목차 일부
목차
머리말 = 5
들어가는 말 = 15
1장 근대적 지식의 윤리학 : 몰개인적 원칙주의 = 35
1. 칸트의 의무론적 도덕이론 = 37
1) 보편적 의무 인식으로서의 도덕적 행위성 = 37
2) 도덕적 관점 : 선험적 이성의 관점 = 43
3) 칸트의 도덕법칙과 도덕적인 삶 = 49
2. 공리주의의 결과론적 도덕이론 = 56
1) 가치의 극대화로서의 공리...
목차 전체
목차
머리말 = 5
들어가는 말 = 15
1장 근대적 지식의 윤리학 : 몰개인적 원칙주의 = 35
1. 칸트의 의무론적 도덕이론 = 37
1) 보편적 의무 인식으로서의 도덕적 행위성 = 37
2) 도덕적 관점 : 선험적 이성의 관점 = 43
3) 칸트의 도덕법칙과 도덕적인 삶 = 49
2. 공리주의의 결과론적 도덕이론 = 56
1) 가치의 극대화로서의 공리주의 원칙 = 56
2) 도덕판단의 관점 : 이상적 관망자의 관점 = 60
3) 결과주의적 도덕원칙과 도덕적 소외 = 62
2장 삶과 실천적 사유방법 = 73
1. 개인적 도덕성과 도덕원칙 = 77
1) 공평성의 원칙과 실존적 모델 = 77
2) 도덕원칙과 삶의 가치 = 86
2. 아리스토텔레스의 실천적 사고 = 93
1) 판단 중심의 윤리학 = 93
2) 실천적 사고 : 숙고 = 96
(1) 상황 파악(aisth$$check e$$sis) = 96
(2) 행위자의 성품 = 100
(3) 실천적 인식 활동의 비형식성 = 103
3. 숙고적 객관성 문제 = 107
1) 숙고적 탁월성 = 107
2) 판단 중심 윤리학과 기초주의적 객관성 = 109
3장 자기성실성의 윤리 = 116
1. 자기성실성의 도입 = 120
1) 자기성실성의 개념 분석 = 120
2) 가치 간의 갈등과 인격적 성실성 = 129
2. 자기성실성과 윌리엄스의 행위자 중심 윤리 = 141
1) 윌리엄스의 자기성실성 옹호론 = 142
(1) 행위자의 자아정체성 = 142
(2) 공리주의의 소극적 책임론 비판 = 148
2) 자기성실성 옹호론에 대한 비판 = 156
(1) 자기성실성의 비합리적 요소 = 158
(2) '도덕이론과 실천적 적용의 분리'에 근거한 비판 = 162
(3) 윌리엄스의 행위자 중심 도덕성의 문제 = 171
4장 행위자 중심 윤리와 실천적 객관성 = 178
1. 행위자 중심 윤리이론 = 179
1) 셰플러의 행위자 중심 이론 = 181
2) 네이글의 행위자 중심 이론 = 183
3) 행위자 중심 이유의 반성적 정당화의 한계 = 190
2. 실행의 관점에서 본 도덕적 지식과 객관성 = 195
1) 실행으로서의 도덕성 = 197
2) 윤리적 확신 = 207
3) 수용 가능한 도덕적 객관성 = 216
3. 실행의 윤리에서 본 도덕성과 자기성실성 = 219
1) 도덕적 당위와 실천적 필연성 = 219
2) 가치의 다원주의와 자기성실성의 가치 = 222
5장 여성주의 관점과 윤리개념의 전환 : '도덕성', '자기성실성', '도덕적 주체성' = 230
1. 편파성의 윤리 = 231
1) 어떤 편파성, 누구의 편파성인가? = 231
2) 도덕성 : 권력과 여성주의 편파성 = 237
2. 여성의 도덕운과 자기성실성 = 243
1) 도덕적 행위성의 남성 전유 = 243
2) 도덕적 주체와 도덕운 = 248
3) 여성의 도덕적 자기성실성 = 257
3. 여성의 도덕적 주체성과 여성주의 윤리 = 264
1) 다중적 자아의 도덕주체와 돌봄의 윤리 = 264
2) 민주적 관계의 윤리 = 270
6장 실질적 다원주의 윤리를 향하여 = 277
1. 현대 다원주의의 윤리학 = 279
2. 합의의 윤리와 그 도덕적 한계 : 배제, 소외, 주변화 = 287
3. 조밀한 개념으로서의 윤리학 = 290
4. 공유하는 이해와 실천적 합리성 = 295
5. 차이와 갈등을 넘어서 = 300
참고문헌 = 305
찾아보기 = 321
서평 (0 건)
*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. 한글 기준 10자 이상 작성해 주세요.
서평추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