목차 일부
목차
서문 = 3
1장 여성노동자의 작업장 생활과 성별 분업: 1970년대 제조업을 중심으로 = 15
1. 문제제기 = 15
2. 연구방법과 구술사례의 특징 = 19
3. 여성의 직업선택과 직무분리 = 20
1) 가사노동 연장으로서의 공장노동의 선택 = 20
2) 직업훈련기관의 성별 분리 모집 = 24
3) 성희롱과 직업선택의 제약 = 27...
목차 전체
목차
서문 = 3
1장 여성노동자의 작업장 생활과 성별 분업: 1970년대 제조업을 중심으로 = 15
1. 문제제기 = 15
2. 연구방법과 구술사례의 특징 = 19
3. 여성의 직업선택과 직무분리 = 20
1) 가사노동 연장으로서의 공장노동의 선택 = 20
2) 직업훈련기관의 성별 분리 모집 = 24
3) 성희롱과 직업선택의 제약 = 27
4. 성별 직무분리와 노동과정의 특성 = 29
1) 노동과정과 숙련의 형성 = 29
2) 성적 위계에 의한 가부장적 통제 = 32
3) 성별 임금격차와 저임금 = 36
5. 가사노동과 여성노동의 성격 = 40
6. 맺는 말 = 47
2장 70년대 여성노동자의 정체성 형성과 노동운동 = 53
1. 서론 = 53
1) 문제제기 = 53
2) 선행연구와 연구방법 = 53
2. 노동자로서의 정체성 형성: 성과 계급 정체성간의 갈등과 조화 = 58
1) 전통적인 성 정체성과 여성노동자 = 58
2) 노동자로서의 정체성 형성과 성 정체성 변화 = 66
3. 여성주도 노동운동의 특성 = 75
1) 노동운동을 주도하는 여성노동자 = 76
2) 성분리주의를 넘어선 여성노동운동 = 80
4. 70년대 여성노동운동의 의미와 평가 = 85
5. 결론 = 88
3장 작업장 이데올로기와 노동자들의 상징적 저항: 1960~70년대를 중심으로 = 95
1. 문제제기 = 95
2. 이론적 논의 = 97
1) 감정구조 = 97
2) 작업장, 이데올로기, 저항 = 99
3. 분석방법 = 101
1) 수기를 통한 텍스트 분석 = 101
2) 구술방법 = 101
4. 작업장 상황과 주체의 존재조건 = 102
5. 작업장과 이데올로기적 통제 = 104
1) 사회적 지배담론 = 105
2) 잔여적 담론들 = 115
6. 노동자들은 저항했는가? = 123
1) 일상의 재조직 = 123
2) 유흥적 의례와 집합적 정체성 = 126
4장 1970년대 기업복지와 여성노동자의 대응 = 113
1. 서론 = 133
2. 논의의 배경과 분석틀 = 137
1) 70년대 기업복지의 성격과 수준 = 137
2) 연구방법 = 140
3. 기업복지와 여성노동자의 인식 = 141
1) 생활의 불편을 해소해 주는 편리한 제도 = 142
2) 사기를 진작시키는 제도 = 144
3) 사용자의 따뜻한 배려의 결과 = 147
4) 노동자 통제기제 = 150
5) 생산력 향상과 노동력 창출을 위한 수단 = 153
4. 기업복지와 여성노동자의 대응 = 156
1) 협력과 헌신 = 156
2) 적응과 순응 = 160
3) 도전과 저항 = 162
5. 결론 = 166
5장 작업장통제전략으로서의 공장새마을운동: 성과와 한계 = 173
1. 문제제기 = 173
2. 공장새마을운동의 전개 = 175
3. 경영혁신운동으로서의 공장새마을운동 = 181
4. 경영혁신운동에서 경영근대화운동으로 = 182
1) 인적자원 이념의 강조 = 184
2) 고임금체제 지향과 실질적 복지 개념의 등장 = 186
3) 기업의 사회적 책임론 = 187
5. 공장새마을운동의 내적 모순 = 189
1) 자발적 참여와 억압적 통제 = 189
2) 합리적 노사관계와 억압적 현실 = 191
3) 개인주의와 공동체 이념의 충돌 = 192
6. 결론 = 194
6장 1970년대의 산업선교 활동과 특징: 2세대 산업선교 실무자들을 중심으로 = 199
1. 서론 = 199
2. 인물들에 대한 약술 = 201
3. 70년대 산업선교의 활동: 제2세대를 중심으로 = 205
1) 인천 산선의 경우 = 205
2) 영등포 산선의 경우 = 209
4. 1970년대의 산업선교 성격에 관한 토론 = 216
1) 1970년대의 산업선교와 노동운동 = 216
2) 한국의 개신교는 산업선교를 적극적으로 지원했는가? = 218
3) 1970년대의 산업선교는 충분히 평신도, 노동자 중심적이었는가? = 220
4) 1980년대의 노동운동과 산업선교의 자기 방향에 대한 고민 = 222
5) 조직적 탄압 속에서 용공으로 몰린 평신도 지도자들 = 223
6) 산업선교는 주요 민주노동조합에 어느 정도 영향을 끼쳤을까? = 227
5. 결론 = 230
7장 병영국가 대한민국에서의 군대체험과 노동계급 형성 = 233
1. 들어가는 말 = 233
2. 한국 사회의 군사화와 병영국가의 성립 = 235
1) 군사화의 기반 = 235
2) 1968년의 위기와 병영국가화 = 237
3. 한국 남성의 군대체험과 근대적 인간형의 창출 = 243
1) 공장체제와 근대적 인간으로서의 노동자 = 243
2) 국민기초교육과 군대 = 244
3) 군대와 기술인력 양성 = 246
4) 이데올로기 교육장으로서의 군대 = 249
4. 맺음말 = 253
8장 1970년대 '노동시'의 한 양상: 정희성(鄭喜成)의 시를 중심으로 = 259
1. 서론 = 259
2. 정희성 시의 지식인적 면모와 시적 형상 = 265
3. 정희성의 '노동시'적 성격과 「저문 강에 삽을 씻고」의 의의 = 274
4. 결론 = 282
서평 (0 건)
*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. 한글 기준 10자 이상 작성해 주세요.
서평추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