목차 일부
목차
1 교육심리학과 교실현장 = 24
교육심리학: 교실현장에서 가르침 = 27
성공적으로 학생들을 가르치기 위해 필요한 지식 = 32
교과내용에 대한 지식 = 32
특정한 교과내용 전달을 위한 교수방법에 대한 지식: 교과 교수법 = 33
일반적인 교수방법에 대한 지식 = 36
학습자와 학습에 관한 지식 = 37
미국 INTASC 기준...
목차 전체
목차
1 교육심리학과 교실현장 = 24
교육심리학: 교실현장에서 가르침 = 27
성공적으로 학생들을 가르치기 위해 필요한 지식 = 32
교과내용에 대한 지식 = 32
특정한 교과내용 전달을 위한 교수방법에 대한 지식: 교과 교수법 = 33
일반적인 교수방법에 대한 지식 = 36
학습자와 학습에 관한 지식 = 37
미국 INTASC 기준: 신임교사들에게 요구되는 지식 = 38
교육심리학 전문지식을 획득하기 위해 알아 두어야 할 연구방법들 = 39
기술연구 = 40
상관연구 = 42
실험연구 = 44
현장연구 = 45
교실에서의 현장연구 수행을 위한 교수전략 = 46
연구와 이론의 발달 = 48
연구와 교실현장에서 의사결정 = 50
비판적 의사결정: 교실의 상황적 맥락에 대한 고려 = 52
실제적 의사결정: 효율적인 의사결정의 필요성 = 53
예술적 의사결정: 교사의 창의성 = 54
평가와 학습: 의사결정을 위한 정보수집 = 56
반성적 사고와 의사결정 = 57
교육심리학에서 사례연구 활용 및 이 책의 구성 = 59
2 인지발달과 언어 = 66
발달: 정의 = 68
발달의 원리 = 69
인간의 뇌와 인지발달 = 70
두뇌발달 연구 = 70
뇌 연구 의의 = 72
피아제의 인지발달이론 = 73
평형화 기제 = 73
조직화와 적응: 도식의 발달 = 73
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= 76
피아제 인지발달의 단계 = 77
평가와 학습: 학생의 인지발달 평가하기 = 87
테크놀로지와 학습: 형식적 사고를 계발하기 위해 테크놀로지 이용하기 = 90
피아제 이론을 교실에 적용하기: 교수전략 = 91
피아제 이론의 의의 = 94
발달의 사회문화적 관점: 비고츠키 이론 = 96
사회적 상호작용과 인지발달 = 98
언어와 인지발달 = 99
문화와 인지발달 = 100
학습과 인지발달의 관계 = 101
비고츠키의 공헌: 교수전략 = 101
지식 구성에 대한 피아제와 비고츠키의 관점 = 106
언어발달 = 108
언어 습득 이론 = 108
언어 습득 단계 = 111
요약 = 113
3 성격, 사회성, 정서 발달 = 118
성격발달 = 120
유전 = 120
부모 및 기타 성인과의 관계 = 121
또래관계 = 122
사회성 발달 = 123
상대방의 관점 수용 = 124
사회적 문제해결력 = 125
평가 및 학습: 학생의 사회성 발달 평가 = 127
사회성 발달의 촉진과 교수전략 = 129
테크놀로지와 학습: 인터넷을 활용한 사회성 계발의 촉진 = 131
성격, 정서, 사회성 발달의 통합: 에릭슨의 이론 = 133
에릭슨의 심리사회적 발달 단계론 = 133
에릭슨 이론에 대한 평가 = 134
심리사회적 발달의 지원 = 135
정체성 및 자아개념의 발달 = 138
정체성의 발달 = 139
자아개념의 발달 = 141
자아개념과 성취 = 142
심리사회적 발달 및 자아개념 발달의 촉진과 교수전략 = 143
민족적 자긍심: 자아존중감 및 긍정적인 민족 정체성의 신장 = 145
도덕성, 사회적 책임감 및 자기통제의 발달 = 149
도덕교육 및 도덕성 발달에 대한 관심의 증가 = 149
피아제의 도덕성 발달이론 = 150
콜버그의 도덕성 발달이론 = 151
도덕성 발달에서 정서적 요인 = 158
도덕교육 대 인성교육의 논쟁 = 159
도덕성 발달의 촉진과 교수전략 = 161
요약 = 164
4 지능과 개인차 = 170
지능 = 172
지능: 무엇을 의미하는가? = 172
지능: 단일 특성인가 아니면 복수의 특성인가? = 173
지능: 유전 vs 환경 = 179
평가와 학습: 지능 측정에서 문화적 요인에 관한 논쟁 = 180
능력별 집단편성 = 182
학습양식 = 186
사회경제적 지위 = 188
사회경제적 지위가 학습에 미치는 영향 = 190
사회경제적 지위: 교사들에게 주는 함의 및 주의해야 할 점 = 192
성 = 192
남학생과 여학생의 행동 차이 = 194
성역할에 대한 고정관념과 지각 = 195
성차에 대해 반응하기: 교수전략 = 197
위험에 처해 있는 학생들 = 199
적응유연성 = 201
위험에 처해 있는 학생들을 가르치기: 교수전략 = 204
테크놀로지와 학습: 평등에 관한 문제 = 208
요약 = 211
5 특수아동과 영재아동 = 218
교사가 특수학생을 도와주는 방식의 변화 = 220
미국 장애인교육법(IDEA) = 220
미국 개정 장애인교육법 = 225
학습문제를 가진 학생들 = 227
낙인에 대한 논란 = 227
정신지체 = 228
학습장애 = 230
주의력 결핍/과잉행동 장애 = 234
행동장애 = 235
의사소통장애 = 238
시각장애 = 240
청각장애 = 241
평가와 학습: 특수교육에서 평가의 경향 = 242
영재 및 재능이 있는 학생 = 243
창의성: 무엇을 말하는가? = 245
영재 및 재능이 있는 학생 변별하기 = 246
영재 및 재능이 있는 학생 가르치기: 교수전략 = 247
통합학급에서 교사의 역할 = 249
특수학생 변별하기 = 249
특수학생 가르치기: 교수전략 = 251
테크놀로지와 학습: 보조적 테크놀로지 = 256
요약 = 258
6 행동주의와 사회인지학습이론 = 264
학습: 행동주의적 관점 = 266
인접성 = 267
고전적 조건화 = 267
조작적 조건화 = 271
교실에서의 행동주의: 교수전략 = 282
행동주의 논의 = 287
사회인지학습이론 = 290
행동주의와 사회인지학습이론의 비교 = 290
모델링 = 292
대리학습 = 294
모델링이 행동에 미치는 영향 = 294
테크놀로지와 학습: 상징적 모델링이 행동에 미치는 영향 = 296
모델학습의 과정들 = 297
모델의 효과성 = 299
자기조절 = 300
교실에서 사회인지학습이론: 교수전략 = 302
평가와 학습: 평가도구로써 자기모델링 = 304
사회인지학습이론의 논의 = 306
다양성 고찰: 행동주의와 사회인지학습이론 = 308
고전적 조건화: 학교를 좋아하거나 싫어하게 되는 것을 학습하기 = 309
주저하는 학습자의 동기유발하기 = 309
소수민족 출신 역할모델의 활용 = 310
요약 = 311
7 학습에 대한 인지적 관점 = 316
학습에 대한 인지적 관점 = 319
인지학습이론의 원리 = 320
정보처리이론 = 321
정보처리모델: 이해의 촉진 = 321
감각기억 = 323
작업기억 = 324
장기기억 = 327
인지과정 = 333
메타인지: 인지과정에 대한 지식과 조절 = 346
다양성이 정보처리에 미치는 영향 = 350
교실에서의 정보처리: 교수전략 = 352
도식 생산: 통합된 선언적 지식의 획득 = 353
교실에서의 도식 생산 촉진: 교수전략 = 353
이해와 자동화: 절차적 지식의 획득 = 357
이해와 자동화의 촉진: 교수전략 = 357
평가와 학습: 인지적 교수에서의 평가의 역할 = 362
정보처리이론의 의의 = 364
요약 = 364
8 이해의 구성과 학습 = 370
구성주의란 무엇인가? = 373
구성주의에 대한 다른 관점들 = 374
구성주의 특징 = 376
학습자 주도적 이해의 구성 = 376
현재의 이해에 의존하는 새로운 학습 = 377
학습을 촉진하는 사회적 상호작용 = 377
실제세계 과제를 이용한 유의미 학습 = 377
교수에 대한 구성주의 시사점 = 378
구성주의 교실에서 교사의 역할 = 378
수업실천을 위한 제안 = 379
평가와 학습: 구성주의 교실에서 평가의 역할 = 386
교실에서의 구성주의: 교수전략 = 388
안내된 발견 = 389
탐구 = 392
토론 = 394
협동학습 = 397
구성주의 의의 = 405
요약 = 407
9 복잡한 인지과정 = 414
개념학습 = 417
개념: 세계를 단순하게 하는 범주 = 417
개념학습의 이론 = 418
사례: 개념을 학습하고 가르치는 핵심 = 419
개념도 그리기: 복잡한 도식 속에 개념 삽입하기 = 420
개념학습: 오개념과 개념 변화 = 422
개념의 학습과 교수: 교수전략 = 424
문제해결 = 426
잘 정의된 문제와 잘 정의되지 않은 문제 = 427
문제해결모형 = 428
문제해결능력에서 전문가와 초보자의 차이 = 431
학습자가 보다 나은 문제해결자가 되도록 돕기: 교수전략 = 433
문제해결능력 증진을 위해 테크놀로지 이용하기 = 438
문제중심학습 = 439
전략적인 학습자 = 441
메타인지: 전략적 학습의 기초 = 442
학습전략 = 443
학생의 전략적 학습 개발시키기: 교수전략 = 446
비판적 사고 = 447
학습의 전이 = 452
일반전이와 특수전이 = 453
학습의 전이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 = 453
평가와 학습: 전이에서 평가의 역할 = 457
요약 = 459
10 학습동기이론 = 466
외재적ㆍ내재적 동기 = 468
학습동기 = 470
동기의 행동주의적 관점 = 470
교실에서 보상 사용하기 = 470
동기의 행동주의적 접근에 대한 비판 = 471
교실에서 보상 사용하기: 교수전략 = 472
동기의 인본주의적 관점 = 473
전인적 발달 = 473
인본주의 관점에서 동기를 증진하는 교수전략 = 476
동기의 인지적 접근 = 478
기대×가치이론 = 480
자기효능감: 능력에 대한 믿음 = 483
목표와 목표지향 = 485
귀인이론 = 492
신념, 목표, 귀인을 사용하여 동기를 증진하는 교수전략 = 495
자기결정이론 = 498
평가와 학습: 자기결정에서 평가의 역할 = 501
학생의 자기결정력을 발전시키는 교수전략 = 502
동기에 영향을 미치는 감정적 요소 = 506
자기가치이론 = 506
각성과 불안 = 507
동기에 감정적 요소를 접목시킨 교수전 = 509
요약 = 510
11 교실수업과 학습동기 = 516
수업구조: 학습중심 환경 만들기 = 518
자기조절적 학습자: 학생 자신의 학습에 대한 책임감 개발하기 = 520
자기조절 개발하기: 자기결정이론의 적용 = 520
학생의 자기조절 개발에 도움되는 교수전략 = 521
교사 특성: 학생의 동기와 학습을 증진하는 교사의 자질 = 525
개인적 교수 효능감: 교사의 교수와 학습에 대한 신념 = 525
본보기 보이기와 열정: 진정한 관심 가지기 = 526
애정: 학생의 관계를 맺고자 하는 욕구 충족 = 527
교사 기대: 학생의 유능감 증진 = 530
학생의 동기를 증진하는 교사 특성에 대한 교수전략 = 532
학급환경 요소: 동기 부여하는 환경 만들기 = 534
질서와 안전: 배우기에 안전한 교실 = 534
성공: 학습자의 자기효능감 개발 = 536
도전: 유능감과 자기결정 인식 증가 = 536
과제 이해: 통제와 가치인식 증진 = 537
교수적 요소: 학습활동에서 흥미 개발하기 = 539
수업 서두에 초점 맞추기: 학생의 주의 끌기 = 540
개별화: 학생의 삶과 연결 = 541
참여: 내재적 동기 증가 = 543
피드백: 이해하려는 욕구 충족 = 545
학급환경과 교수적 요소를 적용하는 교수전략 = 546
평가와 학습: 흥미와 자기효능감을 증진하는 피드백 사용 = 548
테크놀로지와 학습: 학생의 동기 증진을 위해 테크놀로지 사용하기 = 550
테크놀로지의 동기부여 효과: 이론적 설명 = 551
테크놀로지와 동기: 교사가 알아야 할 주의점 및 지침 = 552
동기와 학생의 다양성 = 553
동기 문제: 학생의 관점 = 554
동기 문제: 가능한 해결책 = 556
요약 = 557
12 학급 분위기와 학습 = 562
학급 경영: 정의 = 564
학급 경영과 학급의 복잡성 = 565
학급 경영의 인지적 접근: 학습자의 책임감 발달 = 568
효과적 학급 경영 계획 = 569
학습자 특성 = 569
물리적 환경 = 571
규칙과 절차: 효과적 경영체계의 기초 = 571
규칙을 만들고 가르치기: 교육적 전략 = 572
학부모와의 의사소통 = 579
의사소통의 이점들 = 579
학부모 참여시키기: 교육전략 = 580
학부모와의 의사소통: 학습자의 다양성 수용 = 584
문제행동 다루기: 개입 = 587
성공적 개입을 위한 지침 = 588
개입의 인지적 접근 = 588
개입의 행동주의적 접근 = 593
개입 수준 = 599
평가와 학습: 학급 경영에서 평가의 역할 = 599
심각한 학급 경영 문제들: 폭력과 공격성 = 601
즉각적 대처 = 602
장기적 해결책 = 602
요약 = 603
13 성공적 학습을 위한 교수방법 = 608
교사의 지식과 사고 = 611
교사의 지식 = 611
교사의 사고 = 612
교수 계획 = 613
학습 주제 결정 = 613
목표 세우기: 학생이 알아야 할 것, 가치를 두어야 할 것, 할 줄 알아야 할 것 = 614
학습활동의 준비와 조직 = 618
평가 계획 = 620
교육과정목표에 근거한 수업계획 = 622
수업하기: 필수 교수기술 = 624
태도 = 625
시간 사용 = 625
조직화 = 626
의사소통 = 627
집중하도록 만들기: 주의 끌기와 유지 = 628
피드백 = 629
질문하기 = 632
복습과 마무리 = 636
학급에서의 상호작용: 학습자의 다양성 수용 = 637
평가와 학습: 학습도구로서 평가의 사용 = 640
요약 = 643
14 교실에서의 평가와 성적 매기기 = 650
학급평가 = 653
학급평가의 기능 = 653
측정과 평가 = 654
타당도: 적절한 평가결정 내리기 = 655
신뢰도: 측정의 일관성 = 656
전통적인 평가전략 = 658
교사의 평가형태 = 658
타당한 시험문항 = 660
타당한 시험문항 작성하기: 교수전략 = 661
상업적으로 작성된 시험문항 = 671
대안적 평가 = 672
수행평가 = 673
수행평가 고안하기: 교수전략 = 674
포트폴리오: 대안적 평가에 학생 개입시키기 = 678
전통적 평가와 대안적 평가를 균형감 있게 바라보기 = 681
효과적인 평가행위: 교수전략 = 684
평가 계획하기 = 684
학생들을 평가에 준비시키기 = 685
시험 실시하기 = 689
시험결과 분석하기 = 691
학급에서 다양성 수용하기: 평가에서 편견 줄이기 = 692
성적 매기기와 보고: 전체 평가체계 = 693
채점체계 고안하기 = 693
성적 부여하기: 학습과 동기 증가시키기 = 696
테크놀로지와 학습: 평가향상을 위한 과학기술 사용하기 = 700
요약 = 702
15 표준화검사의 활용 = 708
표준화검사 = 710
표준화검사의 기능 = 711
표준화검사의 종류 = 712
표준화검사 평가하기: 타당도 = 717
표준화검사에서 교사의 역할: 교수전략 = 718
표준화검사 결과를 이해하고 해석하기 = 720
기술통계 = 720
표준화검사 결과 해석하기 = 724
표준화검사에 관한 쟁점 사항 = 728
표준중심교육 및 책무성 운동 = 728
교사를 대상으로 하는 시험 = 730
학생의 다양성과 검사편파성 = 730
표준화검사에서 편파성 제거하기: 교수전략 = 732
대안형식을 가진 표준화검사 = 734
표준화검사와 관련된 쟁점: 교사들을 위한 시사점 = 735
요약 = 736
부록 = 740
용어정리 = 750
참고문헌 = 762
찾아보기 = 808
서평 (0 건)
*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. 한글 기준 10자 이상 작성해 주세요.
서평추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