목차 일부
목차
책을 내며
Ⅰ. 들어가며
Ⅱ. 통과의례에 나타난 제 습속(諸習俗)의 상징성과 의미
1. 평생의례(平生儀禮)
1) 기자의례
기자암(祈子巖)과 석불의 코 = 9
수호의 상징 건(乾)명태 = 11
소금장수의 정력 = 13
2) 출산의례
상투·열쇠·짚단 = 14
바가지를 긁는 이유 = 15
금줄을 두르다 = 17
...
목차 전체
목차
책을 내며
Ⅰ. 들어가며
Ⅱ. 통과의례에 나타난 제 습속(諸習俗)의 상징성과 의미
1. 평생의례(平生儀禮)
1) 기자의례
기자암(祈子巖)과 석불의 코 = 9
수호의 상징 건(乾)명태 = 11
소금장수의 정력 = 13
2) 출산의례
상투·열쇠·짚단 = 14
바가지를 긁는 이유 = 15
금줄을 두르다 = 17
삼천갑자 동방삭의 왼새끼 = 19
3) 백일·돌의례
돌상(床)의 백설기와 수수경단 = 21
섣달 그믐날의 명실 태우기 = 23
신랑이 신부에게 먹여주던 국수 = 25
4) 관례·계례
머리를 올렸다 = 26
벼슬에 올랐다 = 28
5) 혼례
옛날에는 10년 차이가 이상형 = 29
해질 무렵의 혼례[행례시간(行禮時間] = 30
보자기에 싼 사내아이 '실거이' = 31
씨는 많을수록 좋다[포도·박·석류·연꽃] = 33
봉황의 자웅처럼 = 33
박쥐가 거꾸로 매달리는 이유 = 34
요강 속의 찹쌀 = 35
깨진 거울은 밝은 달과 같아서 = 36
반지에 대하여 = 38
모파상의 진주목걸이 = 41
함진애비의 검댕이 칠 = 42
대문 앞의 고추 불 = 44
씨앗으로 자라는 차나무 = 45
유물(蹂物)과 잿봉질 = 47
파란 부채 빨간 부채 = 48
검은 머리 파뿌리 되도록 = 48
대례상(大禮床)의 미나리 = 49
평생 짝을 바꾸지 않는 기러기 = 51
기러기아범의 붉은 옷 = 54
연지곤지와 면사포 = 58
신랑 4배(拜) 신부 2배(拜)의 수상징(數象徵) = 60
신랑은 동쪽 신부는 서쪽 = 62
석 잔 술의 합근례(合근禮) = 64
아이를 빨리 갖게 하는 대추 = 65
첫날밤의 촛불·음악 = 67
친영(親迎)과 가마 = 69
시어머니의 육포 = 74
청사초롱[청사등롱(靑紗燈籠)]과 신행(新行) = 75
장가들고 시집감[男娶女嫁]과 일부종사 = 79
닭의 날개 = 80
금(金)붙이 = 81
매듭과 베개, 그리고 신랑 다루기 = 81
6) 환갑의례
색동저고리와 홍색띠 = 83
헌화와 국화(菊花) = 84
남자는 두 번 여자는 네 번[환갑상과 절] = 85
7) 진갑의례
진갑상(進甲床)과 돌상(床) = 86
8) 상례
나간 혼을 부르는 고복(皐復) = 87
저승사자와 소금 = 88
영혼을 자유롭게 하는 동심결(同心結) = 91
일곱 개의 별 칠성판(七星板) = 92
저승길의 양식 반함(飯含) = 93
문지방의 바가지 = 93
죽은 자의 옷과 산 자의 옷[수의(壽衣)와 상복(喪服)] = 94
탄생과 죽음을 알리는 십자(十字) = 96
죄인의 상징 띠[질(질)] = 97
버드나무 지팡이와 오동나무 지팡이 = 98
다리 밑에서 주워온 아이와 산소 = 100
세살바기와 삼년상(三年喪) = 101
상(喪) 중의 부채 = 103
손각씨(孫閣氏)와 몽달귀신 = 103
9) 제례
제사(祭祀) 지낸다 = 107
신주(神主) 모시듯 = 110
아직도 지방(紙榜)을 쓰시나요 = 114
하늘과 땅의 상징 = 115
어두운 세상으로 간 사자(死者) = 116
신위를 모신 곳이 북쪽 = 117
향(香)·절·촛불 = 118
제(祭)보다 젯밥[제물] = 120
제사 때마다 월경이 온다 = 121
음의 음식은 짝수, 양의 음식은 홀수 = 123
임금을 뜻하는 대추, 삼정승을 뜻하는 밤 = 125
먼동이 틀 때[기제(忌祭)의 일시(日時)] = 129
정성이 중요한 시대[기제(忌祭)의 절차] = 130
숭늉 올리기 = 134
합문(閤門)과 계문(啓門) = 135
불의 생명력 소지(燒紙) = 135
음복(飮福)과 복받기 = 137
산신제의 제수 = 137
2. 세시의례(歲時儀禮)
1) 1월의례
닭모가지를 비틀어도 새벽은 온다 = 139
귀신 잡는 복숭아 나뭇가지 = 110
만복을 담는 복(福)조리 = 143
총각의 줄다리기 = 144
어머니의 다리[각(脚)] = 146
2) 2월의례
개구리 알 먹기 = 148
3) 3월의례
노랑나비 흰나비 = 149
강남 갔던 제비 = 150
너는 죽어 물이 되고 = 151
4) 5월의례
대추나무 시집 보내기와 도끼 = 152
창포와 익모초 = 155
쑥과 호랑이 = 156
봉숭아 물들이기 = 157
5) 8월의례
거북놀이 = 158
6) 12월의례
그믐날 해지킴 = 160
7) 기타의례
오색깃발 신장기(神將旗) = 162
나치스와 만(卍) = 163
마을지킴이 솟대 = 164
Ⅲ. 통과의례에 나타난 '3의 법칙'
1. 통과의례에 나타난 3의 양상
1) 출산의례
기자(祈子) = 170
해산(解産) = 171
산후(産後) = 172
2) 관례 = 172
3) 혼례
혼례식(婚禮式) = 173
신행(新行) = 173
4) 상례
초종(初終) = 174
습염(襲斂) = 175
발인(發靷) = 177
치장(治葬)[장례(葬禮)] = 177
흉제(凶祭) = 177
5) 제례 = 178
2. 통과의례에 나타난 3의 의미 생성 원리와 기능
1) '다(多)'의 의미로서의 3 - '중(中)'
지나치거나 모자람이 없다 = 181
운남성 빠이족은 '6'을 좋아한다 = 184
세 번 변하면 다 변한다 = 186
2) '음양(陰陽)의 합(合)'으로서의 3 - '화기(和氣)'
남쪽을 향해 피는 꽃 = 190
모든 예는 3으로 통한다 = 193
3) 통과의례에 나타난 3의 기능
삶의 문턱과 마디 = 195
죽음, 그 복락원(復樂園)에 대하여 = 198
Ⅳ. 마치며
찾아보기
서평 (0 건)
*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. 한글 기준 10자 이상 작성해 주세요.
서평추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