목차 일부
목차
제Ⅰ부 친환경농업의 이해
제1장 토양환경 = 3
1.1. 토양의 생성발달과 작물생육 = 4
1.2. 토양의 물리적 성질 = 6
1.3. 토양의 화학적 성질과 광물학적 성질 = 16
1.4. 토양미생물과 유기물의 분해·집적 = 23
1.5. 환경친화적 토양관리 = 28
요약/학습문제 = 32, 33
제2장 비료와 환경 = 35
...
목차 전체
목차
제Ⅰ부 친환경농업의 이해
제1장 토양환경 = 3
1.1. 토양의 생성발달과 작물생육 = 4
1.2. 토양의 물리적 성질 = 6
1.3. 토양의 화학적 성질과 광물학적 성질 = 16
1.4. 토양미생물과 유기물의 분해·집적 = 23
1.5. 환경친화적 토양관리 = 28
요약/학습문제 = 32, 33
제2장 비료와 환경 = 35
2.1. 작물의 생육과 영양 = 36
2.2. 양분의 흡수와 이동 = 43
2.3. 비료의 종류와 성질 = 47
2.4. 시비법의 원리와 응용 = 53
2.5. 비료성분의 토양 중 변동과 환경 = 57
요약/학습문제 = 63, 64
제3장 농약과 환경 = 67
3.1. 농약의 중요성 = 68
3.2. 농약의 구비조건과 분류 = 70
3.3. 농약의 작용기작과 사용법 = 73
3.4. 농약의 독성과 안전성 = 79
3.5. 농약의 환경 중 동태와 환경독성 = 85
요약/학습문제 = 89, 90
제4장 생태계오염과 농업 = 93
4.1. 대기오염과 농업 = 94
4.2. 수질오염과 농업 = 98
4.3. 토양 및 농산물오염 = 103
요약/학습문제 = 108, 108
제5장 친환경농업의 배경 = 111
5.1. 지구환경문제의 대두 = 112
5.2. 농업의 환경보전 기능 = 115
5.3. 현대농업이 발생시키는 환경오염 = 121
5.4. 친환경농업의 필요성 = 124
5.5. 친환경농업의 정의 = 126
5.6. 친환경농업의 출현배경 = 127
요약/학습문제 = 129, 131
제Ⅱ부 친환경적 농업생산기술
제6장 품종개발 = 135
6.1. 환경친화적인 작물의 품종 개량 = 136
6.2. 작부체계의 다양화 = 137
6.3. 공익기능 효과의 증대 = 142
6.4. 친환경작물육종의 방향 = 149
요약/학습문제 = 150, 151
제7장 작부체계와 재배기술 = 153
7.1. 작부체계의 의의와 필요성 = 154
7.2. 우리 나라의 작부체계 변천 = 158
7.3. 작부체계의 역할 및 기능 = 164
7.4. 작부체계가 환경에 미치는 영향 = 168
7.5. 우리 나라 작부체계의 발전방향 = 171
요약/학습문제 = 174, 175
제8장 농토배양과 시비 = 177
8.1. 농토배양의 의의 = 178
8.2. 농토배양의 목적 = 178
8.3. 농토배양의 효과 = 179
8.4. 농토배양의 방법 = 181
8.5. 환경친화형농업에서의 시비법 = 184
8.6. 환경을 배려한 시비 기준의 설정 = 186
요약/학습문제 = 187, 188
제9장 환경친화적 병충해 및 잡초방제 = 191
9.1. 환경친화적 방제의 기본 개념 = 192
9.2. 경종적 방법에 의한 방제 = 194
9.3. 물리적·기계적 방법에 의한 방제 = 198
9.4. 생물적 방법에 의한 방제 = 200
9.5. 화학적 합성농약에 의한 방제 = 202
9.6. 환경친화적인 체계적 방제 = 204
요약/학습문제 = 206, 206
제Ⅲ부 친환경농업의 실제
제10장 작물종합양분관리 = 211
10.1. 비료의 과다시비 = 212
10.2. 작물종합양분관리의 태동 = 215
10.3. 작물종합양분관리의 이론 = 217
10.4. 작물종합양분관리의 실제 = 219
요약/학습문제 = 237, 238
제11장 병충해 종합관리 = 239
11.1. 농약 오남용의 문제 = 240
11.2. 병충해 종합관리의 이론 = 241
11.3. 병충해 종합관리의 실제 = 247
11.4. IPM의 발전방향과 대책 = 257
요약/학습문제 = 258, 259
제12장 정밀농업 = 261
12.1. 정밀농업의 정의와 필요성 = 262
12.2. 정밀농업의 세부기술 = 264
12.3. 외국의 정밀농업 = 274
12.4. 한국의 정밀농업기술 개발현황과 전망 = 276
요약/학습문제 = 278, 279
제13장 유기농법 기술 = 281
13.1. 유기농법의 이론 = 282
13.2. 유기경종의 핵심내용 = 283
13.3. 유기경종의 윤작 = 284
13.4. 유기경종의 병충해 및 잡초관리 = 291
13.5. 유기경종용 저항성 품종 = 294
13.6. 유기축산의 핵심내용 = 295
요약/학습문제 = 296, 297
제Ⅳ부 친환경농업의 현재와 미래
제14장 세계의 친환경농업 = 301
14.1. 국가별 친환경농업의 사례 = 302
14.2. 우리 나라의 친환경농업 사례 = 317
14.3. 우리 나라의 친환경농업 육성지원책 = 319
14.4. 친환경농산물의 종류와 품질인증 = 322
요약/학습문제 = 325, 326
제15장 환경친화형농업과 생태마을 = 329
15.1. 생태마을의 목표 = 330
15.2. 생태마을 조성의 주요 기술 = 334
15.3. 외국의 생태마을 = 347
15.4. 국내의 생태마을 = 348
요약/학습문제 = 350, 350
제16장 유기농업의 발전과 국제규정 = 353
16.1. 유기농업의 발전과정 = 354
16.2. 유기농업의 목표와 국제규정 = 356
16.3. 국내외 유기농업운동 = 367
요약/학습문제 = 389, 390
제17장 환경친화형농업의 실천방향 = 393
17.1. 토양의 건전한 보전과 개량방향 = 394
17.2. 화학비료 절감 및 환경보전을 위한 작물양분관리 = 397
17.3. 농약절감 및 환경보전을 위한 병충해방제 = 398
17.4. 시설원예지의 염류집적 방지 = 401
17.5. 가축분뇨로 인한 환경오염 방지 및 재활용 = 403
17.6. 토양 및 농업용수의 개량 = 405
17.7. 환경친화형농업의 확대 방안 = 407
17.8. 한국 토착유기농업의 기술개발 = 409
요약/학습문제 = 410, 411
참고문헌 = 413
찾아보기 = 419
서평 (0 건)
*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. 한글 기준 10자 이상 작성해 주세요.
서평추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