목차 일부
목차
제1장 교육공학의 과학적 연구
1.1 정보 사회와 교육 = 3
(1) 정보 사회 = 3
(2) 교육 = 4
1.2 교육공학의 발전과 정의 = 6
(1) 시각 교육 = 6
(2) 시청각 교육 = 7
(3) 시청각 교육 통신 = 8
(4) 교수 공학 = 9
(5) 교육공학 = 10
1.3 과학적 연구의 목적 = 13
(...
목차 전체
목차
제1장 교육공학의 과학적 연구
1.1 정보 사회와 교육 = 3
(1) 정보 사회 = 3
(2) 교육 = 4
1.2 교육공학의 발전과 정의 = 6
(1) 시각 교육 = 6
(2) 시청각 교육 = 7
(3) 시청각 교육 통신 = 8
(4) 교수 공학 = 9
(5) 교육공학 = 10
1.3 과학적 연구의 목적 = 13
(1) 기술의 목적 = 14
(2) 설명의 목적 = 14
(3) 예측의 목적 = 15
(4) 통제의 목적 = 15
1.4 연구 방법 = 15
(1) 기술적 연구 방법 = 16
(2) 실험적 연구 방법 = 17
(3) Q 방법론 = 19
(4) 통합 연구 방법 = 20
제2장 교수-학습의 이론적 기초
2.1 행동주의 학습 이론 = 25
1. 기본 개념의 이해 = 25
(1) 고전적 조건형성 이론 = 25
(2) 조작적 조건형성 이론 = 26
(3) 사회적 학습 이론 = 27
2. 수업 방법에 주는 시사점 = 28
2.2 인지주의 학습 이론 = 29
1. 기본 개념의 이해 = 29
(1) 형태심리학과 통찰학습, 장이론 = 30
(2) 정보처리 이론과 신경망 이론 = 31
(3) 발견학습 이론과 설명적 수업 이론 = 31
2. 수업 방법에 주는 시사점 = 33
2.3 구성주의 학습 이론 = 34
1. 기본 개념의 이해 = 34
(1) 객관주의와 구성주의 학습 이론 = 35
(2) 인지적 구성주의와 사회적 구성주의 학습 이론 = 36
(3) 구성주의 학습 이론과 교수설계 이론 = 38
2. 과제 중심의 교수-학습 방법 = 39
(1) 인지적 도제 학습 방법 = 40
(2) 앵커드 수업 이론 = 46
(3) 인지적 유연성 이론 = 47
(4) 문제 중심 학습 방법 = 47
(5) 프로젝트 접근법 = 49
3. 수업 방법에 주는 시사점 = 51
제3장 교육매체와 수업
3.1 교육매체와 수업 과정 = 57
1. 교육매체의 종류와 특성 = 57
(1) 전통적인 교육매체 = 57
(2) 정보기술을 이용한 교육매체 = 59
2. 수업 과정과 매체의 활용 = 61
(1) 수업 매체의 통신 과정 = 61
(2) 수업 매체의 선택 요인 = 64
(3) 수업 매체의 활용 = 65
3.2 교육매체의 제작 = 67
1. 멀티미디어의 기초 = 67
(1) 문자 = 67
(2) 그림 = 68
(3) 소리 = 68
(4) 동영상 = 69
(5) 애니메이션 = 70
2. 교육매체의 제작 과정 = 70
(1) 제작 목적의 수립 = 70
(2) 학습 내용의 조직화 = 72
(3) 학습 전략 개발 = 75
(4) 학습 흐름도 및 스토리보드 작성 = 83
(5) 저작 및 지침서 작성 = 84
(6) 평가 및 수정 = 86
3.3 웹 기반의 사이트 개발 = 86
1. 웹 기반의 교육 = 86
2. 웹 사이트의 개발 = 88
(1) 화면 설계와 구성 요소의 결정 = 88
(2) 컨텐츠의 개발 = 89
(3) 웹 서버에 올리기 = 93
(4) 관리 및 갱신 = 93
제4장 교육자원정보센터와 수업 환경
4.1 초ㆍ중등학교의 교육자원정보센터 = 97
1. 네트워크의 구성 = 97
(1) 기본적인 구성 요소 = 98
(2) 네트워크의 체계 = 99
2. 공간 구성의 사례 = 99
(1) 인천부광초등학교 = 100
(2) 부산 충렬여자중학교 = 100
(3) 서울 경신고등학교 = 101
3. 정보시스템의 구성 = 102
(1) CD-NET 시스템 = 103
(2) 원문정보 시스템 = 106
(3) VOD 시스템 = 107
(4) e-Book 시스템 = 110
4.2 시ㆍ도교육청의 교육자원정보센터 = 113
1. 부산광역시교육청의 정보화 현황 = 113
2. 목표 시스템과 소프트웨어의 구성 체계 = 115
(1) 목표 시스템 = 115
(2) 시스템 소프트웨어의 구성과 규격 = 115
(3) 서버용 웹 프로그램과 클라이언트 프로그램 = 117
3. 교수-학습 자료의 구축 = 119
(1) 학습 네비게이션 정보 구축 = 119
(2) 교수-학습 자료의 DB 동기화 = 121
4. 통합검색 시스템 = 121
(1) 기본 기능 = 121
(2) 정보검색 시스템의 구성 = 123
(3) 분산통합 검색 = 125
(4) 교수-학습 자료 DB 검색 = 126
5. 홈페이지 및 e-Book의 제작 = 127
(1) 홈페이지 제작기 = 127
(2) e-Book 제작기 = 127
제5장 수업의 과정과 방법
5.1 교수설계 = 133
5.2 수업 과정과 준비 = 140
(1) 수업의 전개와 기술 = 140
(2) 수업지도안 = 143
5.3 수업 방법 = 145
(1) 강의법 = 145
(2) 토의ㆍ토론법 = 145
(3) 문답법 = 146
(4) 문제해결법 = 147
(5) 프로젝트법 = 147
(6) 협동교수법 = 147
(7) 발견학습법 = 148
(8) 협동학습법 = 148
(9) 의사 결정법 = 149
(10) 시범 학습법 = 149
5.4 연구 수업 = 150
(1) 개념과 목적 = 150
(2) 추진 과정과 방법 = 150
제6장 정보문제해결 중심의 수업기법
6.1 과제 중심의 정보이용교육 = 155
(1) 한국교육학술정보원 = 155
(2) 미국 사서교사협회 = 156
(3) 미국 워싱턴주 교육청 = 158
(4) Big Six = 159
6.2 정보문제해결과 정보이용과정 = 161
(1) 정보과제 정하기 = 161
(2) 정보요구 파악하기 = 162
(3) 정보 탐색하기 = 162
(4) 정보 분석하기 = 162
(5) 정보 종합하고 표현하기 = 163
(6) 정보이용과정 되돌아보기 = 164
6.3 새로운 수업기법인 Top456접근법 = 165
1. Top456접근법의 개발과 논리 = 165
2. Top456접근법의 예시 = 171
(1) 초등학교 = 171
(2) 중학교 = 174
(3) 고등학교 = 177
6.4 정보문제해결과 수행평가 = 179
1. 개념과 의의 = 179
2. 수행평가틀 = 180
(1) 나의 정보과제 기록표 = 180
(2) 나의 정보과제 점검표 = 182
(3) 정보과제(문제)해결 평가 기준표 = 185
3. 수행평가 방법 및 예시 = 187
(1) 연구 보고서법 = 188
(2) 실기ㆍ실습법 = 189
(3) 서술형 및 논술형 검사법 = 189
(4) 포트폴리오법 = 190
(5) 자기 평가 보고서법 = 191
(6) 찬반 토론법 = 192
(7) 관찰법 = 193
(8) 구술 시험 및 면접법 = 194
부록 = 201
찾아보기 = 225
서평 (0 건)
*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. 한글 기준 10자 이상 작성해 주세요.
서평추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