목차 일부
목차
1. 글쓰기는 노동이다
글의 힘 = 18
글쓰기는 노동이다 = 19
Reading 콜럼버스여, 달걀 값 물어내라 = 22
상식에 도전하라 = 24
지식ㆍ구성력ㆍ문장력 = 26
분석하며 읽는 방법 = 29
독서의 내면화 과정 = 34
원리를 적용하는 연습 = 35
뛰어난 문장가도 벽에 머리를 찧는다 = 37
점검1ㆍ...
목차 전체
목차
1. 글쓰기는 노동이다
글의 힘 = 18
글쓰기는 노동이다 = 19
Reading 콜럼버스여, 달걀 값 물어내라 = 22
상식에 도전하라 = 24
지식ㆍ구성력ㆍ문장력 = 26
분석하며 읽는 방법 = 29
독서의 내면화 과정 = 34
원리를 적용하는 연습 = 35
뛰어난 문장가도 벽에 머리를 찧는다 = 37
점검1ㆍ2
알고 보면 쉬운 우리글/우리글은 소리글자입니다
2. 발상 : 관습적 해석에 저항하라
글쓰기 과정의 탐색 = 44
테마를 잡는 방법 = 46
Reading 간디의 물레 = 48
서술 전략 = 51
테마와 주제 = 53
구성적 아이디어 = 54
아이디어를 얻는 비결 = 59
발상 단계의 주의사항들 = 63
논제 속에 테마가 들어 있는 논술 문제 = 65
점검1ㆍ2
알고 보면 쉬운 우리글/'반듯이'와 '반드시'
3. 계획 : 설계도는 구체적으로 그린다
Reading 아날로그(analog)와 디지털(digital) = 72
설계도 짜기 = 75
자료가 중요하다 = 76
간략한 구성을 작성하는 단계 = 77
다양한 글감 만들기 = 80
브레인스토밍 = 86
분류 항목을 이용해 구성하라 = 93
글의 진행 방향 = 95
점검1
알고 보면 쉬운 우리글/'안'과 '않'이 헷갈려요
4. 구성1 : 세밀한 연쇄고리를 만들자
Reading 정녕 '문명충돌'인가 = 102
세밀한 연쇄고리들 = 104
비판과 해결책 = 107
논리적 배열 과정 = 109
제2 유형 = 110
점검1ㆍ2
알고 보면 쉬운 우리글/'되'가 맞아, '돼'가 맞아?
5. 구성2 : 구성은 흐름이다
구성은 구조가 아니라 구심력 = 118
구성은 논리적 흐름이다 = 120
문제 해결식 유형 = 121
현상 → 원인 →해결책 = 122
Reading 소득격차는 갈수록 벌어지는데 = 124
해결책의 제시 = 126
유형의 다양한 적용 = 129
점검1ㆍ2
알고 보면 쉬운 우리글/숟가락은 'ㄷ'받침인데 젓가락은 왜 'ㅅ'받침일까요?
6. 구성3 : 화제식 유형의 다양한 응용법
화제에 의미를 부여하라 = 144
Reading 오늘이 나의 마지막 날이라면 = 146
의미 부분은 직설적으로 써라 = 148
참신한 화제를 찾아라 = 150
독서를 통해 화제를 찾는 방법 = 151
〈화제 → 의미〉 유형의 응용 = 155
점검1
알고 보면 쉬운 우리글/'등굣길'은 맞는 표기일까요?
7. 구성4 : 나열식 유형의 다양한 응용법
Reading 게놈 지도의 得과 失 = 164
나열식 구성도 매력있게 만들 수 있다 = 166
나열식 유형의 변형 1 = 168
나열식 유형의 변형 2 = 173
전체 구성과 부분 구성 = 178
점검1ㆍ2
알고 보면 쉬운 우리글/띄어쓰기가 너무 어려워요
8. 서두 : 인상적으로 써라
Reading 미래는 인식의 대상이 될 수 있는가? = 188
마이너리티 리포트 = 190
서두의 기능 = 191
본문을 염두에 두고 서두를 작성하라 = 194
보편적인 화제를 이용한다 = 195
인용구의 활용 = 200
과제 제시형 서두쓰기 = 203
주제에 관한 개념을 서술하라 = 206
서두를 아주 쉽게 작성하는 요령 = 207
점검1ㆍ2
알고 보면 쉬운 우리글/띄어쓰기에서 나머지 두세 가지가 뭐죠?
9. 결말 : 영화의 엔딩신처럼 연출하라
Reading '고시 열풍'에 대한 처방 = 218
요약과 전망으로 끝맺는다 = 220
결말에 주장을 담는 네 가지 방식 = 221
결말을 쓰는 몇 가지 방법 = 224
점검1
알고 보면 쉬운 우리글/깨끗히? 깨끗이!
10. 글 한 편을 멋지게 써보자
Reading 사라진 꿈의 세계 = 236
아이디어는 무궁무진하다 = 239
테마와 주제가 결합한다 = 242
구체적인 계획을 세우자 = 244
글쓰기의 몇 가지 기본 전략 = 249
문장과 내용을 고쳐 멋진 글을 만든다 = 253
점검1
알고 보면 쉬운 우리글/띄어쓰기에서 주의해야 할 사소한 것
11. 단락 : 내 마음대로 만들 수 있다
Reading 군화와 고무신의 차이 = 260
중심 문장을 찾아라 = 262
주제문장과 뒷받침문장 = 265
단락의 기본 유형 = 267
단락의 응용 유형 = 274
뒷받침문장을 뒷받침하는 문장들 = 283
점검1
알고 보면 쉬운 우리글/말에서처럼 줄여 쓰면 안 되나요?
12. 문장1 : 일곱 가지만 알면 된다
Reading 젓가락의 미학 = 290
우리말 문장은 일곱 가지 = 293
일곱 가지 문장의 특성 = 293
문장 만드는 과정 = 298
점검1
알고 보면 쉬운 우리글/웬? 웬!
13. 문장2 : 바른 문장 쓰는 법
문법에 맞아야 좋은 문장이다 = 308
문장은 생각의 틀이다 = 308
좋은 문장의 비결 = 309
하나의 문장은 하나의 생각을 담는다 = 311
주어와 서술어는 반드시 일치해야 = 312
피동문을 조심하라 = 320
'-의'의 용법 = 324
'주어-서술어'의 연결 = 326
점검1
알고 보면 쉬운 우리글/외래어를 한글로 쓰기
전문이 인용된 예문의 출처 = 334
서평 (0 건)
*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. 한글 기준 10자 이상 작성해 주세요.
서평추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