목차 일부
목차
제1장 정보와 도서관 교과교육학의 학문적 탐구
1.1 정보와 도서관 교과교육학의 개념 = 3
1.2 교과교육학과 교육 과정 = 5
1.2.1 교과와 교과교육학 = 5
1.2.2 학교 교육과 교육 과정 = 7
(1) 교육 과정의 구성 요소 = 7
(2) 교육 과정의 변천과 유형 = 10
(3) 우리나라 교육 과정 = 13
...
목차 전체
목차
제1장 정보와 도서관 교과교육학의 학문적 탐구
1.1 정보와 도서관 교과교육학의 개념 = 3
1.2 교과교육학과 교육 과정 = 5
1.2.1 교과와 교과교육학 = 5
1.2.2 학교 교육과 교육 과정 = 7
(1) 교육 과정의 구성 요소 = 7
(2) 교육 과정의 변천과 유형 = 10
(3) 우리나라 교육 과정 = 13
1.2.3 제7차 교육 과정 = 14
1. 교육 과정의 개요와 기본 방향 = 15
(1) 교육 과정의 개요 = 15
(2) 기본 방향과 특징 = 17
2. 교육 과정의 편성과 운영 = 19
3. 재량 활동 교육 과정의 이해 = 42
(1) 성격과 목표 = 42
(2) 영역 및 내용 = 43
(3) 편성 단계와 기본 절차 = 45
(4) 평가 = 46
4. 선택 중심 교육 과정의 이해 = 47
(1) 의의와 구성 = 47
(2) 편성·운영의 기본 원칙과 절차 = 48
(3) 편성·운영의 예시 = 51
1.2.4 정보와 도서관 교과의 교육 과정 표시 = 53
(1) 국가 수준 교육 과정의 방향 = 53
(2) 교원자격검정령의 개정 = 55
1.3 학교도서관과 교과교육학 = 57
1.3.1 정보와 도서관 교육의 역사 = 57
1.3.2 사서교사의 역할과 교과교육 = 64
(1) 교육봉사와 사서교사 = 64
(2) 사서교사의 교육 과정 담당 및 효과 = 66
1.3.3 정보소양인증제 교과로서의 정보와 도서관 교육 과정 = 67
(1) 시행 및 지도 시간의 확보 = 67
(2) 학교도서관에서의 실시 방법 = 68
(3) 기대 효과 = 68
1.4 교과교육학의 과학적 연구 = 69
1.4.1 연구 영역과 방법 = 69
1. 연구 영역 = 69
(1) 정보와 도서관에 관한 교육 연구 = 70
(2) 정보와 도서관을 이용한 교육 연구 = 70
2. 연구 방법 = 71
(1) 기술적 연구 방법 = 71
(2) 실험적 연구 방법 = 71
(3) Q 방법론 = 72
(4) 통합 연구 방법 = 74
1.4.2 학교도서관과 학업성취도 = 74
1. 연구 영역 = 74
(1) 독서 성적 = 76
(2) 정보와 도서관 교과 성적 = 78
(3) 일반 교과 성적 = 80
(4) 교수-학습 활동 일반 = 83
2. 연구 동향 = 85
(1) 우리나라 = 85
(2) 외국 = 85
3. 통계 기법 = 87
(1) 상관분석 = 87
(2) t 검정 = 88
(3) 분산분석 = 88
(4) 요인분석 = 89
(5) 회귀분석 = 89
(6) 경로분석 = 90
4. 우리나라에 적합한 연구 방법과 후속 연구 = 91
(1) 연구 방법 = 92
(2) 후속 연구 = 93
1.4.3 학교도서관과 도서관기반교육접근법(LBEA) = 95
제2장 정보와 도서관 교육 과정
2.1 정보이용교육 = 105
2.1.1 정보능력과 정보이용교육의 개념 = 105
2.1.2 연결거점론(BC) = 108
2.1.3 통합거점론(BI) = 115
2.2 과제 중심의 정보이용 교육 과정 = 116
2.2.1 개념 = 116
2.2.2 대표적인 교육 과정 = 117
(1) 한국교육학술정보원 = 117
(2) 미국사서교사협회 = 118
(3) 미국 워싱턴주 교육청 = 120
(4) Big Six = 121
2.3 정보와 도서관 교육 과정의 편성 = 123
2.3.1 제6차 교육 과정에 따른 '정보와 매체' 교육 과정 = 123
2.3.2 제7차 교육 과정에 따른 '정보와 도서관' 교육 과정 = 125
1. 초·중등학교 교육 과정 = 126
(1) 초등학교(4∼6학년) 교육 과정 = 126
(2) 중학교 교육 과정 = 133
(3) 고등학교 교육 과정 = 140
2. 초·중등학교 교육 과정의 체계 분석 = 147
(1) 성격 = 147
(2) 목표 = 148
(3) 내용 = 148
(4) 교수-학습 방법 = 149
(5) 평가 = 149
제3장 정보와 도서관 교육 내용
3.1 정보와 도서관의 이해 = 155
3.1.1 정보와 매체 = 155
(1) 정보와 매체의 의미 = 155
(2) 정보와 매체를 공부하는 목적 = 157
3.1.2 정보 매체의 발달과 유통 = 158
(1) 정보 매체의 발달 = 158
(2) 정보 매체와 정보 유통 = 161
3.1.3 정보 사회와 인간 생활 = 163
(1) 정보 사회의 영향 = 164
(2) 정보 사회의 윤리 = 165
3.2 학교도서관과 정보 = 165
3.2.1 정보의 종류 = 165
1. 문헌정보 = 165
(1) 도서 = 165
(2) 신문과 잡지 = 166
(3) 참고도서 = 167
2. 영상정보 = 168
(1) 비디오 = 168
(2) 텔레비전 = 168
(3) 영화 = 169
3. 전자통신정보 = 169
(1) 시디롬과 DVD롬 자료 = 169
(2) 학교전자도서관과 인터넷 = 170
(3) 데이터베이스 = 172
3.2.2 정보검색 도구 = 172
(1) 자동화 목록 = 172
(2) 색인과 초록 = 173
3.3 정보문제해결과 정보이용과정 = 174
3.3.1 정보과제 정하기 = 174
1. 개념 = 174
2. 정보이용영역 = 175
3.3.2 정보요구 파악하기 = 175
1. 개념 = 175
2. 정보과제와 요구의 순서 = 175
3.3.3 정보 탐색하기 = 176
1. 개념 = 176
2. 정보탐색 전략 = 176
3. 정보탐색 방법 = 178
(1) 인적 자원 = 178
(2) 정보시스템 = 179
(3) 체험정보 = 182
3.3.4 정보 분석하기 = 182
1. 개념 = 182
2. 독서교육 = 183
(1) 문헌정보와 독서 = 183
(2) 독서교육의 100가지 활동 = 189
3. 시청교육 = 207
(1) 영상정보와 시청 = 207
(2) 시청교육의 20가지 활동 = 210
4. 정보 분석의 방법 = 213
(1) 사실 그대로 분석하기 = 213
(2) 추론하며 분석하기 = 214
(3) 비판하며 분석하기 = 214
(4) 감상하며 분석하기 = 215
3.3.5 정보 종합하고 표현하기 = 215
1. 개념 = 215
2. 감상의 표현 = 217
(1) 감상문 쓰기 = 217
(2) 발표회 = 218
3. 정보의 표현 = 219
1) 글과 논술 = 220
(1) 정보능력과 논술 = 221
(2) 좋은 논술의 요건 = 221
(3) 좋은 논술을 위한 수련 = 226
(4) 논술의 과정 = 228
2) 컴퓨터와 정보 표현 = 240
(1) 문서 작성 = 240
(2) 전자 계산 = 241
(3) 발표 자료의 작성 = 242
(4) 홈페이지에 의한 정보 관리 = 243
3.3.6 정보이용과정 되돌아보기 = 244
1. 개념 = 244
2. 효과성과 효율성 = 245
3. 정확율과 재현율 = 246
제4장 정보와 도서관 교육 방법
4.1 교수-학습의 이론적 기초 = 251
4.1.1 행동주의 학습 이론 = 251
1. 기본 개념의 이해 = 251
(1) 고전적 조건형성 이론 = 251
(2) 조작적 조건형성 이론 = 253
(3) 사회적 학습 이론 = 253
2. 정보와 도서관 교육에 주는 시사점 = 254
(1) 정보봉사의 측면 = 254
(2) 교육봉사의 측면 = 255
4.1.2 인지주의 학습 이론 = 256
1. 기본 개념의 이해 = 256
(1) 형태심리학과 통찰학습, 장이론 = 256
(2) 정보처리 이론과 신경망 이론 = 257
(3) 발견학습 이론과 설명적 수업 이론 = 258
2. 정보와 도서관 교육에 주는 시사점 = 259
(1) 정보봉사의 측면 = 259
(2) 교육봉사의 측면 = 260
4.1.3 구성주의 학습 이론 = 261
1. 기본 개념의 이해 = 261
(1) 객관주의와 구성주의 학습 이론 = 261
(2) 인지적 구성주의와 사회적 구성주의 학습 이론 = 263
(3) 구성주의 학습 이론과 교수설계 이론 = 264
2. 과제 중심의 교수-학습 방법 = 265
(1) 인지적 도제 학습 방법 = 267
(2) 앵커드 수업 이론 = 272
(3) 인지적 유연성 이론 = 273
(4) 문제 중심 학습 방법 = 274
(5) 프로젝트 접근법 = 275
3. 정보와 도서관 교육에 주는 시사점 = 277
(1) 정보봉사의 측면 = 277
(2) 교육봉사의 측면 = 278
4.2 수업 모형 = 279
4.2.1 Top456접근법(TA) = 279
4.2.2 협동수업 = 285
1. 교수설계 = 285
2. 교육과정기반접근법(CA) = 293
4.3 교재 연구 및 지도법 = 298
4.3.1 수업 과정과 준비 = 298
(1) 수업의 전개와 기술 = 299
(2) 수업지도안 = 301
4.3.2 수업 방법 = 303
(1) 강의법 = 303
(2) 토의·토론법 = 304
(3) 문답법 = 304
(4) 문제해결법 = 305
(5) 프로젝트법 = 305
(6) 협동교수법 = 306
(7) 발견학습법 = 306
(8) 협동학습법 = 307
(9) 의사 결정법 = 307
(10) 시범 학습법 = 307
4.3.3 연구 수업 = 308
(1) 개념과 목적 = 308
(2) 추진 과정과 방법 = 308
4.4 교육매체와 수업 과정 = 310
4.4.1 교육매체의 종류와 특성 = 310
(1) 전통적인 교육매체 = 310
(2) 정보기술을 이용한 교육매체 = 312
4.4.2 수업 과정과 매체의 활용 = 314
(1) 수업 매체의 통신 과정 = 314
(2) 수업 매체의 선택 요인 = 317
(3) 수업 매체의 활용 = 318
4.4.3 교육매체의 제작 = 320
1. 멀티미디어의 기초 = 320
(1) 문자 = 320
(2) 그림 = 321
(3) 소리 = 321
(4) 동영상 = 322
(5) 애니메이션 = 323
2. 교육매체의 제작 과정 = 323
(1) 제작 목적의 수립 = 323
(2) 학습 내용의 조직화 = 325
(3) 학습 전략 개발 = 328
(4) 학습 흐름도 및 스토리보드 작성 = 335
(5) 저작 및 지침서 작성 = 337
(6) 평가 및 수정 = 338
4.4.4 초·중등학교 정보통신기술교육 운영 지침 = 339
1. 성격 = 339
2. 목표 = 340
3. 내용 = 341
4. 운영상의 유의점 = 349
5. 교과별 활용 방안 = 352
제5장 정보와 도서관 교육 평가
5.1 평가의 개념과 유형 = 369
5.1.1 평가의 개념 = 369
5.1.2 평가의 유형 = 371
(1) 평가 기준에 따른 분류 = 371
(2) 수업 과정에 따른 분류 = 372
5.2 평가 도구 = 373
5.2.1 개발 절차 = 373
(1) 성취 기준 및 평가 기준의 작성 = 373
(2) 평가 상황의 선정 = 374
(3) 평가 방법의 선정 및 도구 개발 = 374
(4) 평가 실시 = 374
(5) 평가의 해석 및 활용 = 375
5.2.2 평가 문항의 조건 = 375
(1) 타당도 = 375
(2) 신뢰도 = 376
(3) 객관도 = 376
(4) 실용도 = 376
5.2.3 지필 검사의 유형 = 376
(1) 객관식 검사 = 377
(2) 주관식 검사 = 378
5.2.4 문항 분석의 방법 = 379
(1) 난이도 = 379
(2) 변별도 = 379
5.3 정보문제해결과 수행평가 = 380
5.3.1 개념과 의의 = 380
5.3.2 수행평가틀 = 381
(1) 나의 정보과제 기록표 = 381
(2) 나의 정보과제 점검표 = 382
(3) 정보과제(문제)해결 평가 기준표 = 385
5.3.3 수행평가 방법 및 예시 = 387
(1) 연구 보고서법 = 388
(2) 실기·실습법 = 389
(3) 서술형 및 논술형 검사법 = 389
(4) 포트폴리오법 = 390
(5) 자기 평가 보고서법 = 391
(6) 찬반 토론법 = 392
(7) 관찰법 = 393
(8) 구술 시험 및 면접법 = 394
제6장 교재 연구 및 지도의 실제
6.1 초등학교 = 403
6.1.1 교과서와 수업지도안 = 403
1. 독서·도서관 영역 = 403
(1) 교과서 1단원 : 정보 왕국의 비밀 = 403
(2) 수업지도안의 예시 = 405
2. 교과학습 연계영역(자기 주도적 학습 영역) = 407
(1) 교과서 3단원 : 3·1 독립 운동과 유관순 누나(국어) = 407
(2) 수업지도안의 예시 = 413
3. 일상생활 연계영역 = 416
(1) 교과서 4단원 : 우리 가족 봄 소풍 = 416
(2) 수업지도안의 예시 = 420
6.1.2 교재 연구 및 지도의 사례 = 422
1. 연간 지도 계획 = 423
2. 지도의 실제 = 424
(1) 주제 1 : 본받고 싶은 위인에 대한 정보 종합하기 = 424
(2) 주제 2 : 월드컵 본선 진출국 소개하기 = 426
(3) 주제 3 : 우리 고장의 자랑거리 소개하기 = 428
6.2 중학교 = 431
6.2.1 교과서와 수업지도안 = 431
1. 독서·도서관 영역 = 431
(1) 교과서 6단원 : 영상으로 만나는 문학과 인물 = 431
(2) 수업지도안의 예시 = 438
2. 교과학습 연계영역(자기 주도적 학습 영역) = 440
(1) 교과서 12단원 : 세계의 인물(도덕) = 441
(2) 수업지도안의 예시 = 448
3. 일상생활 연계영역 = 451
(1) 교과서 19단원 : 에너지의 올바른 사용 = 451
(2) 수업지도안의 예시 = 459
6.2.2 교재 연구 및 지도의 사례 = 461
1. 연간 지도 계획 = 461
(1) 영역 Ⅰ : 도서관은 어떤 곳인가? = 462
(2) 영역 Ⅱ : 책 읽고 표현해요. = 463
(3) 영역 Ⅲ : 정보 찾아 헤매기 = 464
(4) 영역 Ⅳ : 내가 직접 만들어 봐요. = 465
2. 지도의 실제 = 465
(1) 주제 1 : 책과 도서관의 유래 및 역사 알기 = 465
(2) 주제 2 : 자료의 분류와 저자기호 알기 = 467
(3) 주제 3 : 도서관 이용 방법 알기 = 470
(4) 주제 4 : 나의 독서 계획 세우기 = 474
(5) 주제 5 : 내가 만든 짧은 동화 = 476
(6) 주제 6 : 비유 퍼즐 만들기 = 479
(7) 주제 7 : 캐릭터 그리기 = 482
(8) 주제 8 : 독서를 통해 만난 위대한 인물 = 484
(9) 주제 9 : 나와 책 속의 인물 비교 한마당 = 486
(10) 주제 10 : 책 광고문 만들기 = 488
(11) 주제 11 : 수학을 재미있게 공부해 보자. = 490
(12) 주제 12 : 저자와의 대화 = 492
(13) 주제 13 : 위대한 미술가를 찾아 떠난 여행 = 494
(14) 주제 14 : 여행을 떠나요. = 497
(15) 주제 15 : 나의 적성과 장래 직업 = 499
(16) 주제 16 : 도서관 관련 명언과 감명 깊은 구절 = 501
(17) 주제 17 : 우리 학교도서관을 신문 광고에 올려 보자. = 503
6.3 고등학교 = 505
6.3.1 교과서와 수업지도안 = 505
1. 독서·도서관 영역 = 505
(1) 교과서 16단원 : 우리 학교 축제 = 506
(2) 수업지도안의 예시 = 513
2. 교과학습 연계영역(자기 주도적 학습 영역) = 515
(1) 교과서 24단원 : 응급 처치법(기술·가정) = 516
(2) 수업지도안의 예시 = 524
3. 일상생활 연계영역 = 527
(1) 교과서 15단원 : 우리나라의 전통 민속놀이 = 527
(2) 수업지도안의 예시 = 536
6.3.2 교재 연구 및 지도의 사례 = 538
1. 연간 지도 계획 = 538
2. 지도의 실제 = 538
1) 정보과제해결 6단계 지도 = 538
(1) 정보 활용 수업 1 = 540
(2) 정보 활용 수업 2 : 1·2단계 적용 = 541
(3) 정보 활용 수업 3 : 3·4단계 적용 = 544
(4) 정보 활용 수업 4 : 5·6단계 적용 = 545
2) 도서관 활용 협동수업 = 547
(1) 도덕 교과 = 548
(2) 문학 교과 = 553
(3) 영어 교과 = 556
(4) 기술·가정 교과 = 558
찾아보기 = 563
서평 (0 건)
*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. 한글 기준 10자 이상 작성해 주세요.
서평추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