모에 따라 위계화된 노동 = 230
4. 육체적 성과 계급정치 = 231
1) 성 문란의 낙인, 성 접근 통제 = 231
2) 성폭력을 통한 노동통제 = 236
3) 육체적 성에 대한 상대적 개방성 = 239
5. 결혼과 계급정치 = 240
1) 여성을 보조노동력화하는 결혼 = 240
2) 계급이동의 기회(?) = 246
3) 노동자계급의 상대적 개방성: 연애, 동거의 확산 = 248
6. 결론 = 250
제8장 1970년대 자동차기업 노동자의 여가생활에 관한 연구 = 255
1. 머리말 = 255
2. 노동과 여가의 관계에 관한 이론적 논의 = 257
1) 마르크스 = 257
2) 노동사가들의 연구 = 258
3) 노동과 여가의 이론가들 = 259
3. 기존 연구 검토 = 261
4. 연구대상과 연구방법 = 263
5. 자동차기업 노동자의 여가 = 265
1) 근로시간, 소득과 여가 = 265
2) 여가활동의 특성 = 272
6. 결론 = 285
제9장 1960-70년대 기계산업 노동자의 여가 및 소비 생활 = 291
1. 머리글 = 291
1) 문제의 제기 = 291
2) 이론적 논의 및 선행 연구 = 293
3) 연구의 대상과 방법 = 297
2. 국가의 '노동지고(至高)'ㆍ'근검절약' 이데올로기 = 298
3. 기업과 여가활동 = 304
4. 노동자의 소비 및 여가 생활과 계급정체성 = 308
1) 여가와 취미 생활 = 308
2) 주거생활 및 자녀교육 = 311
3) 퇴근 후 술자리 = 314
5. 맺음말 = 315
제10장 1960-70년대 탄광산업의 이중구조와 노동자 상태 = 321
1. 머리말 = 321
2. 연구방법: 탄광노동자 심층면접 = 324
3. 1960-1970년대 탄광 산업의 특징: 중소영세 탄광의 난립과 덕대제 = 326
1) 정부의 에너지 정책 변화와 탄광산업 = 326
2) 석탄광업의 특징: 중소영세 탄광의 난립과 덕대제 = 327
3) 광업법의 변화와 덕대제도 = 328
4. 탄광업 덕대제의 유형과 특성: 조광/위장덕대/하청/모작/분덕대 = 332
1) 탄광 덕대제의 유형 = 332
2) 탄광 덕대제의 성격 = 336
5. 1960-1970년대 탄광노동자들의 노동조건과 생활세계 = 340
1) 입적유형 = 340
2) 탄광 취직 이유와 취업경로 및 노동이동: 탄광노동시장의 이중구조 = 341
3) 탄광의 노동과정과 작업환경 = 344
4) 높은 노동강도와 위험한 작업장 = 349
5) 광산의 임금제도: 도급제 = 355
6) 탄광노동자들의 생활세계 = 360
6. 탄광 노동운동과 지역운동 = 368
1) 어용노조와 1980년 사북항쟁 = 368
2) 1988-1992년 1차 석탄산업합리화와 1995년의 지역주민운동 = 371
7. 맺음말 = 374
제11장 잃어버린 공동체? : 울산 동구지역 노동자 주거공동체의 형성과 해체 = 381
1. 노동자계급 내부의 응집력과 주거공동체 = 381
2. 거대 공장의 건설과 지역사회의 변모 = 385
3. '현대시 현대조선구': 회사도시의 탄생 = 388
4. 노동자 거주공동체의 형성 = 395
1) 이주와 정착의 경험: "뭐 이런 데가 있노 싶을 정도로" = 395
2) 노동자 거주공동체의 형성 = 407
5. 노동자투쟁과 거주공동체 = 410
6. 사라진 공동체? = 416
7. 맺는 말 = 422
제12장 1960-70년대 박정희 체제의 지배이데올로기와 철도노동자들의 의식 = 429
1. 문제의식 = 429
2. 기존 연구에 대한 검토 및 연구 목적 = 432
3. 박정희 체제의 지배이데올로기 형성과 철도노동자 = 437
4. 반공(멸공)이데올로기와 철도노동자 = 448
5. 성장(물질적ㆍ정신적)이데올로기와 철도노동자 = 453
6. 국가(민족)주의적 이데올로기와 철도노동자 = 460
7. 맺음말 = 466
제13장 1960-70년대 철도노동자의 여가활용 = 471
1. 문제제기 = 471
2. 연구방법과 구술자 소개 = 472
1) 연구방법 = 472
2) 구술방법 및 구술자 = 473
3. 생활세계의 구조화: 이론적 접근 = 475
1) 노동자 일상의 구성 = 475
2) 생활세계의 의미구성 = 477
4. 구술을 통해 살펴본 1960-70년대 철도노동자의 여가활용 = 479
1) 노동세계의 연장으로서의 여가 = 480
2) 직장공동체의 확인으로서의 여가 = 484
3) 여가와 음주문화 = 486
5. 정리 및 의미 = 490
서평 (0 건)
*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. 한글 기준 10자 이상 작성해 주세요.
서평추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