목차 일부
목차
제1부 쌀과 벼농사
제l장 쌀과 쌀음식
1.1 쌀은 우리 민족의 주식이다 = 4
쌀의 영양과 식미 = 5
1.2 쌀은 영양이 좋고 기능성이 뛰어나다 = 5
1.3 쌀에는 비타민 B 복합체가 풍부하다 = 6
1.4 고품질 쌀은 식미가 좋은 쌀을 의미한다 = 7
쌀밥과 쌀음식 = 8
1.5 '쌀밥 중심 식사'는 영양소의 ...
목차 전체
목차
제1부 쌀과 벼농사
제l장 쌀과 쌀음식
1.1 쌀은 우리 민족의 주식이다 = 4
쌀의 영양과 식미 = 5
1.2 쌀은 영양이 좋고 기능성이 뛰어나다 = 5
1.3 쌀에는 비타민 B 복합체가 풍부하다 = 6
1.4 고품질 쌀은 식미가 좋은 쌀을 의미한다 = 7
쌀밥과 쌀음식 = 8
1.5 '쌀밥 중심 식사'는 영양소의 균형이 좋다 = 8
1.6 맛있는 쌀밥은 밥짓기에 달렸다 = 9
1.7 가공쌀밥이 개발되고 있다 = 10
1.8 전통 쌀음식은 문화상품이다 = 12
쌀의 생산과 소비 = 13
1.9 세계의 쌀(현미)은 약 1억 5,000만ha에서 매년 약 4억 5,000만 톤이 생산된다 = 13
1.10 세계 쌀의 90% 이상이 아시아에서 생산된다 = 14
1.11 세계적으로 쌀의 수요공급은 불안정한 균형을 이루고 있다 = 15
1.12 우리 나라의 논은 전체 경지면적의 약 58%이며 매년 500만 톤 이상의 쌀을 생산한다 = 16
1.13 우리의 쌀 소비량이 급격히 감소하고 있다 = 18
요약 = 20
학습문제 = 21
제2장 논과 벼농사
2.1 개요 : 벼의 생육과정 = 24
논과 논토양 = 25
2.2 논은 벼농사의 안정성·영속성·다수성을 지켜 준다 = 25
2.3 담수한 논토양은 산화층과 환원층으로 분화된다 = 27
2.4 우리 나라 논의 2/3는 보통논과 모래논이다 = 28
2.5 객토·규산·유기물·논깊이갈이로 논토양을 개량한다 = 29
기상조건과 벼농사 = 31
2.6 벼는 아시아 몬순기후에 잘 적응하였다 = 31
2.7 우리의 벼농사는 불리한 기상조건을 잘 극복해 왔다 = 32
2.8 기온은 벼의 생육과 생리기능을 좌우한다 = 33
2.9 볕이 많을수록 풍년이 든다 = 35
2.10 강우·대기·바람은 벼의 생산성을 제한한다 = 36
우리 나라 벼농사의 역사 = 37
2.11 우리 나라 벼는 중국으로부터 들어와 한강유역을 중심으로 전파되었다고 추정한다 = 37
2.12 우리 나라는 예부터 벼농사 기술이 발달하였다 = 39
요약 = 40
학습문제 = 41
제3장 재배벼의 분화와 품종개량
재배벼의 분화와 생태형 = 44
3.1 재배벼에는 아시아벼와 아프리카벼가 있다 = 44
3.2 야생벼는 재배벼보다 번식과 환경적응력이 뛰어나다 = 47
3.3 아시아벼는 인디카, 열대자포니카, 온대자포니카로 구분된다 = 47
3.4 인디카벼에는 많은 생태형이 있다 = 50
3.5 우리 나라 벼는 일반형 벼와 통일형 벼로 구분된다 = 52
벼품종의 특성과 품종선택 = 53
3.6 벼품종은 내력·재배·이용상 여러 그룹으로 나뉜다 = 53
3.7 벼품종의 경제적 특성 : 수량·품질 = 54
3.8 벼품종의 지리적 특성 : 올늦음성, 병·벌레견딜성, 환경스트레스견딜성 = 55
3.9 벼품종의 재배적 특성 : 생력기계화적응성, 직파적응성 = 57
3.10 품종선택의 첫 번째 고려사항은 적지적품종을 고르는 것이다 = 58
벼품종 개량 = 59
3.11 개요 : 우리 나라의 벼품종 개량 역사 = 59
3.12 우리 나라의 벼 육성품종은 생산성이 높다 = 62
3.13 육성품종은 대부분 교배육종에 의해 만들어졌다 = 64
요약 = 65
학습문제 = 67
제2부 벼의 생장·발육
제4장 볍씨의 발아와 모 생장
4.1 벼의 일생은 영양생장기와 생식생장기로 구분된다 = 72
볍씨의 구조 = 75
4.2 볍씨는 현미를 왕겨가 싸고 있으며, 현미는 벼의 열매이다 = 75
볍씨의 발아 = 77
4.3 볍씨의 발아는 3단계를 거치며 최적온도는 30∼34℃이다 = 77
4.4 깊은 물 또는 땅속의 어린 싹은 초엽 또는 중배축의 신장에 의해 밖으로 나온다 = 80
4.5 볍씨고르기·볍씨담그기·싹튀우기는 발아를 빠르고 균일하게 한다 = 81
모의 생장 = 83
4.6 벼의 생리적 나이는 엽령으로 나타낸다 = 83
4.7 벼의 뿌리발생과 새끼치기는 규칙적으로 일어난다 = 85
요약 = 86
학습문제 = 87
제5장 벼의 잎·줄기·뿌리 생장
벼잎의 생장 = 90
5.1 벼잎은 잎집과 잎새로 이루어지고 잎혀와 잎귀가 있다 = 90
5.2 벼잎에는 수분부족 때 증산을 막아 주는 기동세포가 있다 = 91
5.3 벼잎의 출엽주기는 영양생장기에 약 4∼5일, 생식생장기에 약 8일 걸린다 = 93
5.4 벼는 생리적 활동중심잎에서 광합성산물을 배분한다 = 94
벼줄기의 생장 = 95
5.5 벼줄기는 마디와 마디사이로 이루어지고, 각 마디사이에서 잎·새끼친줄기·뿌리가 발생한다 = 95
5.6 벼줄기에는 통기계가 잘 발달하였다 = 96
5.7 벼줄기의 생장은 이삭생길때 시작하여 이삭팬 직후까지 계속된다 = 97
5.8 벼줄기 밑둥이 튼튼할수록 쓰러짐견딜성이 강하다 = 98
벼 새끼치기 = 99
5.9 벼 새끼치기는 주간이나 새끼친줄기의 잎겨드랑이 곁눈이 발달하여 가지벌기한 것이다 = 99
5.10 벼 새끼치기는 동신생장의 규칙성을 따른다 = 100
5.11 벼 참줄기(유효경)비율은 60∼80%이다 = 101
벼뿌리의 생장 = 102
5.12 벼뿌리는 씨뿌리, 중배축뿌리, 관근으로 구분한다 = 102
5.13 벼뿌리의 발생은 출수 전 20일쯤 최대가 되며 대부분 갈이흙(경토)에 분포한다 = 104
5.14 벼뿌리의 생장에는 산소공급이 중요하다 = 106
요약 = 107
학습문제 = 109
제6장 벼의 생육과 양분의 흡수 및 이용
벼의 영양성분 = 112
6.1 질소·인·칼리를 비료의 3요소라고 한다 = 112
6.2 마그네슘·철·망간 등은 광합성에 중요한 작용을 한다 = 115
6.3 벼는 다량의 규소를 흡수하여 잎을 튼튼하게 만든다 = 116
벼의 생육과 양분의 흡수이용 = 117
6.4 벼는 영양생장기, 생식생장기, 여뭄때의 생육 및 양분흡수 패턴이 다르다 = 117
6.5 벼뿌리에서 흡수하는 무기양분은 생육시기에 따라 다르다 = 119
6.6 벼의 비료 3요소 함량은 생육시기와 식물기관에 따라 차이기 았다 = 121
6.7 벼이삭의 녹말 중 약 30%는 잎집과 줄기에서 이전된다 = 122
6.8 개요 : 벼의 생육과정과 영양생리 = 124
벼의 영양장해 = 125
6.9 무기양분에 의한 영양장해는 여러 가지 증상을 나타낸다 = 125
6.10 영양장해는 개선될 수 있다 = 126
6.11 벼의 급성위조현상은 생리장해이다 = 128
요약 = 129
학습문제 = 130
제7장 벼이삭의 발달과 볍씨 형성
벼이삭의 분화 및 발달 = 134
7.1 이삭생길때는 출엽속도가 느려지고 마디사이 신장이 시작된다 = 134
7.2 벼가 이삭밸때는 이삭패기 전 5∼15일이다 = 135
7.3 벼이삭은 1·2차 이삭가지의 벼알가지 끝에 알벼가 달린다 = 136
벼꽃의 형성 = 138
7.4 배동받이때(유수형성기) 이삭꽃원기가 분화하여 벼꽃을 만든다 = 138
7.5 이삭밸때 감수분열이 일어나 화분과 배낭을 형성한다 = 139
7.6 벼는 출수 전 일수·엽령지수·엽이간장 등에 의해 이삭발육 및 벼꽃 형성과정을 알 수 있다 = 141
출수와 개화 = 144
7.7 출수는 이삭목마디사이의 급신장에 의해 이루어진다 = 144
7.8 개화의 최적온도는 30∼35℃, 최적습도는 70∼80%, 꽃피기한창때는 오전 11시쯤이다 = 145
7.9 한 이삭의 꽃피는 순서는 정해져 있으며, 이삭꽃의 분화발달 및 이삭여뭄 순서와 일치한다 = 146
수분과 수정 및 볍씨 형성 = 147
7.10 벼는 자가수분과 중복수정으로 배와 배유를 만든다 = 147
7.11 현미는 길이, 너비, 두께의 순서로 발달하여 수정 후 25일쯤에 크기가 완성된다 = 151
요약 = 152
학습문제 = 153
제8장 벼의 물질생산과 수량 구성요소
8.1 광합성은 빛에너지를 이용하여 유기물을 만드는 과정이며, 세포호흡은 유기물로부터 에너지를 얻는 과정이다 = 156
벼의 물질생산 = 158
8.2 벼의 광합성은 주로 잎새에서 이루어지며 잎색이 진할수록 광합성이 증가한다 = 158
8.3 벼 개체군의 최적 잎면적지수가 클수록 광합성량이 많다 = 160
8.4 직립초형은 벼 개체군의 수광태세를 좋게 하여 광합성이 증가한다 = 161
8.5 개요 : 벼의 생육과정에 따른 광합성과 호흡 = 163
저장물질의 축적과 이삭여뭄 = 165
8.6 현미의 저장물질은 배유세포에 축적되며 90%가 녹말이다 = 165
8.7 볕이 좋고 밤낮의 온도차이가 큰 환경이 이삭여뭄에 유리하다 = 167
8.8 이삭거름과 알거름은 쭉정이를 줄이고 이삭여뭄을 좋게 한다 = 169
벼의 수량 구성요소 = 170
8.9 벼수량은 전체건물중과 수확지수에 의해 이루어진다 = 170
8.10 벼의 수량 구성 4요소는 단위면적당 이삭수·이삭당 이삭꽃 수·여뭄비율·낟알무게이다 = 171
8.11 개요 : 벼수량의 생산과정 = 173
요약 = 176
학습문제 = 177
제3부 벼농사 기술
제9장 벼 이앙재배
9.1 개요 : 우리 나라 벼 재배양식의 변천 = 184
9.2 손이앙재배와 기계이앙재배는 벼 생육에 차이가 있으나 생산성은 동등하다 = 186
모기르기 = 187
9.3 손이앙모와 기계이앙모는 모소질이 다르다 = 187
9.4 건모육성이 이앙재배의 핵심이다 = 188
9.5 중간모는 비닐피복못자리, 부직포못자리, 마른못자리 등에서 기른다 = 190
9.6 어린모는 자동화 육묘시설을 이용한다 = 193
본논 준비 = 194
9.7 논갈이와 논고르기는 논토양을 좋게 하고 모내기작업을 쉽게 해준다 = 194
9.8 논의 종류에 따라 밑거름의 시비량이 다르다 = 196
모내기 = 198
9.9 모내는 시기는 안전출수기를 고려하며 정한다 = 198
9.10 모내기의 심음배기는 재배형별로 차이가 있다 = 200
9.11 재배양식은 조기재배·조식재배, 보통기재배, 만기재배·만식재배, 2기작재배 등으로 구분한다 = 201
물관리와 웃거름주기 = 203
9.12 논물은 벼의 생리작용에 필요하며 환경조절 역할을 한다 = 203
9.13 논물은 벼 생육과정에 따라 깊게, 얕게, 또는 걸러대기를 한다 = 204
9.14 웃거름은 새끼칠거름·이삭거름·알거름으로 나누어 준다 = 206
요약 = 207
학습문제 = 209
제10장 벼 직파재배
10.1 벼 직파재배는 마른논직파재배와 무논직파재배로 나뉜다 = 212
마른논직파재배 = 213
10.2 벼 마른논줄뿌림재배는 정밀한 논고르기가 필요하다 = 213
10.3 벼 마른논줄뿌림재배는 이앙재배에 비해 질소비료를 40∼50% 더 주며 입모 후 논에 물대기를 한다 = 215
10.4 벼 요철골직파재배는 마른논·무논직파 절충형이다 = 216
10.5 벼 요철골마른논줄뿌림재배는 6엽기까지 무논 상태로 둔다 = 218
10.6 벼 부분경운 마른논직파재배는 비온 후에도 파종할 수 있다 = 219
10.7 개요 : 벼 마른논직파재배의 입모율 향상과 잡초성 벼 발생억제 = 220
무논직파재배 = 223
10.8 벼 무논표면뿌림재배는 쓰러짐 방지가 중요하다 = 223
10.9 벼 무논표면뿌림재배는 중간물떼기를 강하게 한다 = 225
10.10 벼 무논골뿌림재배는 쓰러짐 방지효과가 크다 = 226
10.11 개요 : 벼 무논직파재배 논의 이끼·괴불 발생 및 쓰러짐 방지 = 228
요약 = 229
학습문제 = 230
제11장 벼의 스트레스와 방제
11.1 벼의 스트레스에는 환경적 스트레스와 생물적 스트레스가 있다 = 234
벼의 환경적 스트레스와 방제 = 235
11.2 저온은 벼의 지연형 냉해와 장해형 냉해를 일으킨다 = 235
11.3 벼의 냉해는 거름주기와 물관리를 통해 경감시킬 수 있다 = 238
11.4 가뭄은 벼의 생육장해를 일으켜 한해(가뭄피해)를 불러온다 = 239
11.5 태풍은 벼의 수해와 풍해를 함께 몰고 온다 = 241
벼의 생물적 스트레스와 방제 = 244
11.6 우리 나라 벼의 병해에 의한 수량감소율은 연평균 약 13%이다 = 244
11.7 우리 나라 벼의 해충에 의한 수량감소율은 연평균 약 7.5%이다 = 249
11.8 벼의 병해충 동시방제는 방제노력을 절감한다 = 252
11.9 우리 나라의 논잡초는 1년생 60%, 다년생 40%이다 = 253
11.10 잡초방제에는 종합적 관리체계가 필요하다 = 258
요약 = 259
학습문제 = 260
제12장 벼의 수확 및 수확 후 관리
수확과 건조 = 264
12.1 벼의 수확적기는 누렇게익음때이다 = 264
12.2 천일건조는 알벼를 망사 위에 5cm 두께로 널어 3일간 말리는 것이 효과적이다 = 266
12.3 건조과정중 현미 내 위아래의 수분차이에 의해 동할립이 생긴다 = 267
12.4 화력건조는 열풍온도 45∼50℃, 알벼온도 35℃가 적당하다 = 268
저장 = 269
12.5 벼는 알벼·현미·백미로 저장한다 = 269
12.6 묵은쌀은 지방의 산화에 의해 식미가 낮아진다 = 271
도정 및 포장 = 272
12.7 벼의 도정률은 제현율×현백률로 정해진다 = 272
12.8 완전미와 청결미는 상품성이 높다 = 274
12.9 쌀의 포장은 품질보증 및 브랜드 효과를 나타낸다 = 274
요약 = 275
학습문제 = 276
제4부 이용
제13장 쌀 및 부산물의 이용
쌀의 종류와 품질 = 282
13.1 쌀은 맵쌀과 찹쌀이 있으며, 입형에 따라 분류한다 = 282
13.2 쌀의 낟알은 완전립·분상질립·피해립·착색립·싸라기 등으로 구분한다 = 284
13.3 유통되는 포장쌀의 등급은 특·상·보통으로 나뉜다 = 287
13.4 쌀의 품질은 품종 및 수확 전·수확 후 관리가 중요하다 = 288
쌀의 식미와 관능검사 = 290
13.5 식미는 쌀의 이화학적 특성·쌀밥의 조직감·인간의 느낌 등에 의해 결정된다 = 290
13.6 식미를 평가하는 관능검사는 인간의 5감에 의해 이루어진다 = 291
쌀의 이용과 특수미 = 293
13.7 쌀은 도정도가 낮을수록 영양이 우수하다 = 293
13.8 쌀로 다양한 가공식품을 만들 수 있다 = 294
13.9 특수미는 쌀의 특성이 강조된 쌀이다 = 296
13.10 쌀녹말은 식용 이외에도 용도가 매우 다양하다 = 298
부산물의 이용 = 299
13.11 쌀겨에는 양질의 기름과 생리활성물질이 들어 있다 = 299
13.12 왕겨와 볏짚은 쓰임새가 많다 = 301
요약 = 301
학습문제 = 303
학습문제 정답(객관식) = 305
찾아보기 = 306
서평 (0 건)
*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. 한글 기준 10자 이상 작성해 주세요.
서평추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