목차 일부
목차
제1장 왜 세대인가
1. 세대: 역사적 행위자, 시대적 산물, 이해관계적 기획물 = 15
2. 세대논의의 범위와 논제 = 19
3. 한국 현대사와 세대지형 = 31
제2장 베이비 붐 세대의 문화와 세대경험
1. 베이비 붐 세대: 그들은 누구인가 = 37
2. 베이비 붐 세대의 역사ㆍ사회적 경험 = 47
3. 베이비 붐 세대의 정체성 조망 =...
목차 전체
목차
제1장 왜 세대인가
1. 세대: 역사적 행위자, 시대적 산물, 이해관계적 기획물 = 15
2. 세대논의의 범위와 논제 = 19
3. 한국 현대사와 세대지형 = 31
제2장 베이비 붐 세대의 문화와 세대경험
1. 베이비 붐 세대: 그들은 누구인가 = 37
2. 베이비 붐 세대의 역사ㆍ사회적 경험 = 47
3. 베이비 붐 세대의 정체성 조망 = 54
1) 과밀과 과잉의 통과의례 = 54
2) 유신세대, '좌절한 진보주의자' = 61
3) 상대적 빈곤의 심화와 고실업사회 진입의 희생자 = 70
4. 베이비 붐 세대의 경험 비교: 미국과 한국 = 76
1) 가치관의 전복과 개인주의의 제도화: 미국 베이비 붐 세대의 경험 = 76
2) 전통과 근대성 사이의 긴장과 곡예: 한국 베이비 붐 세대의 경험 = 86
5. 맺음말 = 97
제3장 386세대의 문화와 세대경험
1. 왜 '386세대'인가 = 101
2. 386세대: 그들은 누구인가 = 104
3. 386세대의 역사적 시간과 집단경험 = 107
1) 열망의 시대: 박정희의 아이들(1) = 107
2) 긴장의 시대: 박정희의 아이들(2) = 111
3) 분출의 시대: 신군부의 도전자들 = 118
4. 386세대의 문화(1): 저항의 가치와 행위양식 = 123
1) '관념'의 민중주의 = 123
2) 자생적 반미주의와 교조적 반미주의 = 127
3) 비판적 공동체주의 = 134
5. 386세대의 문화(2): 적응의 가치와 행위양식 = 138
1) 저항적 권위주의와 과잉정치화 = 138
2) 유연적 전통주의 = 142
3) 적응적 모험주의 = 144
4) 연고적 집합주의의 재생산 = 145
6. 맺음말 = 146
제4장 N세대의 문화와 세대경험
1. 왜 N세대에 주목하는가: Made in 20 = 151
2. N세대: 그들은 누구인가 = 154
3. N세대 출현의 거시변동과 미시적응 = 165
1) 정보화의 사회변동 = 165
2) N세대의 정보 일상화 = 169
3) 디지털 환경의 등장과 정체성의 형성과 변화 = 174
4. N세대의 문화성향 = 177
1) 따로 또 같이의 정체성 = 177
2) 기성세대의 사회질서 거부 = 183
3) 네트워크화된 개인주의와 매니아 성향 = 187
5. 맺음말 = 190
제5장 결론: 세대문제와 세대통합의 전망
1. 세대문제의 구조와 쟁점 = 195
2. 베이비 붐 세대, 386세대, N세대와 정치ㆍ문화적 세대문제 = 198
3. 거대전환의 사회변동과 세대통합의 전망 = 205
참고문헌 = 213
서평 (0 건)
*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. 한글 기준 10자 이상 작성해 주세요.
서평추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