목차 일부
목차
머리말 = 5
제1부 실학이란 무엇인가 = 11
1. 실학의 개념과 그 변천 = 13
2. 실학의 형성과 발전 = 20
1) 실학 형성의 사회ㆍ역사적 조건 = 20
2) 실학 형성의 자연과학적 토대 = 21
3) 실학 형성의 이론적 전제 = 24
3. 실학의 특징 = 32
1) '실사구시'의 학문 = 32
2)...
목차 전체
목차
머리말 = 5
제1부 실학이란 무엇인가 = 11
1. 실학의 개념과 그 변천 = 13
2. 실학의 형성과 발전 = 20
1) 실학 형성의 사회ㆍ역사적 조건 = 20
2) 실학 형성의 자연과학적 토대 = 21
3) 실학 형성의 이론적 전제 = 24
3. 실학의 특징 = 32
1) '실사구시'의 학문 = 32
2) 민본적 민주 사상 = 34
3) 민족적 자주 장신 = 38
4) '탁고개제'의 개혁 정신 = 41
5) '기 일원론'적 철학사상 = 42
4. 실학의 성격 = 47
1) 비판적 성격 = 47
2) 개혁적 성격 = 47
3) 주체적 성격 = 48
4) 과학적 성격 = 49
5) 계몽적 성격 = 49
5. 실학의 역사적 역할 = 51
1) 사회 생산력 발전에 끼친 영향 = 52
2) 자연과학 발전에 끼친 영향 = 53
3) 기 일원론 철학 발전에 끼친 영향 = 56
4) 근대 개화사상과 신흥 민중 종교에 끼친 영향 = 59
6. 실학 윤리 사상의 특징 = 62
1) 도덕의 내원과 물질적 조건의 결부 = 62
2) 도덕 이상으로서 평등, 박애, 인도주의의 실현 = 65
3) 물질적 요구와 노동을 도덕 평가의 기준으로 삼음 = 68
4) 도덕 수양에서 실천을 강조함 = 70
제2부 실학 사상가들의 철학과 실학사상 = 73
1. 이수광의 철학과 실학사상 = 75
1) 생애와 저작 = 75
2) 철학사상 = 79
3) 실학사상 = 82
2. 유형원의 철학과 실학사상 = 85
1) 생애와 저작 = 85
2) 철학사상 = 88
3) 실학사상 = 92
3. 이익의 철학과 실학사상 = 103
1) 생애와 저작 = 103
2) 철학사상 = 104
3) 실학사상 = 114
4. 홍대용의 철학과 실학사상 = 118
1) 생애와 저작 = 118
2) 철학사상 = 121
3) 실학사상 = 131
5. 박지원의 철학과 실학사상 = 136
1) 생애와 저작 = 136
2) 철학사상 = 145
3) 실학사상 = 151
4) 문학사상 = 153
6. 박제가의 철학과 실학사상 = 164
1) 생애와 저작 = 164
2) 철학사상 = 165
3) 실학사상 = 167
7. 정약용의 철학과 실학사상 = 174
1) 생애와 저작 = 174
2) 철학사상 = 179
3) 실학사상 = 185
4) 문학사상 = 191
8. 이규경의 철학과 실학 사장 = 196
1) 생애와 저작 = 196
2) 철학사상 = 197
3) 실학사상 = 203
9. 최한기의 철학과 실학사상 = 212
1) 생애와 저작 = 212
2) 철학사상 = 213
3) 실학사상 = 226
제3부 동아시아 삼국 실학의 산생 발전과 차이점 = 233
1. 중국의 실학 = 235
1) 명청 시대의 실학 = 235
2) 명청 실학의 전개 = 245
3) 명청 실학의 의의 = 259
2. 한국의 실학 = 261
1) 한국 실학의 발전 = 261
2) 한국 실학의 역사적 고찰 = 269
3. 일본의 실학 = 275
1) 일본인의 실학 이해 = 275
2) 일본 실학의 발생 = 277
3) 일본 실학의 기본 특징 및 역사적 역할 = 279
4. 동아시아 삼국 실학의 차이점 = 283
서평 (0 건)
*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. 한글 기준 10자 이상 작성해 주세요.
서평추가