목차 일부
목차
머리말 = 5
Ⅰ. 조선 후기의 철학사상 = 9
1. 사회ㆍ역사적 조건과 철학적 특징 = 9
1) 사회ㆍ역사적 조건 = 9
2) 철학사상의 특징 = 16
2. 정주학의 몰락 = 26
1) 정주학 내부의 '예론' 논쟁 = 26
2) 김장생의 예론과 성리학 = 28
3) 송시열의 관념론과 정치사상 = 32
4) ...
목차 전체
목차
머리말 = 5
Ⅰ. 조선 후기의 철학사상 = 9
1. 사회ㆍ역사적 조건과 철학적 특징 = 9
1) 사회ㆍ역사적 조건 = 9
2) 철학사상의 특징 = 16
2. 정주학의 몰락 = 26
1) 정주학 내부의 '예론' 논쟁 = 26
2) 김장생의 예론과 성리학 = 28
3) 송시열의 관념론과 정치사상 = 32
4) 기정진ㆍ이진상의 관념론 철학과 유교 관념론의 파산 = 36
3. 실학파의 철학과 사회정치사상 = 41
1) 실학사상의 형성ㆍ발전 및 그 특징 = 41
2) 실학파의 철학 및 사회정치사상 = 69
4. 반정주학적 이단철학 - 한학과 양명학파 = 159
1) 반정주학 사조의 대두 = 159
2) 한학파의 주요 대표자인 윤휴와 박세당 = 160
3) 정제두와 양명학파 = 177
5. 조선 후반기 유물론 철학의 발전 = 201
1) 임성주의 유물론 = 202
2) 기일원론을 집대성한 최한기의 유물론 = 208
Ⅱ. 근대 철학사상 = 225
1. 사회ㆍ역사적 조건과 철학적 특징 = 225
1) 사회ㆍ역사적 조건 = 225
2) 근대철학사상의 특징 = 234
2. 위정척사론의 새로운 대두와 정주학의 파산 = 236
1) 위정척사론의 새로운 대두 = 236
2) 유인석의 관념론과 사회정치사상 = 240
3. 개화파와 김옥균의 철학 및 정치사상 = 248
1) 개화사상의 흥기와 갑신정변 = 248
2) 김옥균의 유물론적 경향과 진보적 정치사상 = 254
4. 동학사상과 갑오농민전쟁 = 258
1) 동학사상 및 최제우의 종교적 관념론 = 258
2) 전봉준의 사회정치사상 = 269
5. 애국문화운동가의 철학 및 사회정치사상 = 280
1) 이기의 철학사상 및 사회정치사상 = 280
2) 박은식의 '유교구신론'과 계몽사상 = 290
3) 신채호의 관념론과 애국사상 = 299
서평 (0 건)
*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. 한글 기준 10자 이상 작성해 주세요.
서평추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