목차 일부
목차
머리말을 대신하여 = 5
Ⅰ. 한국 설화에서 용신신앙의 수용 양상
1장 서론 = 15
1. 연구 목적 = 15
2. 연구사 검토 = 17
3. 연구방법과 범위 = 23
2장 용의 신격 개념 = 27
1. 용의 형상 = 27
2. 용의 기원 = 32
3. 신령으로서의 용 = 39
3장 건국세력과 건국신화 =...
목차 전체
목차
머리말을 대신하여 = 5
Ⅰ. 한국 설화에서 용신신앙의 수용 양상
1장 서론 = 15
1. 연구 목적 = 15
2. 연구사 검토 = 17
3. 연구방법과 범위 = 23
2장 용의 신격 개념 = 27
1. 용의 형상 = 27
2. 용의 기원 = 32
3. 신령으로서의 용 = 39
3장 건국세력과 건국신화 = 49
1. 건국신화 형성의 문화적 배경 = 51
2. 건국신화에 나타난 용신의 양상 = 65
3. 구비설화에서의 변모 양상 = 114
4. 건국신화에 수용된 용신신앙의 의미 = 124
4장 승려계층과 불교설화 = 131
1. 불교설화 형성의 종교적 배경 = 132
2. 불교설화에 나타난 용신의 양상 = 155
3. 구비설화에서의 변모양상 = 189
4. 불교설화에 수용된 용신신앙의 의미 = 194
5장 집권세력과 호국용설화 = 199
1. 호국용설화 형성의 정치적 배경 = 200
2. 호국용설화에 나타난 용신의 양상 = 213
3. 구비설화에서의 변모 양상 = 233
4. 호국용설화에 수용된 용신신앙의 의미 = 249
6장 설화에 수용된 용신신앙의 전승 의미 = 255
1. 문헌전승과 구비전승의 차이 = 255
2. 용설화의 구성 원리와 전승 의미 = 264
7장 결론 = 279
참고문헌 = 289
Ⅱ. 용궁설화의 서사구조와 의미
1장 서론 = 301
2장 용궁의 세계와 설화의 전승 양상 = 303
1. 용궁의 세계 = 303
2. 설화의 전승 양상 = 307
3장 용궁설화의 서사 구조 = 311
1. 현실계(결핍) = 312
2. 현실이탈-용궁여행 = 319
3. 현실계(결핍해소) = 326
4장 용궁설화의 의미 = 331
1. 낙원에 대한 동경 = 331
2. 인생역전에 대한 희망 = 335
3. 선행에 대한 보은 = 339
5장 결론 = 341
참고문헌 = 345
부록 = 347
찾아보기 = 415
서평 (0 건)
*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. 한글 기준 10자 이상 작성해 주세요.
서평추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