목차 일부
목차
머리말 = 4
제1부 성찰과 사유
동시대 한국시와 비판적 패러다임의 형성 = 13
서정적 주체의 문학사회학적 의미 = 23
탈북자 문제의 소설사회학 = 36
비평교육의 '비평적 교육'을 위한 제언 = 55
문학과 공간 = 69
제2부 고은을 위한 에세이
발견과 여정 = 91
민족주의와 '세계언어' = 115
'고은'이...
목차 전체
목차
머리말 = 4
제1부 성찰과 사유
동시대 한국시와 비판적 패러다임의 형성 = 13
서정적 주체의 문학사회학적 의미 = 23
탈북자 문제의 소설사회학 = 36
비평교육의 '비평적 교육'을 위한 제언 = 55
문학과 공간 = 69
제2부 고은을 위한 에세이
발견과 여정 = 91
민족주의와 '세계언어' = 115
'고은'이라는 타자 = 124
제3부 자본의 시간들
시간의 경계를 넘어가는 나귀의 노래 / 김수복 = 141
내 안의 문제와 밖의 문제 / 한명희 = 149
우울한 자기이해와 기억의 존재론 / 장대송 ; 조진태 = 154
환멸의 일상성과 '푸르른 그리움' / 정철훈 = 163
생의 '시원적 극복' 가능성 / 박성우 ; 정병근 = 173
시가 우리를 더 불안하게 할 수 있을까 / 이재무 ; 박형준 = 184
사유의 공간으로 전환된 시간에 대하여 / 김선태 ; 박완호 = 194
낡아가는 시간의 풍경들 / 김수우 ; 전동균 = 202
'이토록 불안한 시간'에 대한 응시 / 조용미 ; 조정인 = 210
사막 아래서 명상하기 / 박해석 ; 함민복 ; 천양희 = 220
소리와 침묵 / 길상호 = 230
왜 추억을 노래하는가 = 238
낭만적 서정성의 존재방식 = 245
'비루하나 치명적인' 저 자본의 시간 = 252
제4부 의식의 공간
유폐적 자의식의 공간성 / 윤동주「흰 그림자」 = 263
시와 원근법 / 서정주「영산홍」 = 270
정신주의 시의 한 좌표 / 신동엽 문학의 의미망 = 274
풍경과 서사 / 신경림「대설전」 = 288
눈물의 힘 / 정호승「서울의 예수」 = 293
시와 불행의식 / 이상국「영덕에서 개와 싸우다」 = 298
자기동일성에 관한 의식의 교활한 분열 / 여태천「제목 없는 책」 = 304
저 낡고 부드러운 껍질의 삶 / 장석원「동방의 서점에는」 = 312
제5부 흔적과 여백
시간과 기억의 그림자 = 325
이미지, 혹은 삶의 남루함에 대한 증좌 = 334
어떤 시간에 대한 단상 = 341
20세기 한국문학사의 궤적 = 351
서평 (0 건)
*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. 한글 기준 10자 이상 작성해 주세요.
서평추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