목차 일부
Chapter 1 현미경 = 13
실험 1. 현미경 사용법 = 13
실험 2. 미생물의 크기 측정 = 20
Chapter 2 세균염색 = 25
실험 3. 도말표본 준비 = 25
실험 4. 단염색(simple staining) = 31
실험 5. 그람염색(Gram staining) = 36
실험 6. 포자염색(Spore Staining) = 42
...
목차 전체
Chapter 1 현미경 = 13
실험 1. 현미경 사용법 = 13
실험 2. 미생물의 크기 측정 = 20
Chapter 2 세균염색 = 25
실험 3. 도말표본 준비 = 25
실험 4. 단염색(simple staining) = 31
실험 5. 그람염색(Gram staining) = 36
실험 6. 포자염색(Spore Staining) = 42
실험 7. 협막염색(Capsule Staining) = 47
Chapter 3 세균배양 = 51
실험 8. 배지 준비 = 51
실험 9. 계대배양 = 58
실험 10. 순수배양법 = 65
실험 11. 배양 특성 = 70
실험 12. 균주 보관 = 76
Chapter 4 세균증식의 영향요인
실험 13. 온도 = 79
실험 14. 수소이온농도(pH) = 84
실험 15. 삼투압(Osmotic pressure) = 88
실험 16. 자외선(Ultraviolet) = 92
실험 17. 항생제(Antibiotic) = 96
Chapter 5 살아있는 세균수 측정 = 101
실험 18. 혼합희석 평판배양법(Pour Plate Culture Technique) = 102
실험 19. 평판도말배양법(Spread Plate Technique) = 108
실험 20. 최확수법(MPN Method) = 113
실험 21. 막여과법(Membrane Filter method) = 122
실험 22. 건조배지 이용법(Dry Medium) = 128
Chapter 6 세균의 생리적, 혈청학적 특성 = 135
실험 23. INVIC 실험 = 135
23.1 Indole 생성능 실험 = 136
23.2 Methyl-Red 실험 = 138
23.3 Voges-Proskauer 실험 = 140
23.4 Citrate 이용능 실험 = 142
실험 24. API 20E kit를 이용한 세균의 동정 = 146
실험 25. 운동성 검사 = 152
실험 26. 혈청형 결정 = 157
Chaper 7 세균의 동정 = 163
실험 27. 여시니아 = 163
실험 28. 살모넬라 = 169
시험관법 = 170
막여과법 = 171
실험 29. 쉬겔라 = 175
시험관법 = 176
막여과법 = 177
실험 30. 아황산환원 혐기성포자형성균 = 181
실험 31. 녹농균 = 185
실험 32. 분원성연쇄상구균 = 190
실험 33. 대장균군, 대장균 = 194
실험 34. 분원성대장균군 = 200
최확수법 = 200
막여과 실험방법 = 202
Chaper 8 진핵미생물 = 205
실험 35. 사상성 진균 = 205
실험 36. 효모 = 210
실험 37. 자유유형 원생동물 = 214
실험 38. 조 류 = 219
Chaper 9 바이러스 = 225
실험 39. 박테리오파아지의 계수법 = 225
실험 40. 박테리오파아지의 분리 = 230
실험 41. 장내바이러스의 검출 = 235
Chaper 10 토양미생물학 = 241
실험 42. 토양미생물의 수 측정 = 241
실험 43. 질산화 과정 = 246
실험 44. 탈질화 = 251
Chaper 11 표면오염측정법 = 255
실험 45. RODAC Plate법 = 255
실험 46. Sweb 법 = 259
실험 47. 핸드프린팅법 = 262
부록 A 시약 및 염색액 = 267
부록 B 배 지 = 270
부록 C 담수조류 및 남조류 분류표 = 282
서평 (0 건)
*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. 한글 기준 10자 이상 작성해 주세요.
서평추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