목차 일부
목차
머리말 = 3
1부 동북아 평화의 이론적 모색
1장 통일 환경과 통일정책의 변화: 대북정책의 변수와 조건을 중심으로 = 11
1. 서론 = 11
2. 통일 환경의 변화 = 13
3. 대북정책과 통일정책 = 24
4. 서독의 독일정책을 둘러싼 보ㆍ혁 갈등과 인식의 전환 = 35
5. 결론 = 41
2장 남북한 통합과 시민 정치교육 ...
목차 전체
목차
머리말 = 3
1부 동북아 평화의 이론적 모색
1장 통일 환경과 통일정책의 변화: 대북정책의 변수와 조건을 중심으로 = 11
1. 서론 = 11
2. 통일 환경의 변화 = 13
3. 대북정책과 통일정책 = 24
4. 서독의 독일정책을 둘러싼 보ㆍ혁 갈등과 인식의 전환 = 35
5. 결론 = 41
2장 남북한 통합과 시민 정치교육 = 45
1. 시민 정치교육의 필요성과 의의 = 45
2. 독일의 정치교육 = 48
3. 통일준비로서 정치교육 = 54
4. 시민 정치교육의 추진체계와 전략 = 65
3장 바이마르 공화국의 좌절과 교훈 = 69
1. 서론 = 69
2. 독일의 정치문화와 바이마르 공화국 체제 = 73
3. 바이마르 공화국의 전개와 붕괴요인 = 80
4. 바이마르 공화국의 교훈 = 86
5. 결론 = 91
4장 현대 민주주의의 쟁점과 과제: 입헌적 공론영역의 확대를 중심으로 = 96
1. 서론 = 96
2. 근대적 법의 정당성 = 101
3. 소통적 권력과 절차로서의 주권 = 107
4. 입헌적 공론 영역의 확장과 '차이'의 문제 = 114
5. 결론 = 122
5장 한국 정당의 여성 참여: 17대 총선과 여성 참여를 중심으로 = 126
1. 17대 총선과 여성 참여 = 126
2. 17대 총선을 통해 본 여성참여의 제도적 과제 = 129
3. 여성의 정치참여와 정당: 독일의 녹색당과 사민당의 사례 = 132
4. 한국 정치의 과제: '소통'의 정치 = 137
5. 여성 정치참여의 의미와 과제 = 142
6장 북핵문제와 동북아 다자안보체제 구축에 대한 일본의 입장 = 148
1. 머리말 = 148
2. 동북아 안보협력체제 구상 = 151
3. 다자간 안보체제와 일본 = 162
4. 결어 = 174
2부 동북아 평화를 위한 실천적 모색
1장 21세기 한반도 좌표와 평화정책 = 181
1. 평화정책의 비전과 목표 = 181
2. 평화정책의 형성과정 = 184
3. 민족의 화해를 위한 평화정책의 실천과 전략 = 190
4. 21세기 한반도 좌표와 평화 프로젝트 = 203
2장 이라크 파병 논쟁과 한반도 평화의 연계 전략 = 215
1. 파병과 6자회담 = 215
2. 동북아 평화번영과 6자회담 = 220
3. 평화의 모색 = 223
3장 동북아시아 미래의 비전과 젊은이 = 226
1. 하나의 동북아시아 = 226
2. 평화의 동북아시아 = 228
3. 젊은이의 동북아시아 = 230
4장 동북아시대, 불교의 허브 코리아 = 236
1. 21세기와 동북아 = 236
2. 동북아 중심국 구상의 배경 = 239
3. 동북아 중심국의 전략적 개념과 범위 = 241
4. 동북아시대 상부구조로서 불교의 허브 코리아 건설 = 250
5장 21세기, 변화, 여성 언론인의 역할 = 257
1. 전문 직업인으로서의 언론인 = 257
2. 여성 언론인의 위상과 역할 = 259
3. 21세기 여성 언론인의 비전과 전략 = 263
6장 21세기에 요구되는 불교적 정치인상 = 268
1. 21세기와 불교 = 268
2. 21세기 한국정치의 과제와 불교의 보살정신 = 271
3. 정치와 종교의 관계 = 275
4. 불교적 정치관과 불교적 정치인상 = 276
3부 삶과 평화
1장 보살정신과 미국 패권주의의 한계 = 289
2장 자기완성을 향한 소망 = 292
3장 대통령 선거와 유권자 = 295
4장 동북아 협력 틀로 일본 핵무장 막아야 = 298
5장 룡천의 아픔과 민족화해 단계의 새로운 차원 = 302
6장 부시 독트린과 북한의 핵 문제 = 307
7장 불교의 자비가 한반도 냉전의 빙벽을 녹일 때 = 311
8장 인류의 평화로운 미래를 위한 여성 불자의 역할 = 314
부록
1. 뉴욕 연설문
Women 2000: Gender Equality, Development and Peace for the twenty-first century = 321
2. OECD 연설문
Gender Mainstreaming: Competitiveness and Growth = 325
찾아보기 = 334
서평 (0 건)
*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. 한글 기준 10자 이상 작성해 주세요.
서평추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