목차 일부
목차
제1부 발달심리학의 기초 = 3
제1장 발달의 본질 = 3
1. 발달심리학의 의의 : 어떤 학문인가 = 3
2. 발달의 정의 : 과연 발달한다는 것은 = 4
3. 발달과 유사 용어들 : 그들은 발달과 어떤 사이 = 7
4. 발달의 종류 : 양적 변화와 질적 변화 = 8
5. 발달심리학의 영역과 기술방식 = 10
...
목차 전체
목차
제1부 발달심리학의 기초 = 3
제1장 발달의 본질 = 3
1. 발달심리학의 의의 : 어떤 학문인가 = 3
2. 발달의 정의 : 과연 발달한다는 것은 = 4
3. 발달과 유사 용어들 : 그들은 발달과 어떤 사이 = 7
4. 발달의 종류 : 양적 변화와 질적 변화 = 8
5. 발달심리학의 영역과 기술방식 = 10
1) 발달주제별 기술방식 = 10
2) 연령별 기술방식 = 12
6. 발달심리학의 연구목적 : 왜 아동발달을 배우는가 = 12
1) 기술(技術)과 설명(說明) : 기초심리학의 주요 연구목적 = 13
2) 예언(豫言)과 통제(統制) : 응용심리학의 주요 연구목적 = 14
7. 발달심리학의 연구 쟁점 : 발달에서의 갑을논박 = 16
1) 발달을 이끄는 근원적인 힘은 무엇인가 : 유전 대 환경 = 17
2) 발달의 주요 과정은 어떤 모습인가 : 연속성 대 불연속성 = 18
3) 발달의 속도는 왜 다른가 : 초기경험설 대 후기경험설 = 20
제2장 발달의 일반 원리 = 22
1. 발달에는 일정한 순서가 있다 : 우리는 이렇게 나아간다 = 22
2. 발달 속도는 일정하지 않다 : 누구는 누구보다 = 24
3. 발달에는 민감기가 있다 : 다 때가 있는 법 = 25
4. 발달은 유전과 환경의 상호작용 결과 : 유전 환경 다 필요해 = 28
5. 발달은 점성 원리에 의해 진행된다 : 그 위에 또 그 위에 = 28
6. 발달의 각 특징들은 서로 밀접히 관계되어 있다 : 몸과 마음은 하나 = 30
제3장 발달심리학의 연구법 = 31
1. 과학적 연구 절차 = 32
2. 자료 수집 방법 = 35
1) 관찰법 : 몰래 카메라 하듯 = 35
2) 조사법 : 조사할 게 있으니 날 따라 오시오 = 36
3) 검사법 : 검사 결과가 좋게 나왔나요 = 39
4) 사례법 : 그런 사례도 있다니 = 40
5) 기타 연구법 = 41
3. 발달 연구의 접근방식 = 45
1) 횡단적 접근법 : 다른 연령 집단을 가로로 죽 펼쳐 보니 = 45
2) 종단적 접근법 : 같은 아이를 몇 년 쫓아가 보니 = 47
3) 계열적 설계 접근법 : 동시출생 효과를 위한 횡단과 종단의 결합 = 48
제2부 아동발달의 이론 = 53
제1장 성숙이론 = 53
1. 성숙이론의 발달관 = 53
2. 게젤(Gesell)의 성숙이론 = 54
1) 게젤이 주장한 인간의 발달 원리 : 예정된 규칙대로 = 54
2) 게젤의 발달 규준 : 개인차 진단에 관심 = 59
3. 몬테소리(Motessori)의 민감기 이론 = 61
1) 민감기 개념 : 우리에겐 많은 민감기가 있어요 = 61
2) 그녀의 업적과 시사점 = 62
4. 촘스키(Chomsky)의 언어생득 이론 = 63
5. 보올비(Bowlby)의 애착 이론 = 65
제2장 행동주의 이론 = 67
1. 고전적 조건이론 = 67
1) 조건반사와 인간의 행동 : 개가 침 흘리는 것이 왜 그렇게 중요한지 = 67
2) 행동주의의 시작 : 인간도 조건화되는가 = 69
3) 주요개념 = 70
2. 조작적 조건이론 = 73
1) 주요개념 = 73
제3장 사회학습 이론 = 79
1. 사회학습 이론의 발달관 = 79
2. 주요개념 = 80
1) 상호결정론 : 사람, 환경, 행동의 트리오 = 80
2) 자기 규제의 중요성 : 결국 난 내 효능감을 느끼고 싶은 게지 = 81
4. 관찰학습의 과정 = 83
1) 주의집중 과정 = 83
2) 파지과정 = 85
3) 운동재생 과정 = 86
4) 동기유발 과정 = 87
제4장 정신분석 이론 = 90
1. 프로이드의 인간관 = 90
2. 주요개념 = 91
1) 정신에너지 : 빙산의 일각 = 91
2) 성격의 구조 : 이드, 에고, 슈퍼에고의 전쟁 = 92
3) 불안 : 우리는 모두 불안하다 = 99
4) 심리성적 발달 단계 : 리비도의 수직적 발전 = 100
제5장 심리사회적 이론 = 109
1. 심리사회적 이론의 인간관 = 109
2. 주요개념 = 110
1) 심리적 위기 : 발달은 위기를 타고 = 110
2) 성격의 새로운 변화 : 여덟 번의 성장 = 111
제6장 인지 이론 = 116
1. 삐아제의 인지발달 이론(발생론적 인식론) = 116
1) 인지구조 : 한 단계씩 업 되는 = 117
2) 인지기능 : 이것으로 인지구조를 바꾼다 = 117
3) 발달 단계별 특징 = 118
2. 비고츠키의 사회문화적 인지이론 = 122
1) 사회문화적 인지이론의 발달관 = 122
2) 주요개념 = 123
제7장 생태학적 이론 = 128
1. 브론펜부르너의 생태학적 체계이론 = 128
1) 주요개념 = 128
2) 발달 과정의 의미 : 결국 발달은 생태학적 전환 = 133
2. 엘더의 생애발달 이론 = 134
1) 엘더의 생애발달 원리들 = 134
2) 엘더의 생애발달 이론의 의의 = 137
제3부 태내기 발달 = 141
제1장 생명의 시작 = 141
1. 수정과 관련된 유전학 = 142
2. 유전과 환경의 상호작용 모형 = 146
1) 반응범위 모형 = 146
2) 수로화 모형 = 147
3) 거래적 상호작용 모형과 유전가능비 = 148
3. 행동유전학 = 149
4. 유전상담 = 151
제2장 수정에서 출생까지의 발달 = 153
1. 난체기동안의 발달 = 153
1) 난체기 발달의 목표 : 나의 집 발견, 착상 성공 = 153
2. 배아기 동안의 발달 = 155
1) 배아기 발달 경향 : 이젠 제법 사람 같지 = 155
2) 지지 구조들의 발달 : 안전한 연결, 합체 성공 = 156
3) 배아기의 중요성 : 인간의 제 1결정기 = 156
3. 태아기 동안의 발달 = 157
1) 태아기의 의미 : 뼈가 생겼으니까 이제 나는야 진짜 태아 = 157
4. 태내 환경 = 158
1) 산모의 약물 섭취 : 우리 엄마가 약을 먹었다면 = 158
2) 산모의 질병 : 엄마와 함께 질병을 = 159
3) 산모의 정서 상태 : 여름밤 공포 체험, 그러나 임산부는 절대 금지 = 160
4) 산모의 영양 상태 : 당신 뭐 먹고 싶어? = 161
5) 산모의 연령 : 18살 엄마와 45살 엄마 = 162
6) 아빠의 영향 : 같은 성(姓) 위력 = 163
7) 그 밖에 다른 영향 : 몸도 마음도 언제나 삼가하고 = 164
제3장 출산 과정 = 165
1. 분만의 징후 = 165
1) 분만의 징후 : 엄마, 나 나가려는데요 = 165
2. 분만 과정 : 멀고도 험한 축복의 시간 = 167
1) 탯줄의 신비 : 헤어짐과 새로운 만남 = 168
2) 출산 과정의 문제 : 건강하게 나오너라 = 169
3. 조산 = 170
1) 조산의 문제점 : 너무 빨리 나왔나? 여기가 어디지? = 170
2) 조산아와 건강과의 관계 : 숨을 잘 못 쉴 것 같아 = 171
제4부 영아기 발달 = 175
제1장 신생아 발달 = 176
1. 신생아의 신체적 특징 = 176
1) 일반적인 외적 특징 : 좀 못 생겼네 = 176
2) 생리적 기능 = 177
3) 수면 : 먹고 자고, 자고 먹고 = 179
2. 신생아의 운동 기능 = 181
1) 반사행동의 의미 : 반사라고 무시하지 마세요 = 181
2) 반사의 종류 : 어떤 반사는 하고 있고 어떤 반사는 사라졌나 = 183
제2장 신체와 운동 발달 = 186
1. 신체 발달 = 186
1) 신장과 체중의 변화 : 제 1차 급등기의 위력 = 186
2) 근력과 골격의 변화 = 186
3) 치아 발달 = 188
2. 운동 발달 = 189
1) 운동 발달 경향 : 빙그르 돌고 깡총 뛰고 획 뒤집고 = 189
2) 협응 능력의 중요성 : 곤지곤지, 짝짝꿍, 도리도리 = 192
제3장 감각과 지각 발달 = 194
1. 감각 발달 = 194
1) 시각 발달 : 구백냥의 변화 = 194
2) 청각 발달 : 중간 음의 음악소리가 딱 좋아 = 194
3) 기타 감각 : 젖 냄새가 나는 걸 보니 가까이 엄마가 계시군 = 195
2. 지각 발달 = 196
1) 지각의 개념과 의미 = 196
2) 지각 발달의 연구방법 = 197
3) 지각 연구로 밝혀진 결과 : 웃는 사람 얼굴이 제일 좋아 = 199
4) 삼차원 지각 능력의 발달 : 입체감의 매력 = 200
5) 선택적 주의력 발달 : 이 쪽을 봐야지 = 202
제4장 신경계와 두뇌 발달 = 205
1. 신경계 발달 = 205
1) 뉴런의 구조와 역할 : 생김새는 달라도 있을 것은 다 있지 = 206
2) 뉴런의 기능 : 뉴런은 자극을 어떻게 전달하나 = 207
3) 신경전달물질의 기능 : 그래서 애들은 커피를 마시면 안된다고 하구나 = 208
4) 신경계의 가소성 : 어릴수록 더 많이 더 빨리 발달하고 = 210
2. 두뇌 발달 = 211
1) 전뇌와 인간 행동 : 짱구들이 발달된 머리 = 211
2) 중뇌와 인간 행동 : 전뇌와 후뇌 사이 = 213
3) 후뇌와 인간 행동 : 뒷골이 하는 일 = 214
4) 두뇌의 편재화 : 좌반구와 우반구 중 어느 쪽이 더 센가 = 215
5) 영아기의 두뇌 발달의 의미 = 219
6) 두뇌 발달과 환경의 영향 = 222
제5장 인지 발달 = 223
1. 지능 발달 = 223
1) 심리측정적 접근으로 본 영아기 지적 특징 = 223
2) 인지발달 이론으로 본 영아의 지적 특징 = 225
2. 언어 발달 = 229
1) 영아기동안의 언어 발달 과정 : 쿠잉에서 수동태까지 = 230
2) 영아기 언어 교육과 활동 = 237
제6장 사회-정서 발달 = 240
1. 정서 발달 = 240
1) 정서 발달 연구의 의미와 한계 = 240
2) 영아기의 정서 발달 경향 = 241
3) 정서 관련 연구결과와 시사점 = 243
2. 기질 발달 = 245
1) 기질의 개념 : 큰 애는 안 그런데 둘째는 까탈스러워서요 = 245
2) 기질에 관한 연구 결과 : 고약한 기질은 뜯어고쳐야 한다고? = 246
3) 그 외의 기질 모형과 특징 = 248
4) 기질 연구의 제언 = 249
3. 애착 발달 = 250
1) 애착의 유형 : 엄마가 없으면 난 = 251
2) 애착 이론 : 애착을 가능하게 하는 요인은 = 253
3) 애착 발달의 과정 = 259
4. 놀이 발달 = 260
1) 놀이의 의미 = 260
2) 영아기 놀이 형태 = 261
5. 성격 발달 = 263
1) 영아기 성격에 대한 논란 : 영아기 특유의 성격이 있는가 = 263
2) 프로이드가 본 영아기 성격 = 264
3) 에릭슨이 본 영아기 성격 = 265
제5부 유아기 발달 = 271
제1장 신체와 운동 발달 = 271
1. 신체 발달 = 271
1) 유아기 일반적인 신체 변화 = 271
2) 골격의 변화 : 진짜 나이와 뼈 나이 = 272
3) 두뇌의 성장 : 뇌는 이제 거의 어른 수준 = 273
2. 운동 발달 = 275
1) 대근육 운동 : 벌떡 일어나 데구르 구르고 = 275
2) 소근육 운동 : 내 취미는 벽에다 화려하게 낙서하기 = 278
3) 자조기술의 발달 : 혼자서도 잘해요 = 279
제2장 인지 발달 = 281
1. 인지발달 이론으로 본 지적 특징 = 281
1) 상징적 사고의 시작 : 엄마 아빠 놀이하기 = 281
2) 자기중심성 : 나의 생각이 곧 너의 생각 = 282
3) 직관적 사고 : 똑같은 건 알겠어요. 그런데 이거 먹을래요 = 284
4) 물활론 : 빗방울아! 올 때 조심해서 천천히 울지 말고 내려와 = 286
5) 인공론 : 눈은 하느님이 만들어서 냉장고에서 꺼내서 내려주는 거야 = 289
6) 목적론 : 해는 내가 유치원에 가라고 반짝거리는 거야 = 289
7) 전환적 추론 : 엄마, 아빠, 숙제 잘할 테니까 싸우지 마셔요 = 291
8) 실재론 : 생각이란 말랑말랑 푹신푹신 스폰지 같은 것 = 291
2. 기억발달 = 292
1) 기억 모델로 본 기억 = 293
2) 유아기 기억발달의 경향 = 297
3. 언어 발달 = 299
1) 유아기 언어 발달의 의미 = 299
2) 유아기 언어 교육의 구체적 방략 = 301
제3장 사회-정서 발달 = 307
1. 사회인지 발달 = 307
1) 사회인지의 개념 : 나를 알고 너를 알면 백전 백승 = 307
2) 자기인지의 발달 : 내가 나를 모르는데 넌들 나를 알겠느냐 = 308
3) 자아통제력의 발달 : 나를 이기는 길, 참아야 되느니라 = 317
2. 성역할 발달 = 323
1) 성유형화 개념 : 인간이 되기 전에 남자 여자 되기 = 323
2) 성역할 발달 이론 : 남자와 여자의 성 역할은 왜 다른가 = 325
3) 성역할에 대한 새로운 시각 : 심리적 양성성 = 332
3. 가족관계의 발달 = 335
1) 부모의 양육태도 = 335
2) 형제자매 관계 = 340
제6부 아동기 발달 = 345
제1장 신체와 운동 발달 = 345
1. 신체 발달 = 345
1) 아동기 신체 변화의 특징 = 345
2) 신체 부위별 발달 경향 = 346
2. 운동 발달 = 348
1) 대근육 운동 발달 : 나는야 우리 반 이천수 = 348
1) 소근육 운동 발달 : 나는야 우리 반 장한나 = 349
제2장 인지 발달 = 351
1. 인지발달 이론으로 본 아동기 지적 특징 = 351
1) 논리적 사고 : 동일성, 상보성, 반환성의 조화 = 351
2) 탈 중심적 사고 : 이제는 넘어지면 인상 관리 = 358
2. 기억 발달 = 358
1) 기억의 중요성 : 기억을 못~하면 공부를 못∼해요. 아! 얄미운 기억 = 358
2) 아동의 지식기반의 종류 : 우리 머리 속에 있는 기억들 = 359
3) 상위기억의 발달 : 기억을 위한, 기억에 의한, 기억에 대한 기억 = 363
4) 학업을 위한 기억관리 능력 = 367
3. 지능 발달 = 373
1) 고전적 지능이론(심리측정적 접근) = 373
2) 최근의 지능이론(대안적 지능이론) = 381
3) 지능 검사 : 지능이 있다는 어떻게 잴 것인가 = 390
4. 상위인지 발달 = 392
1) 상위인지 개념 : 내 생각에 대해 생각하는 나의 생각들 = 392
2) 상위인지 촉진 방법 : 이렇게 상위인지를 높이자 = 394
5. 인지양식의 발달 = 395
1) 인지양식의 유형 = 395
2) 인지양식 측정 검사와 결과 = 398
6. 사회인지 발달 = 401
1) 아동기 사회인지 발달 경향 = 401
2) 귀인 능력의 발달 = 408
제3장 사회-정서 발달 = 411
1. 성취동기 = 411
1) 동기의 의미 : 날로 나아지는 것의 즐거움 = 411
2) 학업 동기의 유형 이루기 위해서와 실패하지 않으려고 = 413
3) 동기 유형과 학업 : 시켜서와 하고싶어서에 따르는 성적 차이 = 417
2. 학업 불안 = 419
1) 불안의 의미 : 너무 떨려서 시험지가 하얗게 보이더라 = 419
2) 불안의 근원 : 불안이 살고 있는 고향은 = 421
3) 불안 관리전략 : 줄여보자 과잉 불안, 높여보자 낮은 불안 = 422
3. 도덕성 발달 = 423
1) 이론을 통해 본 도덕성 = 424
2) 도덕 발달의 영향 요인 = 428
4. 학습된 무력감 = 431
1) 학습된 무력감을 낳은 실험 = 432
2) 실험 결과와 함의 : 어차피 안될 텐데 뭐하러 해요 = 433
5. 포부수준 = 434
1) 포부수준의 의미 : 여기까지는 할 수 있겠다 = 434
2) 포부수준 발달의 연구결과들 = 436
6. 공격성 발달 = 437
1) 이론을 통해 본 공격성 : 공격은 보편적인 것인가, 개인적인 것인가 = 438
2) 공격성 발달 경향 : 공격성은 어떻게 변하는가 = 444
제4장 생태학적 맥락과 발달 = 446
1. 교사와의 관계 = 446
1) 교사의 중요성 : 믿어주는 만큼 실제로 된다 = 446
2) 자기충족적 예언의 시사점 = 447
2. 또래 관계 = 449
1) 또래 관계의 중요성 : 친구 따라 강남 갈 준비 = 449
2) 또래의 기능 : 친구가 있다는 건 = 450
3) 우정 개념의 변화 : 이것이 진정한 친구, 최소한 친구라면 = 451
4) 사회적 기술력의 발달 : 스타와 밉상 = 452
서평 (0 건)
*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. 한글 기준 10자 이상 작성해 주세요.
서평추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